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Group Mnet 기계학습을 통한 대학생 진로개발역량 관련 변수 탐색 = A study on the exploration of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through group Mnet machine lear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980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variables such as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variables, affecting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using a machine learning technique. For this purpose, the University Career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variables such as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variables, affecting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using a machine learning technique. For this purpose, the University Career and Employment Support Status Survey(2020) conducted by KRIVET was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found that grade, gender, and school location were not selected in this study, but satisfaction with department,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subject, career and employment service programs were selected. As individual variables newly selected in this study, middle and high school career experience and the degree of its help to select university and major, and the degree of recognition that career develop activities in middle and high school were helpful in career exploration and design were selected. As university variables, support for strengthening the competency of employees, the degree of cooperation of professors when providing guidance and support for start-ups, benefits for professors' participation for career counseling and employment/start-up support, and variables related to networks with places of employment were selected. As implecations, we suggested career education reflecting the needs of majors and individuals, career guidance and mentoring with professors and experts, and directions for selecting college career guidance cours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기계학습 기법을 활용하여 개인차원의 변수와 조직차원의 변수 등 가능한 많은 변수를 활용하여 종합적인 관점에서 대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변수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

      이 연구는 기계학습 기법을 활용하여 개인차원의 변수와 조직차원의 변수 등 가능한 많은 변수를 활용하여 종합적인 관점에서 대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변수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한국직업능력연구원에서 실시한 대학 진로취업지원 현황조사(2020)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기계학습 기법 중 하나인 벌점회귀모형 중 여러 개의 가변수를 묶어 하나의 집단 변수로 취급할 수 있는 속성이 추가된 group Enet과 group Mnet을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 선행연구에서 통계적 유의미성이 확인된 변수 중 학년, 성별, 학교 소재지는 본 연구에서 선택되지 않았으나, 계열, 진로지도 및 상담 교과목/진로·취업서비스 프로그램의 만족도가 선택되었다. 본 연구에서 새롭게 선택된 개인변수로는 중·고등학교 진로교육 경험과 대학 및 학과 선택에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는 정도, 중·고등학교에서 이루어졌던 진로심리검사, 진로체험, 진로동아리, 진로상담이 진로탐색과 설계에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는 정도 등이 선택되었다. 대학변수로는 직원들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지원, 창업 지도 및 지원시 전임교원들의 협력 정도, 교수의 진로 및 취·창업 지원 참여 독려에 대한 혜택, 취업처와의 네트워크 관련 변수 등이 선택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으로는 전공 및 개인의 요구를 반영한 진로교육 제공, 대학 입학 이후 담당 교수 및 전문가와의 지속적 진로지도 및 멘토링, 대학 진로지도 교과목 내용 선정에 대한 방향 등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손진희 ; 송은령, "한국 대학생의 진로결정 및 준비행동 - 사회 인지적 진로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399-417, 2005

      2 통계청, "취업자수/실업률 추이"

      3 이수용 ; 이은수 ; 홍세희, "청년기 진로발달 변화형태가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원 성장 혼합 모형(Two-part Growth Mixture Model)의 적용" 한국직업능력연구원 19 (19): 137-162, 2016

      4 이민욱 ; 김대영 ; 장현진 ; 이가영, "청년 일자리 미스매치 대응을 위한 4년제 대학 교수의 진로지도 역량 요구 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52 (52): 67-95, 2020

      5 이민욱 ; 정지은 ; 정동열, "진로학기제 사례 분석을 통한 대학 진로교육 방향 탐색" 한국농·산업교육학회 50 (50): 57-82, 2018

      6 윤영란, "진로집단상담이 대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14 (14): 125-143, 2008

      7 최동선, "진로지도와 노동시장 이행"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7-49, 2006

      8 박정희 ; 김홍석,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6 (16): 125-144, 2009

      9 박화춘 ; 박천수, "진로교과목과 직장체험 참여 경험이 일자리 만족, 직업과 적성 및 전공 일치에 미치는 영향: 4년제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진로교육학회 32 (32): 109-137, 2019

      10 박신영 ; 이동형, "진로결정수준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조절효과" 한국직업교육학회 32 (32): 23-38, 2013

      1 손진희 ; 송은령, "한국 대학생의 진로결정 및 준비행동 - 사회 인지적 진로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399-417, 2005

      2 통계청, "취업자수/실업률 추이"

      3 이수용 ; 이은수 ; 홍세희, "청년기 진로발달 변화형태가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원 성장 혼합 모형(Two-part Growth Mixture Model)의 적용" 한국직업능력연구원 19 (19): 137-162, 2016

