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등교육조선어급한문독본(中等敎育朝鮮語及漢文讀本)』과 타(他) 독본과의 비교 연구: 『時文讀本』, 『中等朝鮮語作文』, 『文藝讀本』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Comparison Analysis between 『JungdeunggyoyukJoseoneogeuphanmundokbon(中等敎育朝鮮語及漢文讀本)』and Informal Representative textbooks as 『Simundokbon(時文讀本)』,『JungdeungJoseoneojakmun(中等朝鮮語作文)』,『Munyedokbon(文藝讀本)』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research, I examine relation between 『JungdeunggyoyukJoseoneogeuphanmundokbon』(After this 』Jungdeungdokbon』) and Representative textbooks like 『Simundokbon』, 『JungdeungJoseoneojakmun』, 『Munyedokbon』during the Japanese Colon...

      In this research, I examine relation between 『JungdeunggyoyukJoseoneogeuphanmundokbon』(After this 』Jungdeungdokbon』) and Representative textbooks like 『Simundokbon』, 『JungdeungJoseoneojakmun』, 『Munyedokbon』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era. Japanese Government - General of Korea worried whether or not to include famous korean writer's articles and method of Containing in it. A lot of articles put in 『Jungdeungdokbon』, were selected among the printed articles during 1910s and 1930s by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on their own Criteria. 『Simundokbon』in 1910s, 『JungdeungJoseoneojakmun』in 1920s and 『Munyedokbon』 in 1930s Overlapped most parts. These textbooks satisfied literary impuls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ut side education system.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made use of these influential textbooks in compilation of Josuneo dokbon. But, in spite of overlapping textbook, they did not intend to including outcome of New Literary Movement and korean Emotion in 『Jungdeungdokbon』. They selected only parts useful in colonial policy, suiting their taste and falsified them. This can be read off by comparing 『Jungdeungdokbon』and other textbooks in many Aspect of accepta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中等敎育朝鮮語及漢文讀本』(이하 『中等讀本』)과 일제시대 대표적 독본이었던 『時文讀本』, 『中等朝鮮語作文』, 『文藝讀本』과의 관련성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은 『中等敎育朝鮮語及漢文讀本』(이하 『中等讀本』)과 일제시대 대표적 독본이었던 『時文讀本』, 『中等朝鮮語作文』, 『文藝讀本』과의 관련성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조선총독부는 『中等讀本』을 편찬하면서 조선 문사의 글의 수록 여부, 수록한다면 그것을 어떠한 방식으로 수록할 것인지 상당히 고심했던 것으로 보인다. 『中等讀本』에 실린 많은 글들은 1910년대부터 1930년대 초반까지 잡지나 신문, 독본 등에서 취사선택하였다. 특히 1910년대의 최남선의 『時文讀本』, 1920년대 조한문교원회가 편찬한 『中等朝鮮語作文』, 1930년대 편찬된 이윤재의 『文藝讀本』과 상당 부분이 겹치고 있다. 이들 독본들은 중등학생들에게 제도 교육 밖에서 1910-20년대 사용된 중등용 교과서인 『高等朝鮮語及漢文讀本』, 『新編高等朝鮮語及漢文讀本』, 『女子高等朝鮮語讀本』에서 채울 수 없었던 다양한 독서 욕구를 채워주었다. 1930년대 일제가 『中等讀本』을 편찬하면서 대중에게 파급력이 있던 독본의 내용을 가져와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중요한 점은 『中等讀本』과 이들 독본류의 글이 상당 부분 겹친다 하더라도 일제가 이들 독본류가 담고 있던 신문학 운동의 성과와 조선적인 정서를 『中等讀本』에 그대로 담아내고자 한 것은 아니었다. 같은 제재라도 일제의 구미에 맞게 변개시키며 식민정책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선별적으로 실은 것을 알 수 있다. 『中等讀本』과 이 독본들을 비교해 보면 수용 양상 면에서 여러 가지 차이점이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현대평론"

      2 한글학회, "한글학회50년사" 한글학회기념사업회 1971

      3 "한글"

      4 이길상, "한국교육사료집성:미군정기편 Ⅱ"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5 "청춘"

      6 조선총독부, "중등교육조선어급한문독본" 卷五 1937

      7 아세아문화사, "조선총독부관보" 現五卷 1985

      8 강진호, "조선어독본 5" 제이앤씨 2010

      9 강진호, "조선어독본 3" 제이앤씨 2010

      10 박노현, "이태준과 현대소설사" 깊은샘 2004

      1 "현대평론"

      2 한글학회, "한글학회50년사" 한글학회기념사업회 1971

      3 "한글"

      4 이길상, "한국교육사료집성:미군정기편 Ⅱ"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5 "청춘"

      6 조선총독부, "중등교육조선어급한문독본" 卷五 1937

      7 아세아문화사, "조선총독부관보" 現五卷 1985

      8 강진호, "조선어독본 5" 제이앤씨 2010

      9 강진호, "조선어독본 3" 제이앤씨 2010

      10 박노현, "이태준과 현대소설사" 깊은샘 2004

      11 "신생활"

      12 "신생"

      13 "서울"

      14 "새별"

      15 "삼천리"

      16 "붉은저고리"

      17 "별건곤"

      18 임순영, "민족혼을 제거한 문화주의 교과서-『中等敎育朝鮮語及漢文讀本』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98) : 207-233, 2014

      19 "매일신보"

      20 "동아일보"

      21 천정환, "근대의 책읽기" 푸른역사 2010

      22 구자황, "근대 독본의 성격과 위상(3) —1930년대 독본(讀本)의 교섭과 전변을 중심으로" 반교어문학회 29 (29): 5-32, 2010

      23 김혜정, "국어 교재의 문종 및 지은이 변천에 대한 통사적 검토 - 현대 교육과정기 전후 변화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16 (116): 35-66, 2005

      24 "개벽"

      25 문혜윤, "時文讀本" 경진문화 2009

      26 문혜윤, "文藝讀本" 경진문화 2009

      27 문혜윤, "中等朝鮮語作文" 경진 2011

      28 임상석, "『시문독본』의 편찬 과정과 1910년대 최남선의 출판 활동" 상허학회 25 : 33-53, 2009

      29 임순영, "<中等敎育朝鮮語及漢文讀本>을 통해 본 식민지 교과서의 이면 탐색" 한국어교육학회 143 (143): 285-310,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8 1.285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