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산업적 필수 사용 HNS 선정”을 목적으로 한국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에서 실시한 해양산업시설 실태조사 현황을 기반으로 전국적으로 방류구의 위치로 방류수에서 페놀화합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524389
2024
Korean
HNS ; Industrial facilities ; Phenol ; cause of detection ; 위험유해물질 ; 산업시설 ; 페놀 ; 검출원인
KCI등재
학술저널
75-82(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산업적 필수 사용 HNS 선정”을 목적으로 한국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에서 실시한 해양산업시설 실태조사 현황을 기반으로 전국적으로 방류구의 위치로 방류수에서 페놀화합물(...
본 연구는 “산업적 필수 사용 HNS 선정”을 목적으로 한국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에서 실시한 해양산업시설 실태조사 현황을 기반으로 전국적으로 방류구의 위치로 방류수에서 페놀화합물(이하 페놀)이 검출된 해양산업시설을 추정하였다. 페놀은 다음과 같이 평택, 서산, 인천, 울산, 영광, 여수 광양만, 부산, 보령 및 동해에 위치한 해양산업시설 31개소의 방류수에서 검출되었다. 이러한 해양산업시설의 업종에 따라 9개군으로 분류하고 방류 주요 원인인 공정을 기반으로 페놀의 “(1) 제조 (2) 공정 내 사용 (3) 공정상 부산물 및 (4) 해당 없음(원인미상)”으로 규정하였다. 이와 함께 “업종”을 기반으로 제품 및 취급물질이 반영된 공정을 통하여 페놀 검출 원인을 파악하였다. 페놀 방류가 예상되는 31개 기업의 업종은 “(1) 페놀 및/또는 BPA 제조 (2) 벤젠, 프로필렌 등 석유류 취급 (3) 석유화학 기초 화학물질 제조 (4) 원유 정제처리 (5) 복합비료 등 (6) 발전소 (7) 제강 (8) 유기화합물 제조 및 (9) 원자력”이며 이에 따라 공정 또는 생산제품으로 추적 또는 추정하여 원인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ffluent of marine industrial facilities was analyzed nation-widely to identify the location of phenolic compounds (hereafter phenol) outfall regarding "selecting HNS for industrial essential use". Phenol was detected in the effluent of 31 marine ...
The effluent of marine industrial facilities was analyzed nation-widely to identify the location of phenolic compounds (hereafter phenol) outfall regarding "selecting HNS for industrial essential use". Phenol was detected in the effluent of 31 marine industrial facilities located as follows in Pyeongtaek, Seosan, Incheon, Ulsan, Yeonggwang, Yeosu Gwangyang Bay, Busan, Boryeong, and Donghae. According to the business type of entities, they classified into 9 groups and also defined by the main cause of discharge as (1) manufacturing, (2) process using, (3) by-products and (4) not applicable (not known). Above all, the major cause of detecting phenol in the outfall was identified by based on the business type with their products and handing substances. The business type of 31 entities expected to discharge phenol are (1) manufacturing phenol and/or BPA, (2) Petroleum such as benzene and propylene, (3) manufacturing petrochemicals, (4) refining crude oil, (5) fertilizer, (6) thermal power plant, (7) steel-making, (8) manufacturing organic compounds and (9) nuclear power plant. Accordingly, either their operation process or products were tracked back or assumed to identify and suggest the cause.
Au 나노입자가 부착된 ITO 파우더를 이용한 표면저항형 전기화학 센서의 제작 및 특성 평가
해양산업시설 배출 위험·유해물질(HNS)의 생태계 영향평가: 현장 생물 축적성 평가
AHP 분석을 통한 해양환경 취약성 평가: 인천항 사례를 중심으로
국내 해수공정시험기준 상 페놀류 분석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US EPA의 SPE-GC/MS법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