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상담학 질적 연구 동향분석(2012년∼2017년): 상담 관련 국내 학술지 및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게재논문 비교중심으로 = Trend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in Counseling(2012∼2017): Centered on the Comparison of Studie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and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Related to Counsel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465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qualitative research in domestic journals(Korean Journal of Counseling,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and overseas journal(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in the field of counseling, to set the direction of current qualitative research, to study the future direction of qualitative research,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qualitative research. A total of 181 qualitative research papers(121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33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7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published for the six years from 2012 to 2016 were analyzed in terms of participants, research methods, topics, qualitative research procedures, and validation method by yea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Looking at the yearly trends, qualitative research has been studied steadily. The participants were adults (32.6%), counselors (26.0%), clients (13.8%) and university students (8.3%). Most studies on adults have been conducted. The research methods were as follows: phenomenology (28.7%), grounded theory (27.1%) and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20.4%). The phenomenological study was the most studied. The topics were as follows: exploration of specific experiences(30.9%), exploration of counselors(26.0%), client experiences (17.7%), exploration of characteristic for specific participants(16.6%) and crisis and coping experiences (8.8%). Topic on exploration of specific experiences was performed most active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procedures and validation method showed that research focus, setting, role of the researcher and reporting findings were similar in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and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tudy suggested the future growth, process of changes and the future direction of qualitative research in counseling by comparing with domestic-overseas journals and previous studies,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qualitative research in domestic journals(Korean Journal of Counseling,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and overseas journal(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in the field of c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qualitative research in domestic journals(Korean Journal of Counseling,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and overseas journal(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in the field of counseling, to set the direction of current qualitative research, to study the future direction of qualitative research,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qualitative research. A total of 181 qualitative research papers(121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33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7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published for the six years from 2012 to 2016 were analyzed in terms of participants, research methods, topics, qualitative research procedures, and validation method by yea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Looking at the yearly trends, qualitative research has been studied steadily. The participants were adults (32.6%), counselors (26.0%), clients (13.8%) and university students (8.3%). Most studies on adults have been conducted. The research methods were as follows: phenomenology (28.7%), grounded theory (27.1%) and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20.4%). The phenomenological study was the most studied. The topics were as follows: exploration of specific experiences(30.9%), exploration of counselors(26.0%), client experiences (17.7%), exploration of characteristic for specific participants(16.6%) and crisis and coping experiences (8.8%). Topic on exploration of specific experiences was performed most active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procedures and validation method showed that research focus, setting, role of the researcher and reporting findings were similar in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and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tudy suggested the future growth, process of changes and the future direction of qualitative research in counseling by comparing with domestic-overseas journals and previous studies,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상담학 분야의 국내 학술지(상담학연구, 상담 및 심리치료), 국외 학술지(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의 질적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현재 질적 연구의 위치와 향후 질적 연구의 연구방향을 설정하고 질적 연구의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2012년부터 2016년까지 6년간 게재된 질적 연구 논문 총 181편(상담학연구 121편, 상담 및 심리치료 33편,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7편)을 연도별로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주제, 질적 연구 수행과정 및 타당성 검증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도별 흐름을 살펴보면 질적 연구는 꾸준히 연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을 살펴보면 성인(32.6%), 상담자(26.0%), 내담자(13.8%), 대학생(8.3%) 순으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을 살펴보면 현상학(28.7%), 근거이론(27.1%), 합의적 질적 연구(20.4%) 순으로 현상학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주제는 특정 경험 탐색(30.9%), 상담자 탐색(26.0%), 내담자 경험(17.7%), 특정 대상 특성 탐색(16.6%), 위기 및 극복 경험(8.8%) 순으로 특정 경험 탐색을 주제로 한 연구가 가장 활발히 수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연구 수행과정 및 타당성 검증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연구초점, 연구환경, 연구자 역할, 연구결과 제시가 상담학연구, 상담 및 심리치료,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에서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국외 학술지 및 선행 연구와 비교분석하여 상담학에서의 질적 연구의 성장 및 변화과정과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상담학 분야의 국내 학술지(상담학연구, 상담 및 심리치료), 국외 학술지(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의 질적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현재 질적 연구의 위치와 향후 질적 연...

