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바이오 센서 신호 처리용 SoC 플랫폼 설계 = SoC Platform Design for Bio-Sensor Signal Process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8078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바이오 센서 신호 처리를 위한 SoC Platform을 제안합니다. 기술의 발전 및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건강에 관심을 갖고 있는 지금 다양한 생체 신호를 분석하고 해석하여 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시대가 도래하고 있습니다. 생체 신호 처리는 그 특성상 실시간 신호처리가 매우 중요하고 이를 위해 생체 신호 센서에서 들어오는 데이터의 연속적인 메모리 저장과 이를 딜레이 없이 처리할 수 있는 프로세서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인 MCU 기반의 신호처리는 신호를 연속적으로 전송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신호처리 병목현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생체 신호들을 처리할 수 있게 프로그래밍 가능한 MCU와 연속적으로 들어오는 생체 신호를 MCU를 거치지 않고 직접 메모리로 저장하는 별도의 Sensor data controller를 내장하여 다양한 생체 신호 센서에 맞는 신호처리 알고리즘을 수행 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바이오 센서 신호 처리를 위한 SoC Platform을 제안합니다. 기술의 발전 및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건강에 관심을 갖고 있는 지금 다양한 생체 신호를 분석하고 ...

      본 논문에서는 바이오 센서 신호 처리를 위한 SoC Platform을 제안합니다. 기술의 발전 및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건강에 관심을 갖고 있는 지금 다양한 생체 신호를 분석하고 해석하여 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시대가 도래하고 있습니다. 생체 신호 처리는 그 특성상 실시간 신호처리가 매우 중요하고 이를 위해 생체 신호 센서에서 들어오는 데이터의 연속적인 메모리 저장과 이를 딜레이 없이 처리할 수 있는 프로세서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인 MCU 기반의 신호처리는 신호를 연속적으로 전송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신호처리 병목현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생체 신호들을 처리할 수 있게 프로그래밍 가능한 MCU와 연속적으로 들어오는 생체 신호를 MCU를 거치지 않고 직접 메모리로 저장하는 별도의 Sensor data controller를 내장하여 다양한 생체 신호 센서에 맞는 신호처리 알고리즘을 수행 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io signal is important issue for medical care system in these days. This signals has specific characteristics each others. It's difficult to measure many Bio signals for own characteristics. We need to reduce the price of measure signals and increase the reusability. This paper proposes a SoC platform for Bio-Sensor signal processing. This platform has Sensor data controller to remove bottleneck phenomenon when MCU get sensor data. This platform has MCU, 8051 compatible, for flexibility. We design the proposed SoC Platform and Sensor data controller usign Verilog-HDL and implement and verify the operation using FPGA.
      번역하기

      Bio signal is important issue for medical care system in these days. This signals has specific characteristics each others. It's difficult to measure many Bio signals for own characteristics. We need to reduce the price of measure signals and increase...

      Bio signal is important issue for medical care system in these days. This signals has specific characteristics each others. It's difficult to measure many Bio signals for own characteristics. We need to reduce the price of measure signals and increase the reusability. This paper proposes a SoC platform for Bio-Sensor signal processing. This platform has Sensor data controller to remove bottleneck phenomenon when MCU get sensor data. This platform has MCU, 8051 compatible, for flexibility. We design the proposed SoC Platform and Sensor data controller usign Verilog-HDL and implement and verify the operation using FPG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國文抄錄
      • 英文抄錄
      • 제 1 장 서 론
      • 國文抄錄
      • 英文抄錄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기초 이론
      • 2.1 Reference Bio-sensor
      • 2.2 Protocol
      • 2.2.1 Sensor와 Platform과의 Protocol
      • 2.2.2 Display와 Platform과의 Protocol
      • 제 3 장 연구 내용
      • 3.1 제안하는 구조
      • 3.1.1 전체 Platform 구조
      • 3.2 MCU(8051 Compatible)
      • 3.3 Sensor data controller
      • 3.3.1 Sensor data controller 사용 목적
      • 3.3.2 Memory Map
      • 제 4 장 결 과
      • 4.1 시뮬레이션 결과
      • 4.2 합성 결과
      • 4.3 검증
      • 제 5 장 결 론
      • 參考文獻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