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육신의 윤리: 디트리히 본회퍼의 성례전적 ‘현실’ 해석에서 그리스도론의 자리 = Toward an Ethics of the Incarnation: Bonhoeffer’s Sacramental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Rea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909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how the reality of life can interact with the faith in Christ. I take Bonhoeffer’s account of reality on the epistemology of the incarnation as my point of depar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ndane reality and the eschatological reality has been a core theme of Christian ethics. According to Bonhoeffer’s diagnosis, the fundamental cause for the misuse of the metaphor of two kingdoms is to be found in the epistemological error of an awareness of Christ. The concept of ‘one reality’ of Bonhoeffer’s thought provides a new way to recognize the ontological coherence of the twofold reality, that is, the God-world reality in Jesus Christ. In this respect, Bonhoeffer’s concept of ‘one reality’ can be regarded as the hermeneutical reclamation of Luther’s two-kingdom theory. In this process, the theological device of Bonhoeffer to translate the spatial representation of kingdoms into the corporeal representation of ‘the body of Christ’ is conceived. In view of this, I argue that the concept of ‘one reality’ can be a basic idea to develop sacramental foundation for Christian ethics. Finally, based on the explored argumentation, this article puts forward a prospect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dogmatics, ethics and liturgy on Bonhoeffer’s sacramental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reality.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how the reality of life can interact with the faith in Christ. I take Bonhoeffer’s account of reality on the epistemology of the incarnation as my point of depar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ndane reality...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how the reality of life can interact with the faith in Christ. I take Bonhoeffer’s account of reality on the epistemology of the incarnation as my point of depar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ndane reality and the eschatological reality has been a core theme of Christian ethics. According to Bonhoeffer’s diagnosis, the fundamental cause for the misuse of the metaphor of two kingdoms is to be found in the epistemological error of an awareness of Christ. The concept of ‘one reality’ of Bonhoeffer’s thought provides a new way to recognize the ontological coherence of the twofold reality, that is, the God-world reality in Jesus Christ. In this respect, Bonhoeffer’s concept of ‘one reality’ can be regarded as the hermeneutical reclamation of Luther’s two-kingdom theory. In this process, the theological device of Bonhoeffer to translate the spatial representation of kingdoms into the corporeal representation of ‘the body of Christ’ is conceived. In view of this, I argue that the concept of ‘one reality’ can be a basic idea to develop sacramental foundation for Christian ethics. Finally, based on the explored argumentation, this article puts forward a prospect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dogmatics, ethics and liturgy on Bonhoeffer’s sacramental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real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인간의 삶의 현실과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은 어떤 연관 속에 있는가?’ 본 논문은 이 물음을 풀어가기 위해, 성육신의 인식론에 기초해 현실 해석을 전개한 본회퍼의 논의를 다룬다. 세상 현실과 하나님 나라의 종말론적 현실을 동시에 살아가는 그리스도인에게, 이 두 세계에 대한 관계 설정은 언제나 중요한 과제이다. 본회퍼는 루터의 두 왕국론이 특정한 역사적 상황 속에서 이분법적인 현실 인식을 초래하는 표상으로 오용된 근본 원인을 그리스도 인식의 오류에서 발견한다. 그리고 ‘참 하나님이자 참 인간이신 그리스도’ 진술에 근거해, 하나님의 현실과 인간 현실 사이의 존재론적 상관성을 밝히고, 이를 ‘하나의 현실’이라는 개념에 집약한다. 이 과정에서 통합된 현실 인식을 가로막는 영역 표상 대신 그리스도의 몸 표상을 통한 현실 해석을 전개한다. ‘하나의 현실’ 개념은 두 현실의 공존과 결속을 가리키면서 동시에 인간과 세상의 현실 전부가 그리스도의 몸을 통해 하나님에게 용납되고 긍정된 인류의 새 현실을 가리킨다. 하나님과 세상 사이의 화해 발생 근거인 그리스도의 몸 표상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하나의 현실’ 개념은, 이런 점에서 ‘성례전적 현실’로 풀이될 수 있고, 그리스도교 윤리의 성례전적 기반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 개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교의와 윤리, 성례의 상호 작용 관계를 밝혀가는 것을 연구 목표로 삼는다.
      번역하기

      ‘인간의 삶의 현실과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은 어떤 연관 속에 있는가?’ 본 논문은 이 물음을 풀어가기 위해, 성육신의 인식론에 기초해 현실 해석을 전개한 본회퍼의 논의를 다룬다. 세상 ...

