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태권도 수련이 어린이의 행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aekwondo Training on children's behavioral develop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530629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06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6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698.2 판사항(4)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 78p. : 삽도 ; 26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67-68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동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체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태권도가 이제는 하나의 학문으로서 자리를 찾아가고 있는 지금에 실기위주보다는 더 이론을 중점적으로 하여 세계 모든 태권도장 교육을 체계적으로 지도하고 통합적인 계획으로 관리할 ...

      태권도가 이제는 하나의 학문으로서 자리를 찾아가고 있는 지금에 실기위주보다는 더 이론을 중점적으로 하여 세계 모든 태권도장 교육을 체계적으로 지도하고 통합적인 계획으로 관리할 수 있는 교육, 행정의 분야를 개척해야하며 단순히 기술적 발전만이 아니라 정신적으로 확립을 위해 철학적으로 그 기초적인 토대를 정립시켜 태권도를 지도 및 수련하는 자들이 바람직한 가치관을 확립함으로써 무도의 본질성을 찾고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전인적인 인간의 형성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태권도를 지도 및 수련하는 자들이 태권도를 통하여 단순히 신체적인 발전만이 아니라 태권도의 우수성과 훌륭한 교육효과가 어떤 측면에서 교육적인 가치로 활용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일선 교육자들을 통해 널리 상기 시킬 수 있도록 하기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태권도 수련이 어린이들의 행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태권도체육관 수련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첫째, 태권도 수련실태, 둘째, 태권도 수련이 인성에 미치는 영향, 셋째, 태권도 수련이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 넷째, 태권도 수련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 다섯째, 태권도 수련이 자녀의 행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을 분석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현재 한국태권도 수련에 있어서 무예로서 태권도의 교육적 가치뿐만 아니라 생활체육으로서의 태권도체육관의 경영적인 부분을 통해 좀더 수련 아동들에게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는 종합적인 태권도체육관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등의 중요성이 요구된다.
      2. 태권도를 통한 인성발달은 스포츠의 가치가 매우 중요한 사실임이 여러방면에서 입증되는 만큼 학교체육에서 생활체육으로서의 태권도를 학생들에게 의무적으로 교육시킴으로서 왕따 또는 집단 따돌림 등의 예방 교육으로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3. 태권도 수련을 통한 학교생활은 연장선상에서 이어지는 태권도 프로그램에 의한 것으로서 좀더 수련 아동들에게 학교와 지역 태권도체육관의 프로그램 연계를 통해 좀더 전인적인 그리고 창의적인 통합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4. 태권도를 통한 행동발달은 태권도의 전인적인 가치에서 엿볼수 있듯이 여가시대의 진입으로 인해 그리고 주5일수업제 시행으로 인한 그 준비로서 태권도체육관과 학교 그리고 지역사회가 함께 할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와 교육적이며 홍보적인 아울러 함께 참여할 수 있는 부분에의 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5. 태권도 교육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은 매우 긍정적이며 오히려 지역학원 스포츠로서 태권도체육관의 수련아동들의 참여율과 여기에 대한 학부모들의 관심은 대단하다. 이를 반영하듯이 많은 태권도체육관들이 월 2회 이상의 학부모와 수련 아동들이 함께 참여하는 이벤트를 추진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태권도체육관의 교육적인 질의 향상 그리고 학부모들의 자발적인 참여 아울러 수련아동들의 재미있고 다양한 체험을 통한 창의적, 인정적 발달의 전인적인 발달을 위해 꾸준한 지도자들의 연구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lies in analyzing the effect of Taekwondo training on children's behavioral development. And for that, I conducted asurvey, having taekwondo trainees and their parents as the subject. Andby analyzing first, the realities of ...

      The purpose of this paper lies in analyzing the effect of Taekwondo training on children's behavioral development. And for that, I conducted asurvey, having taekwondo trainees and their parents as the subject.
      Andby analyzing first, the realities of taekwondo training, second, the effect of taekwondo training on the personality traits, third, the effect of taekwondo training on the school life, fourth, the effect of taekwondo training on behavior, fifth, the parents' perception regarding taekwondo training's effect on their children's behavioral growth, the results wereas follows:
      1.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for comprehensive taekwondo gymnasiums was required, which enable their practitioners toundergo various experience not only through the educational value of taekwondo as the martial arts but also through management in thearea of training of taekwondo as the sports for all activities.
      2. As the value of sport was verified as important in many aspects, the personality enhancement through taekwondo was judged to be needed in preventing the bullying or bullying within the group byproviding taekwondo as the mandatory subject of sport for all atschools.
      3. The school life through taekwondo practition, provided in the prolonged line of school education was regarded wanting moreof-whole-man, creative, synthetic education by means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school system and the local taekwondo training centersystem in establishing programs.