      4 이민욱 ; 김대영 ; 장현진 ; 이가영, "청년 일자리 미스매치 대응을 위한 4년제 대학 교수의 진로지도 역량 요구 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52 (52): 67-95, 2020

      5 이민욱 ; 정지은 ; 정동열, "진로학기제 사례 분석을 통한 대학 진로교육 방향 탐색" 한국농·산업교육학회 50 (50): 57-82, 2018

      6 윤영란, "진로집단상담이 대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14 (14): 125-143, 2008

      7 최동선, "진로지도와 노동시장 이행"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7-49, 2006

      8 박정희 ; 김홍석,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6 (16): 125-144, 2009

      9 박화춘 ; 박천수, "진로교과목과 직장체험 참여 경험이 일자리 만족, 직업과 적성 및 전공 일치에 미치는 영향: 4년제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진로교육학회 32 (32): 109-137, 2019

      10 박신영 ; 이동형, "진로결정수준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조절효과" 한국직업교육학회 32 (32): 23-38, 2013

      11 안수영, "지방대 여학생의 취업장벽과 취업준비"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8

      12 이민욱 ; 이미란 ; 이영민, "중학생의 진로체험이 자율적 학습동기와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진로개발역량의 매개효과" 한국직업교육학회 41 (41): 1-22, 2022

      13 임효신 ; 정철영, "중학생 진로개발역량 검사도구 개발" 한국진로교육학회 28 (28): 107-137, 2015

      14 유지원 ; 류다현 ; 이미나, "자연과학계열 대학생의 문제해결역량, 의사소통역량, 진로개발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규명" 교육과학연구소 46 (46): 31-56, 2015

      15 이송미 ; 조지현, "일 대학 식품영양학과 학생의 진로정체감, 전공만족도 및 대학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6698-6707, 2015

      16 이승민 ; 장근주, "음악대학 학생의 진로탐색경험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개발역량의 상관관계" 한국음악교육학회 43 (43): 47-65, 2014

      17 최동주 ; 이묘숙, "외식조리전공 대학생이 인지하는 개인-전공적합성이 사회적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외식경영학회 22 (22): 69-91, 2019

      18 손은령, "여자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2 : 251-262, 2001

      19 박소현 ; 방성완 ; 전명식, "순차 적응 최근접 이웃을 활용한 결측값 대치법" 한국통계학회 24 (24): 1249-1257, 2011

      20 노민정 ; 유진은, "사회과학 대용량 자료 분석을 위한 벌점회귀모형과 결측처리기법의 성능 비교: 몬테카를로 모의실험" 한국교육평가학회 32 (32): 755-776, 2019

      21 장재윤 ; 신희천 ; 이지영, "대학에서 '전공'에 몰입하면 좋은 직장을 얻게 되는가? 대학생들의 전공 몰입이 취업의 질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의 성차"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 (20): 415-435, 2007

      22 이숙정,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진로미결정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한국진로교육학회 26 (26): 119-139, 2013

      23 이종찬 ; 홍아정,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과 고용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한국교육학회 50 (50): 177-206, 2012

      24 이병식 ; 공희정 ; 김혜림, "대학생의 진로역량개발에 대한 대학 특성 요인의 영향 분석: 층위 간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51 (51): 213-247, 2013

      25 김경화, "대학생의 진로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19 (19): 359-379, 2012

      26 이민욱 ; 이가영 ; 김정현, "대학생의 진로·취업 관련 교과목 및 서비스 경험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산업교육학회 52 (52): 79-107, 2020

      27 이현주, "대학생의 성별 및 사회불안 수준에 따른 진로개방성, 진로탐색활동, 진로정체감의 차이" 한국교육학회 46 (46): 79-99, 2008

      28 김병용, "대학생의 개인 - 환경 적합성이 교수신뢰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40 (40): 67-85, 2016

      29 정지은, "대학생 진로역량과 학생 및 대학특성의 다층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30 진미석 ; 이강주 ; 이상아 ; 김하령, "대학생 진로교육경험과 진로개발 핵심역량"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 (2): 1-21, 2017

      31 김현순, "대학생 진로개발역량 척도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103-127, 2018

      32 박가열, "대학생 진로개발 역량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한국진로교육학회 22 (22): 181-198, 2009

      33 김지근 ; 이지원 ; 이기학, "대학 진학 시 대학 및 학과 선호도 타협 유형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2 (12): 249-269, 2015

      34 이민욱 ; 문찬주 ; 김정현, "대학 진로체험학점제의 효과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083-1105, 2019

      35 성희진 ; 나승일, "대학 졸업예정자의 경력개발역량과 경력탐색행동 및 대학경력개발지원의 관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4 (44): 83-108, 2012

