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원격 창업교육 품질과 창업자기효능감의 관계 :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자만족의 매개효과 검증 =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Distan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er Satisfa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9104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mplications for preparing effective entrepreneurship education measures based on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of distan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courses. Through this study, we would like to present the overall training content of the increasing number of distan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courses and the demand for tasks such as teaching methods, instructor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The questionnaire of this study was distributed online to a cyber entrepreneurship education courses at D Univers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ith a total of 230 people participating. The sample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first-year students with 55.7%, and the percentage of female students was higher with male students (43.5%) and female students (56.5%). Laptops (69.1%) accounted for most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used during classes, and non-real-time video lectures (77.4%) accounted for the largest percentage of classes.
      Technical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2.0, and hypothesis tests were performed using SmartPLS 3.0 through reliability and feasibility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ystem quality and service quality among the subvariables of distan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quality had a positive impact on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and information quality did not have a positive impact. Second, all subvariables of distan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quality had a positive impact on learner satisfaction. Thir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Fourth, learner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Fifth, system quality and service quality among the lower variables of distan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quality had a positive impact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by fully mediating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and information quality did not have a positive impact. Sixth, system quality and service quality among the subvariables of distan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quality had a positive impact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by fully mediating learner satisfaction, and information quality did not have a positive impact.
      This study aims to apply the model of DeLone & McLean (2003) to present the following implications through demonstration studies of systems, information, service qua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er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First, This work can contribute to academic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field of university distan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the future through empirical verification of research that can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distan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n COVID-19.
      Second, Distan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not only for students with high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response, Professors need resources and support to motivate learners to learn and design systematic distance classes so that they can lead learning. In addition, the establishment of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that can provide quality lecture content to students should be preceded.
      Third, Facing the transition of traditional face-to-face classes to full-scale distance classes in COVID-19 situations, the need to build infrastructure and support systems at the university level and strengthen faculty capacity, as well as continuous support at the university and central government level.
      Finally, universities and other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sites are making efforts to strengthen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rough distance education and are improving and expanding their insufficient areas into an educational environment for utilizing digital content. In line with this trend, universities should be supported by continuous interest and efforts i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learning and lecture contents to improve the quality of distan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mplications for preparing effective entrepreneurship education measures based on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of distan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courses. Through this study, we would like to present the ov...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mplications for preparing effective entrepreneurship education measures based on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of distan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courses. Through this study, we would like to present the overall training content of the increasing number of distan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courses and the demand for tasks such as teaching methods, instructor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The questionnaire of this study was distributed online to a cyber entrepreneurship education courses at D Univers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ith a total of 230 people participating. The sample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first-year students with 55.7%, and the percentage of female students was higher with male students (43.5%) and female students (56.5%). Laptops (69.1%) accounted for most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used during classes, and non-real-time video lectures (77.4%) accounted for the largest percentage of classes.
      Technical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2.0, and hypothesis tests were performed using SmartPLS 3.0 through reliability and feasibility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ystem quality and service quality among the subvariables of distan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quality had a positive impact on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and information quality did not have a positive impact. Second, all subvariables of distan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quality had a positive impact on learner satisfaction. Thir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Fourth, learner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Fifth, system quality and service quality among the lower variables of distan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quality had a positive impact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by fully mediating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and information quality did not have a positive impact. Sixth, system quality and service quality among the subvariables of distan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quality had a positive impact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by fully mediating learner satisfaction, and information quality did not have a positive impact.
      This study aims to apply the model of DeLone & McLean (2003) to present the following implications through demonstration studies of systems, information, service qua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er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First, This work can contribute to academic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field of university distan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the future through empirical verification of research that can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distan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n COVID-19.
      Second, Distan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not only for students with high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response, Professors need resources and support to motivate learners to learn and design systematic distance classes so that they can lead learning. In addition, the establishment of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that can provide quality lecture content to students should be preceded.
      Third, Facing the transition of traditional face-to-face classes to full-scale distance classes in COVID-19 situations, the need to build infrastructure and support systems at the university level and strengthen faculty capacity, as well as continuous support at the university and central government level.