      4. As we can see from the education of the whole man value of taekwondo, as to the behavioral development through taekwondo, various events which include gymnasiums, schools and local society and endeavors in educational, promotional and participating parts were believed to be absolutely needed, as the preparation for the execution of five-day class week and the entry into the era of leisure.
      5. The parents' perception of taekwondo education was very positive and preferably as the sport in communal private education children's participation rate and parents' interest were sohuge. As if reflecting that, most of local gymnasiums operated biweekly events for both kids and parents.
      Therefore, coach's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is required for creative and of-whole-man in personality area, development through educational quality improvement of taekwondo gymnasium, voluntary involvement of parents and trainee's interesting and variety experie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목차 = ⅰ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 3
      • 국문요약
      • 목차 = ⅰ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 3
      • 3. 연구의 범위 = 3
      • Ⅱ. 이론적 배경 = 5
      • 1. 태권도의 역사 = 5
      • 1) 근세의 태권도 = 8
      • 2) 현대의 태권도 = 10
      • 2. 태권도와 한국문화 = 11
      • 3. 태권도의 교육적 가치와 철학적 인간관 = 12
      • 1) 태권도의 교육적 가치 = 13
      • (1) 연습의 효과 = 15
      • (2) 보상의 제공 = 16
      • (3) 구조화의 제공 = 16
      • (4) 완전학습 기회 제공 = 16
      • (5) 집중력 향상의 기회제공 = 17
      • (6) 남녀평등의 기회 제공 = 17
      • (7) 미적개념의 습득기회 제공 = 17
      • (8) 자신감 고양 = 18
      • 2) 태권도의 철학적 인간관 = 18
      • Ⅲ. 연구방법 = 21
      • 1. 연구대상 = 21
      • 2. 연구절차 = 22
      • 3. 자료분석 = 22
      •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 24
      • 1. 태권도 수련 실태 = 24
      • 1) 태권도를 하게 된 동기 = 24
      • 2) 태권도를 권유한 사람 = 26
      • 3) 태권도 교육 중 가장 중요한 부분 = 27
      • 2. 태권도 수련이 인성에 미치는 영향 = 30
      • 1) 태권도 수련 후 집중력 = 30
      • 2) 태권도 수련 후 자신감 = 30
      • 3) 태권도 수련 후 감정에 대한 자제력 = 31
      • 3. 태권도 수련이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 = 32
      • 1) 태권도 수련 후 학교 숙제에 대한 성취도 = 32
      • 2) 태권도 수련 후 수업에 임하는 태도 = 32
      • 3) 태권도 수련 후 교우간의 믿음성 = 33
      • 4) 태권도 수련 후 교우간의 의리 = 34
      • 4. 태권도 수련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 = 35
      • 1) 태권도 수련 후 두려움에 대한 용기 = 35
      • 2) 태권도 수련 후 이해력 = 35
      • 3) 태권도 수련 후 판단력 = 36
      • 4) 태권도 수련 후 규칙 및 질서의식 = 36
      • 5) 태권도 수련 후 시간관념 = 37
      • 6) 태권도 수련 후 인사성 = 38
      • 7) 태권도 수련 후 식사예절 = 38
      • 8) 태권도 수련 후 올바른 언어사용 = 39
      • 9) 태권도 수련 후 웃어른에 대한 존경심 = 39
      • 10) 태권도 수련 후 정리정돈 습관 = 40
      • 11) 태권도 수련 후 용모 단정 정도 = 41
      • 5. 태권도 수련이 자녀의 행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 42
      • 1) 태권도 수련이 자녀의 인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 42
      • (1) 태권도 수련 후 자녀의 의욕성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 42
      • (2) 태권도 수련 후 자녀의 성격변화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 43
      • (3) 태권도 수련 후 자녀의 집중력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 45
      • (4) 태권도 수련 후 자녀의 인내심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 46
      • (5) 태권도 수련 후 자녀의 나라 사랑하는 마음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 48
      • (6) 태권도 수련 후 자녀의 활동성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 50
      • (7) 태권도 수련 후 자녀의 리더십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 52
      • 2) 태권도 수련이 자녀의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 53
      • (1) 태권도 수련 후 자녀의 성적 변화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 53
      • (2) 태권도 수련 후 자녀의 교우관계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 55
      • (3) 태권도 수련 후 자녀의 발표력 향상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 57
      • 3) 태권도 수련이 자녀의 행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 58
      • (1) 태권도 수련 후 자녀의 침착성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 58
      • (2) 태권도 수련 후 자녀의 용기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 60
      • (3) 태권도 수련 후 자녀의 신체청결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 61
      • Ⅴ. 결론 및 제언 = 64
      • 1. 결론 = 64
      • 2. 제언 = 65
      • ◈ 참고문헌 ◈ = 67
      • ※ 부록 (설문지) = 69
      • ABSTRACT = 7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