      이 연구의 목적은 상담학 분야의 국내 학술지(상담학연구, 상담 및 심리치료), 국외 학술지(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의 질적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현재 질적 연구의 위치와 향후 질적 연구의 연구방향을 설정하고 질적 연구의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2012년부터 2016년까지 6년간 게재된 질적 연구 논문 총 181편(상담학연구 121편, 상담 및 심리치료 33편,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7편)을 연도별로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주제, 질적 연구 수행과정 및 타당성 검증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도별 흐름을 살펴보면 질적 연구는 꾸준히 연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을 살펴보면 성인(32.6%), 상담자(26.0%), 내담자(13.8%), 대학생(8.3%) 순으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을 살펴보면 현상학(28.7%), 근거이론(27.1%), 합의적 질적 연구(20.4%) 순으로 현상학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주제는 특정 경험 탐색(30.9%), 상담자 탐색(26.0%), 내담자 경험(17.7%), 특정 대상 특성 탐색(16.6%), 위기 및 극복 경험(8.8%) 순으로 특정 경험 탐색을 주제로 한 연구가 가장 활발히 수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연구 수행과정 및 타당성 검증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연구초점, 연구환경, 연구자 역할, 연구결과 제시가 상담학연구, 상담 및 심리치료,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에서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국외 학술지 및 선행 연구와 비교분석하여 상담학에서의 질적 연구의 성장 및 변화과정과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종민, "한국행정학 50년: 행정이론을 위한 비판적 고찰" 1-15, 2006

      2 안현의, "청소년의 심리적 외상에 관한 탐색적 연구: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과 성격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217-231, 2005

      3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Ⅰ. Bricoleur" 아카데미프레즈 2016

      4 김은경, "이주배경 청소년에 관한 질적 연구 동향: 국내 및 북미 학술지 게재 논문 분석(2003-2015)" 한국상담학회 18 (18): 245-270, 2017

      5 최이선, "심리치료에서 상호주관성 개념의 의미 탐색" 한국콘텐츠학회 16 (16): 569-581, 2016

      6 Corey, G.,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시그마프레스 2010

      7 손은정, "수퍼비전에 대한 질적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놀이치료학회 13 (13): 1-21, 2010

      8 조남정, "상담학의 연구 동향 분석:「상담학연구」학회지 게재논문(창간년도~2009)" 한국상담학회 11 (11): 507-524, 2010

      9 권경인, "상담학 분야의 질적연구 동향분석(2000년∼2012년)" 한국상담학회 14 (14): 3871-3893, 2013

      10 박승민, "상담학 분야의 질적연구 경향 분석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3 (13): 953-977, 2012

      1 박종민, "한국행정학 50년: 행정이론을 위한 비판적 고찰" 1-15, 2006

      2 안현의, "청소년의 심리적 외상에 관한 탐색적 연구: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과 성격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217-231, 2005

      3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Ⅰ. Bricoleur" 아카데미프레즈 2016

      4 김은경, "이주배경 청소년에 관한 질적 연구 동향: 국내 및 북미 학술지 게재 논문 분석(2003-2015)" 한국상담학회 18 (18): 245-270, 2017

      5 최이선, "심리치료에서 상호주관성 개념의 의미 탐색" 한국콘텐츠학회 16 (16): 569-581, 2016

      6 Corey, G.,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시그마프레스 2010

      7 손은정, "수퍼비전에 대한 질적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놀이치료학회 13 (13): 1-21, 2010

      8 조남정, "상담학의 연구 동향 분석:「상담학연구」학회지 게재논문(창간년도~2009)" 한국상담학회 11 (11): 507-524, 2010

      9 권경인, "상담학 분야의 질적연구 동향분석(2000년∼2012년)" 한국상담학회 14 (14): 3871-3893, 2013

      10 박승민, "상담학 분야의 질적연구 경향 분석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3 (13): 953-977, 2012

      11 주은선, "상담자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및 상담성과에 영향을 주는 한국적 상담자 요인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게재 논문(1983-2012)" 한국심리학회 34 (34): 453-484, 2015

      12 이윤주, "상담의 최근연구동향" 35 : 254-271, 2015

      13 김계원, "상담심리학의 최근 연구동향: 상담 및 심리치료학회지 게재논문 분석(2000~2009)" 한국상담심리학회 23 (23): 521-542, 2011

      14 박경애, "상담심리학 연구 동향: 상담 및 심리치료학회지 게재논문(2012~2016) 분석 및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게재논문과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29 (29): 893-913, 2017

      15 조성호, "상담심리학 연구 동향: 상담 및 심리치료학회지 게재논문 분석(1988~2003)" 한국상담심리학회 15 (15): 811-832, 2003

      16 김계현, "상담심리학 연구 : 주제론과 방법론" 학지사 2006

      17 김봉환, "상담 분야의 질적연구 동향분석(2002년~2011년)" 한국상담심리학회 24 (24): 729-752, 2012

      18 지승희, "상담 분야의 CQR 연구 동향 -2001~2010년 상담관련 국내 학술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4 (14): 2327-2349, 2013

      19 노미화, "가족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및 발달 연구 : -근거이론접근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2017

      20 Hoyt, W. T., "Principles and practices : An empirical examination of qualitative research in th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4 (54): 201-210, 2007

      21 Corey, M. S., "Becoming a helper" Cengage Learning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KCA)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5-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 Korea Jour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9 2.19 2.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45 2.48 3.426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