      36 이다경 ; 김연후 ; 박현정, "대학 졸업생의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탐색: 벌점회귀모형 sparse group lasso를 활용하여" 교육연구소 21 (21): 1069-1097, 2020

      37 정철영, "대학 맞춤형 진로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진로탐색 모델 개발 연구" 서울대학교 2021

      38 임언, "교육과정과 연계된 진로교육 운영 모델 구축(총괄보고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39 강승희, "공학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효능감 및 진로태도성숙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교육학회 29 (29): 291-307, 2010

      40 진성희 ; 성은모, "고등교육에서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진로탐색 자기 효능감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공학계열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31 (31): 1-18, 2012

      41 이지연, "고등교육단계에서의 효율적인 진로지도 방안 연구: 4년제 일반대학을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42 진성미, "경력 역량 탐색을 위한 평생학습의 시사" 미래원격교육연구원 5 (5): 21-44, 2009

      43 문인오 ; 이경완,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탐색효능감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 16 (16): 83-91, 2010

      44 Ahmed, W. M., "What determines bitcoin liquidity? A penalized regression approach" 1-12, 2022

      45 KPMG, "The future of higher education in a disruptive world"

      46 Huang, J., "The Mnet method for variable selection" 26 (26): 903-923, 2016

      47 Nikodinoska, D., "Solar and wind power generation forecasts using elastic net in time-varying forecast combinations" 306 : 117983-, 2022

      48 박창이, "R을 이용한 데이터마이닝" 교우사 2011

      49 Zou, H., "Regularization and variable selection via the elastic net" 67 (67): 301-320, 2005

      50 Tibshirani, R., "Regression shrinkage and selection via the lasso" 58 (58): 267-288, 1996

      51 Yoo, J. E., "Online Students’ Learning Behaviors and Academic Success: An Analysis of LMS Log Data From Flipped Classrooms via Regularization" 10 : 10740-10753, 2022

      52 Zhao, P., "On model selection consistency of Lasso" 7 : 2541-2563, 2006

      53 Zhang, C. H., "Nearly unbiased variable selection under minimax concave penalty" 38 (38): 894-942, 2010

      54 Smeekes, S., "Macroeconomic forecasting using penalized regression methods" 34 (34): 408-430, 2018

      55 Li, J., "Logistic regression with adaptive sparse group lasso penalty and its application in acute leukemia diagnosis" 141 : 105154-, 2022

      56 Yoo, J. E., "Large-scale survey data analysis with penalized regression: A Monte Carlo simulation on missing categorical predictors" 2021

      57 Meinshausen, N., "High-dimensional graphs and variable selection with the lasso" 32 (32): 1436-1462, 2006

      58 유진은 ; 김형관 ; 노민정, "Group Mnet 기계학습 기법을 통한 중학생의 끈기(grit) 관련 변수 탐색"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1 (31): 157-182, 2020

      59 노민정 ; 유진은, "Group Mnet 기계학습 기법을 이용한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 관련 변수 탐색"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3 (23): 83-109, 2020

      60 Hastie, T., "Glmnet vignette"

      61 Yoo, J. E., "Exploration of predictors for Korean teacher job satisfaction via a machine learning technique, Group Mnet" 11 : 441-, 2020

      62 Zhang, J., "Crack-Considered Elastic Net Monitoring Model of Concrete Dam Displacement" 2021 : 6950538-, 2021

      63 Akkermans, J., "Competencies for the contemporary career: Development and preliminary validation of the career competencies questionnaire" 40 (40): 245-267, 2013

      64 Hesketh, B., "Career compromise: An alternative account to Gottfredson‘s theory" 37 (37): 49-56, 1990

      65 Hesketh, B., "Career compromise: A test of Gottfredson’s (1981) theory using a policy-capturing procedure" 36 : 97-108, 1990

      66 Jönsson, P., "An evaluation of k-nearest neighbour imputation using Likert data" 108-118, 2004

      67 Huang, J., "Adaptive Lasso for sparse high-dimensional regression models" 18 (18): 1603-1618, 2008

      68 노민정 ; 유진은, "Adaptive LASSO를 통한 진로결정 관련 변수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27 (27): 133-155, 2019

      69 Shevade, S. K., "A simple and efficient algorithm for gene selection using sparse logistic regression" 19 (19): 2246-2253, 2003

      70 Gower, J. C., "A general coefficient of similarity and some of its properties" 27 (27): 857-871, 1971

      71 Leung, S. A., "A choice dilemma approach for examining in relative importance of sex type and prestige preference in the process if career choice compromise" 37 (37): 399-406, 19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