본 연구는 해양환경 관리와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해양산업시설과 대규모 컨테이너 항만이 위치하고 있는 인천항에 대한 취약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524381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2-32(1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해양환경 관리와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해양산업시설과 대규모 컨테이너 항만이 위치하고 있는 인천항에 대한 취약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 ...
본 연구는 해양환경 관리와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해양산업시설과 대규모 컨테이너 항만이 위치하고 있는 인천항에 대한 취약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 영역은 사회환경, 법정 보호지역, 서식지, 종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에 적합한 세부 인자들을 고려하였으며, 정량화된 평가를 위해 수심 및 계절적 변화를 반영한 점수체계를 적용하였다. 이때 평가 영역 및 선정된 인자들의 중요도를 반영하기 위해 전문가 설문조사 및 AHP 분석을 통해 가중치를 산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점수를 단순 합산한 취약성 평가와 가중치를 적용한 취약성 평가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해역에서 단순 합산 취약성 평가는 항만, 관광 등 경제활동이 활발한 남부 연안지역의 취약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중 취약성 평가에서는 사회환경 영역의 중요도가 낮아지고 서식지와 법정 보호지역에 큰 가중치가 부여되며 북서부 도서지역의 취약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가중치 산정을 통해 지표의 우선순위를 분석하는 것은 특정 요인이 실제 영향력에 비해 과대 또는 과소 평가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으며 대상 해역의 특성을 반영하여 취약지역을 평가하고 모니터링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marine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policy-making by performing a systematic vulnerability assessment of Incheon Port, which hosts numerous marine industrial facilities and a large container po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marine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policy-making by performing a systematic vulnerability assessment of Incheon Port, which hosts numerous marine industrial facilities and a large container port. The assessment was categorized into socio-environment, legally protected areas, habitats, and species, with specific criteria developed for each category. To ensure a quantitative approach, a scoring system was applied that reflected water depth and seasonal variations. To prioritize the different assessment categories and criteria, weights were calculated using an expert survey and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analysis. The results of two assessment methods—simple sum scores and weighted vulnerability assessment—were compared. In the study area, the simple sum vulnerability assessment indicated higher vulnerability in the southern coastal areas, where economic activities such as port operations and tourism are concentrated. However, in the weighted vulnerability assessment, the importance of the socio-environmental area was reduced, and greater weight was assigned to habitats and legally protected areas, resulting in higher vulnerability in the northwestern island areas. This demonstrates that prioritizing indicators through weight calculation can help prevent certain factors from being over- or under-estimated relative to their actual impact. This method is expected to be useful in assessing and monitoring vulnerable areas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region.
Au 나노입자가 부착된 ITO 파우더를 이용한 표면저항형 전기화학 센서의 제작 및 특성 평가
해양산업시설 배출 위험·유해물질(HNS)의 생태계 영향평가: 현장 생물 축적성 평가
국내 해수공정시험기준 상 페놀류 분석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US EPA의 SPE-GC/MS법 적용
수중 유해위험 물질 검출용 ITO 필름 전기화학 센서의 정밀도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