      ‘인간의 삶의 현실과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은 어떤 연관 속에 있는가?’ 본 논문은 이 물음을 풀어가기 위해, 성육신의 인식론에 기초해 현실 해석을 전개한 본회퍼의 논의를 다룬다. 세상 현실과 하나님 나라의 종말론적 현실을 동시에 살아가는 그리스도인에게, 이 두 세계에 대한 관계 설정은 언제나 중요한 과제이다. 본회퍼는 루터의 두 왕국론이 특정한 역사적 상황 속에서 이분법적인 현실 인식을 초래하는 표상으로 오용된 근본 원인을 그리스도 인식의 오류에서 발견한다. 그리고 ‘참 하나님이자 참 인간이신 그리스도’ 진술에 근거해, 하나님의 현실과 인간 현실 사이의 존재론적 상관성을 밝히고, 이를 ‘하나의 현실’이라는 개념에 집약한다. 이 과정에서 통합된 현실 인식을 가로막는 영역 표상 대신 그리스도의 몸 표상을 통한 현실 해석을 전개한다. ‘하나의 현실’ 개념은 두 현실의 공존과 결속을 가리키면서 동시에 인간과 세상의 현실 전부가 그리스도의 몸을 통해 하나님에게 용납되고 긍정된 인류의 새 현실을 가리킨다. 하나님과 세상 사이의 화해 발생 근거인 그리스도의 몸 표상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하나의 현실’ 개념은, 이런 점에서 ‘성례전적 현실’로 풀이될 수 있고, 그리스도교 윤리의 성례전적 기반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 개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교의와 윤리, 성례의 상호 작용 관계를 밝혀가는 것을 연구 목표로 삼는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Bonhoeffer, Dietrich, "행위와 존재 : 조직신학 내에서의 초월철학과 존재론" 대한기독교서회 2010

      2 손규태, "한국교회의 윤리적 판단에 있어서 본회퍼의 수용" 8 : 3-14, 1995

      3 김영일, "하나님 없는 세계와 하나님의 현실성" 285 : 126-141, 1982

      4 서혜정, "폴 리쾨르(Paul Ricœur)의 창조와 하나님의 형상(imago Dei)에 대한 해석" 한국개혁신학회 61 : 213-248, 2019

      5 Bonhoeffer, Dietrich, "창조와 타락 : 창세기 1-3장에 대한 신학적 해석" 대한기독교서회 2014

      6 Augustinus, "참된 종교" 분도 1989

      7 Hegel, G.W.F., "정신현상학Ⅱ" 지식산업사 1992

      8 Bonhoeffer, Dietrich, "저항과 복종 : 옥중서간" 대한기독교서회 2010

      9 Bonhoeffer, Dietrich, "윤리학" 대한기독교서회 2014

      10 Ricoeur, Paul, "악의 상징" 문학과 지성사 2002

      1 Bonhoeffer, Dietrich, "행위와 존재 : 조직신학 내에서의 초월철학과 존재론" 대한기독교서회 2010

      2 손규태, "한국교회의 윤리적 판단에 있어서 본회퍼의 수용" 8 : 3-14, 1995

      3 김영일, "하나님 없는 세계와 하나님의 현실성" 285 : 126-141, 1982

      4 서혜정, "폴 리쾨르(Paul Ricœur)의 창조와 하나님의 형상(imago Dei)에 대한 해석" 한국개혁신학회 61 : 213-248, 2019

