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모과(Chaenomeles Sinensis Koehne) 種子 發芽特性에 關한 硏究  :  Chaenomeles sinensis Koehne = A Study on the Seed Germination of Chinese Qui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303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아세아가 原産이며 우리나라에도 自生하는 主要한 造景用 樹木으로 평가받고 있는 모과(木瓜 chaenomeles sinensis koehne)에 關하여 種子發芽 特性에 關하여 1978∼1979年에 걸쳐 硏究 調査하였던 바 그 主要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各 播種된 모과種子는 休眼中에 있으며 약 60日以上의 低溫處理는 休眼을 거의 完壁하게 打破하였다.
      2. 播種된 種子를 水洗後 1年間 乾燥貯藏한 것은 完全히 發芽力을 喪失하였다.
      3. 各 播種된 種子의 一部 또는 全部 外內皮를 除外하는 것은 發芽를 顯著히 促進하였다.
      4. Aceton이나 Alcohol등에 種子를 沈漬하는 것은 外皮 및 內皮에 存在하는 發芽抑制와 關係되는 物質을 용출시켜 주므로서 發芽를 促進하는데 效果的이었다.
      번역하기

      아세아가 原産이며 우리나라에도 自生하는 主要한 造景用 樹木으로 평가받고 있는 모과(木瓜 chaenomeles sinensis koehne)에 關하여 種子發芽 特性에 關하여 1978∼1979年에 걸쳐 硏究 調査하였던 바...

      아세아가 原産이며 우리나라에도 自生하는 主要한 造景用 樹木으로 평가받고 있는 모과(木瓜 chaenomeles sinensis koehne)에 關하여 種子發芽 特性에 關하여 1978∼1979年에 걸쳐 硏究 調査하였던 바 그 主要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各 播種된 모과種子는 休眼中에 있으며 약 60日以上의 低溫處理는 休眼을 거의 完壁하게 打破하였다.
      2. 播種된 種子를 水洗後 1年間 乾燥貯藏한 것은 完全히 發芽力을 喪失하였다.
      3. 各 播種된 種子의 一部 또는 全部 外內皮를 除外하는 것은 發芽를 顯著히 促進하였다.
      4. Aceton이나 Alcohol등에 種子를 沈漬하는 것은 外皮 및 內皮에 存在하는 發芽抑制와 關係되는 物質을 용출시켜 주므로서 發芽를 促進하는데 效果的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urvey and investigations have been made on the seed germination of Chinese quince (Chaenomeles sinensis koehne) which is native to Asia including Korea and becoming popular as an important plant material for landscap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eeds were in dormancy when harvested in the fall. But stratification of the seeds at 5℃ for more than 60 days completely released the dormancy.
      2. The seeds, washed, dried, and stored at room temperature completely lost viability within a year.
      3. Scarification, removal of seed coat and 1 or integuments significantly accelerated the seed germination of unchilled seeds.
      4. Soaking seed in 5-10% aceton or methanol for 4 hours was effective in accelerating seed germination of unchilled seeds, possibly by removing inhibitor-like substances from the seed coat and/or integuments.
      번역하기

      A survey and investigations have been made on the seed germination of Chinese quince (Chaenomeles sinensis koehne) which is native to Asia including Korea and becoming popular as an important plant material for landscap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

      A survey and investigations have been made on the seed germination of Chinese quince (Chaenomeles sinensis koehne) which is native to Asia including Korea and becoming popular as an important plant material for landscap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eeds were in dormancy when harvested in the fall. But stratification of the seeds at 5℃ for more than 60 days completely released the dormancy.
      2. The seeds, washed, dried, and stored at room temperature completely lost viability within a year.
      3. Scarification, removal of seed coat and 1 or integuments significantly accelerated the seed germination of unchilled seeds.
      4. Soaking seed in 5-10% aceton or methanol for 4 hours was effective in accelerating seed germination of unchilled seeds, possibly by removing inhibitor-like substances from the seed coat and/or integum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Summary
      • Ⅰ. 緖論
      • Ⅱ. 硏究材料 및 方法
      • Ⅲ. 硏究結果
      • Ⅳ. 摘要
      • Summary
      • Ⅰ. 緖論
      • Ⅱ. 硏究材料 및 方法
      • Ⅲ. 硏究結果
      • Ⅳ. 摘要
      • 考察
      • 參考文獻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