      Finally, universities and other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sites are making efforts to strengthen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rough distance education and are improving and expanding their insufficient areas into an educational environment for utilizing digital content. In line with this trend, universities should be supported by continuous interest and efforts i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learning and lecture contents to improve the quality of distan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원격 창업 강좌 수강생의 학습자 특성에 기반하여 효과적인 창업교육 방안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앞으로 더욱 증가하게 될 원격 창업 강좌의 전반적인 교육 내용 및 교수법, 강사 역량 및 교육환경 개선 등의 과제에 관한 수요자 요구도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원격 창업교육 시스템 구축에 기여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설문지는 수도권 소재 D대학 사이버 창업 강좌에 온라인으로 배포됐으며 총 230명이 참여했다. 표본은 55.7%로 1학년 비율이 가장 많았으며, 남학생(43.5%), 여학생(56.5%)으로 여학생 비율이 더 높았다. 강좌 수강 시 활용한 정보통신 기기로는 노트북(69.1%)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선호하는 수업방식은 비실시간 동영상 강의(77.4%)가 제일 큰 비율을 차지하였다.
      SPSS 2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빈도분석을 수행하였고, SmartPLS 3.0를 이용하여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 및 구조 방정식 모델링 분석을 통한 가설 검정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 창업교육 품질의 하위변수 중 시스템 품질과 서비스 품질은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정보 품질은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둘째, 원격 창업교육 품질의 모든 하위변수가 학습자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창업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학습자만족은 창업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원격 창업교육 품질의 하위변수 중 시스템 품질과 서비스 품질은 자기주도학습능력을 완전매개하여 창업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정보 품질은 정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여섯째, 원격 창업교육 품질의 하위변수 중 시스템 품질과 서비스 품질은 학습자만족을 완전매개하여 창업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정보 품질은 정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본 연구는 DeLone & McLean(2003)의 모델을 적용하여 원격 창업교육의 시스템, 정보, 서비스 품질과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자만족, 창업자기효능감의 실증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대학 원격 창업교육과 창업자기효능감의 관계를 규명할 수 있는 연구의 실증적 검증을 통한 향후 대학 원격 창업교육 분야의 학문적 연구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둘째, 원격 창업교육은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높은 학생들만 수강하는 강좌가 아니다. 이에 교수자는 학습자에게 학습동기를 부여하고 주도적인 학습이 가능할 수 있게 체계적인 원격수업을 설계할 수 있는 자원과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학생들에게 양질의 강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학습관리시스템 구축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COVID-19 상황에서 기존의 대면 수업이 전면 원격수업으로 전환되는 상황을 마주하면서 대학 차원에서의 인프라 및 지원체제 구축과 교수자 역량 강화의 필요성과 함께 대학 및 중앙정부 차원에서의 교원 역량 강화 및 시스템 구축에 있어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대학을 비롯한 초·중등교육 현장에서도 원격교육을 통해 자기주도학습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부족한 부문을 디지털 콘텐츠 활용을 위한 교육환경으로 개선·확대하고 있다. 대학은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원격 창업교육의 품질 개선을 위한 교수학습 개발 및 강의 콘텐츠 개발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원격 창업 강좌 수강생의 학습자 특성에 기반하여 효과적인 창업교육 방안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앞으로 더욱 증가하게 될 원...

      본 연구에서는 원격 창업 강좌 수강생의 학습자 특성에 기반하여 효과적인 창업교육 방안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앞으로 더욱 증가하게 될 원격 창업 강좌의 전반적인 교육 내용 및 교수법, 강사 역량 및 교육환경 개선 등의 과제에 관한 수요자 요구도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원격 창업교육 시스템 구축에 기여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설문지는 수도권 소재 D대학 사이버 창업 강좌에 온라인으로 배포됐으며 총 230명이 참여했다. 표본은 55.7%로 1학년 비율이 가장 많았으며, 남학생(43.5%), 여학생(56.5%)으로 여학생 비율이 더 높았다. 강좌 수강 시 활용한 정보통신 기기로는 노트북(69.1%)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선호하는 수업방식은 비실시간 동영상 강의(77.4%)가 제일 큰 비율을 차지하였다.