      5 Bonhoeffer, Dietrich, "창조와 타락 : 창세기 1-3장에 대한 신학적 해석" 대한기독교서회 2014

      6 Augustinus, "참된 종교" 분도 1989

      7 Hegel, G.W.F., "정신현상학Ⅱ" 지식산업사 1992

      8 Bonhoeffer, Dietrich, "저항과 복종 : 옥중서간" 대한기독교서회 2010

      9 Bonhoeffer, Dietrich, "윤리학" 대한기독교서회 2014

      10 Ricoeur, Paul, "악의 상징" 문학과 지성사 2002

      11 양명수, "아무도 내게 명령할 수 없다 : 마르틴 루터의 정치사상과 근대"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12 Bonhoeffer, Dietrich, "성도의 교제 : 교회사회학에 대한 교의학적 연구" 대한기독교서회 2010

      13 고범서, "서평 : 신도의 공동생활" 81 : 86-86, 1964

      14 정지련, "본회퍼의 비종교적 해석과 한국교회" 574 : 94-105, 2006

      15 Lohse, Bernhard, "마틴루터의신학 : 역사적이며 조직신학적으로 본 루터 신학" 한국신학연구소 2009

      16 김성호, "디트리히 본회퍼의 타자를 위한 교회" 동연 2019

      17 Bonhoeffer, Dietrich, "나를 따르라" 대한기독교서회 2010

      18 김광연, "기독교 전통에 나타난 몸신학과 현대적 몸의 재해석" 한국개혁신학회 45 : 44-68, 2015

      19 Bonhoeffer, Dietrich, "그리스도론" 대한기독교서회 1979

      20 Bonhoeffer, Dietrich, "그리스도론" 대한기독교서회 2011

      21 Pöhlmann, Horst Georg, "교의학" 신앙과 지성사 2012

      22 이상은, "관계적 정의: 후버(W. Huber)가 말하는 다원사회 안에서의 교회적 구심점" 신학사상연구소 (178) : 117-154, 2017

      23 손규태, "개신교 윤리사상사" 대한기독교서회 2010

      24 김재윤, "‘속성간의 교류’(communicatio idiomatum) 교리와 그 함의에 대한 일고찰-루터와 본회퍼를 중심으로-" 한국개혁신학회 55 : 237-275, 2017

      25 Marsh, Charles, "Reclaiming Dietrich Bonhoeffer : The Promise of His The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26 Ott, Heinrich, "Reality and Faith: The Theological Legacy of Dietrich Bonhoeffer" Lutterworth Press 1971

      27 Huber, Wolfgang, "Interpreting Bonhoeffer: Historical Perspectives, Emerging Issues" Fortress Press 3-13, 2013

      28 Bonhoeffer, Dietrich, "Ethik" Gütersloher Verlagshaus 2016

      29 Bonhoeffer, Dietrich, "Ecumenical, Academic, and Pastoral Work, 1931-1932" Fortress Press 2012

      30 Dumas, André, "Dietrich Bonhoeffer: Theologian of Reality" SCM Press 1971

      31 Rasmussen, Larry L., "Dietrich Bonhoeffer: Reality and Resistanc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5

      32 Zimmermann, Jens, "Dietrich Bonhoeffer's Christian Human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19

      33 Harasta, Eva, "Christ, Church, and World: New Studies in Bonhoeffer's Theology and Ethics" T&T Clark 61-76, 2016

      34 Bonhoeffer, Dietrich, "Christ the Center" Harper & Row 1966

      35 Dejonge, Michael P., "Bonhoeffer's Reception of Luther"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36 Krötke, Wolf, "Bonhoeffer's Intellectual Formation: Theology and Philosophy in His Thought" Mohr Siebeck 53-82, 2008

      37 Manoussakis, John Panteleimon, "Bonhoeffer and Continental Thought: Cruciform Philosophy" Indiana University Press 226-244,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