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체의 ‘빈곤’에서 주체의 ‘충만’으로 : 라깡과 지젝의 관점에서 살펴본 영화 〈퍼스트 리폼드〉에 나타난 주체 문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385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영화 〈퍼스트 리폼드〉를 라깡과 지젝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분석한 글이다. ‘애국 전통’에 따라 대를 이어 군복무에 충성하던 〈퍼스트 리폼드〉의 주인공 툴러 목사는 아들을 이라크에서 잃은 것을 계기로 환상이 가로질러지면서 공백을 대면하게 된다. 툴러는 이전의 상징계로 되돌아가는 대신 조그만 시골교회에 몸을 의탁한 채 고통과 허무의 삶을 견딘다. 이런 그가 교회 신도를 통해 실재계적 사건이라 할 수 있는 ‘신비한 매직 여행’을 겪게 되면서 이후 환경 운동을 위해 ‘자폭 소명’(suicidal calling)을 받은 주체로 다시 태어나게 된다. 이로 인해 그는 담임목사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교회에서 자폭하려는 ‘욕망’을 포기하지 않는 충동의 주체로 살아간다. 이 글은 환상이 가로질러지고 공백을 대면하게 된 상황을 주체의 ‘빈곤’으로, 실재계적 사건을 통해 새로운 주체로 태어나 자신의 욕망을 포기하지 않고 추구하는 상황을 주체의 ‘충만’이라 명명하면서 주인공 툴러의 삶과 변화를 라깡과 지젝의 관점으로 분석한다. 이 과정에서 주이상스, 정신분석학의 윤리, 증환 등과 같은 개념들의 적용도 타진해 본다. 또한 이 영화가 팬데믹 상황에 처한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도 간단하게나마 살펴본다.
      번역하기

      이 글은 영화 〈퍼스트 리폼드〉를 라깡과 지젝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분석한 글이다. ‘애국 전통’에 따라 대를 이어 군복무에 충성하던 〈퍼스트 리폼드〉의 주인공 툴러 목사는 아들을 ...

      이 글은 영화 〈퍼스트 리폼드〉를 라깡과 지젝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분석한 글이다. ‘애국 전통’에 따라 대를 이어 군복무에 충성하던 〈퍼스트 리폼드〉의 주인공 툴러 목사는 아들을 이라크에서 잃은 것을 계기로 환상이 가로질러지면서 공백을 대면하게 된다. 툴러는 이전의 상징계로 되돌아가는 대신 조그만 시골교회에 몸을 의탁한 채 고통과 허무의 삶을 견딘다. 이런 그가 교회 신도를 통해 실재계적 사건이라 할 수 있는 ‘신비한 매직 여행’을 겪게 되면서 이후 환경 운동을 위해 ‘자폭 소명’(suicidal calling)을 받은 주체로 다시 태어나게 된다. 이로 인해 그는 담임목사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교회에서 자폭하려는 ‘욕망’을 포기하지 않는 충동의 주체로 살아간다. 이 글은 환상이 가로질러지고 공백을 대면하게 된 상황을 주체의 ‘빈곤’으로, 실재계적 사건을 통해 새로운 주체로 태어나 자신의 욕망을 포기하지 않고 추구하는 상황을 주체의 ‘충만’이라 명명하면서 주인공 툴러의 삶과 변화를 라깡과 지젝의 관점으로 분석한다. 이 과정에서 주이상스, 정신분석학의 윤리, 증환 등과 같은 개념들의 적용도 타진해 본다. 또한 이 영화가 팬데믹 상황에 처한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도 간단하게나마 살펴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nalyzes the movie, 〈First Reform〉, from the perspective of Lacan and Žižek. Rev. Toller, the main character of the movie who had been loyal to military service for generations according to the “patriotic tradition” of his family, faced the void when his fantasy was traversed upon the loss of his son in Iraq. Instead of going back to his previous symbolic world, he serves a small rural church and endures a life of pain and emptiness. Meanwhile, after experiencing a “mysterious magic trip” with a female environmental activist in his church, he was ‘reborn’ as a new subject who had a “suicide calling” for the environmental movement. As a result, he lives as a subject of the drive not to give up his desire to carry out a suicidal explosion in his church, even though he is a pastor in charge. Referring to the situation in which fantasy is removed and the void emerges as "poverty" of the subject, and the situation in which he/she is born as a new subject due to the advent of the real and pursues his/her desires without giving up as "fullness" of the subject, this article analyzes the life and change of the main character from the perspectives of Lacan and Žižek, In this process, the concepts such as jouissance, psychoanalytic ethics, and sinthome will also be explored. Besides, the movie’s message to the pandemic disaster will be briefly mentioned.
      번역하기

      This article analyzes the movie, 〈First Reform〉, from the perspective of Lacan and Žižek. Rev. Toller, the main character of the movie who had been loyal to military service for generations according to the “patriotic tradition” of his famil...

      This article analyzes the movie, 〈First Reform〉, from the perspective of Lacan and Žižek. Rev. Toller, the main character of the movie who had been loyal to military service for generations according to the “patriotic tradition” of his family, faced the void when his fantasy was traversed upon the loss of his son in Iraq. Instead of going back to his previous symbolic world, he serves a small rural church and endures a life of pain and emptiness. Meanwhile, after experiencing a “mysterious magic trip” with a female environmental activist in his church, he was ‘reborn’ as a new subject who had a “suicide calling” for the environmental movement. As a result, he lives as a subject of the drive not to give up his desire to carry out a suicidal explosion in his church, even though he is a pastor in charge. Referring to the situation in which fantasy is removed and the void emerges as "poverty" of the subject, and the situation in which he/she is born as a new subject due to the advent of the real and pursues his/her desires without giving up as "fullness" of the subject, this article analyzes the life and change of the main character from the perspectives of Lacan and Žižek, In this process, the concepts such as jouissance, psychoanalytic ethics, and sinthome will also be explored. Besides, the movie’s message to the pandemic disaster will be briefly mention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한글 초록
      • Ⅰ. 들어가며
      • Ⅱ. 주체의 문제: ‘빈곤’에서 ‘충만’으로
      • Ⅲ. 주체의 빈곤
      • Ⅳ. 신경증: 의심의 주체
      • 한글 초록
      • Ⅰ. 들어가며
      • Ⅱ. 주체의 문제: ‘빈곤’에서 ‘충만’으로
      • Ⅲ. 주체의 빈곤
      • Ⅳ. 신경증: 의심의 주체
      • Ⅴ. 실재계의 개입
      • Ⅵ. 열린 결말
      • Ⅶ. 영웅의 길
      • Ⅷ. 나오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서영, "프로이트의 환자들" 프로네시스 2010

      2 김서영, "절멸의 방향성을 극복하는 법, 또는 대양적 감성을 회복하는길" 한국현대정신분석 2015

      1 김서영, "프로이트의 환자들" 프로네시스 2010

      2 김서영, "절멸의 방향성을 극복하는 법, 또는 대양적 감성을 회복하는길" 한국현대정신분석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12-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라깡과현대정신분석학회 ->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Lacan And Contemporary Psychoanalysis -> The Korean Society for Contemporary Psychoanalysis
      KCI등재
      2017-12-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라깡과 현대정신분석 -> 현대정신분석
      외국어명 : Journal of Lacan & Contemporary Psychoanalysis -> The Journal of Contemporary Psychoanalysi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6 1.73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