      SPSS 2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빈도분석을 수행하였고, SmartPLS 3.0를 이용하여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 및 구조 방정식 모델링 분석을 통한 가설 검정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 창업교육 품질의 하위변수 중 시스템 품질과 서비스 품질은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정보 품질은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둘째, 원격 창업교육 품질의 모든 하위변수가 학습자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창업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학습자만족은 창업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원격 창업교육 품질의 하위변수 중 시스템 품질과 서비스 품질은 자기주도학습능력을 완전매개하여 창업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정보 품질은 정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여섯째, 원격 창업교육 품질의 하위변수 중 시스템 품질과 서비스 품질은 학습자만족을 완전매개하여 창업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정보 품질은 정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본 연구는 DeLone & McLean(2003)의 모델을 적용하여 원격 창업교육의 시스템, 정보, 서비스 품질과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자만족, 창업자기효능감의 실증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대학 원격 창업교육과 창업자기효능감의 관계를 규명할 수 있는 연구의 실증적 검증을 통한 향후 대학 원격 창업교육 분야의 학문적 연구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둘째, 원격 창업교육은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높은 학생들만 수강하는 강좌가 아니다. 이에 교수자는 학습자에게 학습동기를 부여하고 주도적인 학습이 가능할 수 있게 체계적인 원격수업을 설계할 수 있는 자원과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학생들에게 양질의 강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학습관리시스템 구축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COVID-19 상황에서 기존의 대면 수업이 전면 원격수업으로 전환되는 상황을 마주하면서 대학 차원에서의 인프라 및 지원체제 구축과 교수자 역량 강화의 필요성과 함께 대학 및 중앙정부 차원에서의 교원 역량 강화 및 시스템 구축에 있어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대학을 비롯한 초·중등교육 현장에서도 원격교육을 통해 자기주도학습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부족한 부문을 디지털 콘텐츠 활용을 위한 교육환경으로 개선·확대하고 있다. 대학은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원격 창업교육의 품질 개선을 위한 교수학습 개발 및 강의 콘텐츠 개발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3
      • 제2절 연구의 범위와 구성 5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3
      • 제2절 연구의 범위와 구성 5
      • 1.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 2. 연구의 구성 5
      • 제2장 이론적 배경 7
      • 제1절 원격 창업교육 품질 7
      • 1. 원격 창업교육 품질의 개념 7
      • 2. 원격 창업교육에 관한 이론적 모형 13
      • 제2절 자기주도학습능력 15
      • 1. 자기주도학습능력의 개념 15
      • 제3절 학습자만족 19
      • 1. 학습자만족의 개념 19
      • 제4절 창업자기효능감 21
      • 1. 창업자기효능감의 개념 21
      • 제3장 연구모형 및 가설 23
      • 제1절 연구모형 23
      • 제2절 연구가설 24
      • 1. 원격 창업교육 품질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의 관계 24
      • 2. 원격 창업교육 품질과 학습자만족의 관계 25
      • 3.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창업자기효능감의 관계 28
      • 4. 학습자만족과 창업자기효능감의 관계 29
      • 제3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 30
      •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30
      • 2. 측정도구 33
      • 제4절 연구조사 및 연구방법 35
      • 1. 연구조사 35
      • 2. 연구방법 35
      • 제4장 실증분석 및 가설 검정 37
      • 제1절 표본특성 및 기술통계 37
      • 제2절 신뢰도 분석 및 타당도 분석 40
      • 제3절 구조모형분석 44
      • 제4절 가설 검정 47
      • 1. 경로 분석 47
      • 2. 가설 검정 결과 48
      • 제5장 결론 50
      •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50
      • 1. 연구결과의 요약 50
      • 2. 연구의 시사점 53
      •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제언 54
      • 참 고 문 헌 55
      • 설 문 지 71
      • ABSTRACT 7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