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09생활시간조사자료를 근거로 한 노년층의 여가프로파일 = The Leisure Profile of the Elderly Based on 2009 Time Use Survey Dat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007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leisure time use of elderly groups clustered with demographic factors and finally produce the leisure profile. A total 5392 time diaries, filled up by 65-years old and over in 2009 Time Use Survey,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cluster analysis, and ANOVA accompanied with the Scheffe’s tests. The subjects could be clustered into 7 groups such as still working, work than leisure, hobby with friends, various leisure in a city, with religion and friendship, working and doing leisure in their spare time, and leisure in suburb based upon demographic factors such as age, gender, spouse, education, job, income and living area. The data also revealed that the clusters had different time use patterns in pursuing leisure. Overall,leisure in later life could be influenced by working status,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filling their loss of job or spouse. The findings could help us plan upcoming leisure program and policies for the elderly.
      번역하기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leisure time use of elderly groups clustered with demographic factors and finally produce the leisure profile. A total 5392 time diaries, filled up by 65-years old and over in 2009 Time Use Survey, ...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leisure time use of elderly groups clustered with demographic factors and finally produce the leisure profile. A total 5392 time diaries, filled up by 65-years old and over in 2009 Time Use Survey,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cluster analysis, and ANOVA accompanied with the Scheffe’s tests. The subjects could be clustered into 7 groups such as still working, work than leisure, hobby with friends, various leisure in a city, with religion and friendship, working and doing leisure in their spare time, and leisure in suburb based upon demographic factors such as age, gender, spouse, education, job, income and living area. The data also revealed that the clusters had different time use patterns in pursuing leisure. Overall,leisure in later life could be influenced by working status,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filling their loss of job or spouse. The findings could help us plan upcoming leisure program and policies for the elder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노년층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바탕으로 형성된 군집별 여가 시간량의 차이를 조사함으로써 세대 존재하는 다양한 속성에 따른 여가프로파일을 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09생활시간조사 자료 중 만 65세 이상 응답자가 이틀 동안 작성한 시간일지 5392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분석, 상관분석, K-평균 군집분석, 분산분석, 사후분석(Scheffe)을 실시하였다. 연령, 성별, 교육수준, 월소득, 배우자유무, 경제활동여부, 거주지역에 따라 7개의 군집(군집명: 아직은 일을, 벗들과 취미생활을, 도시에서 다양한 여가를, 신앙 속에 우정과 취미생활을, 일하며 짬짬이 여가를, 변두리에서 여가를)이 형성되었으며, 군집별 여가 시간량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관람문화활동이나 물품구입활동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여가행동별 시간량은 군집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노년층에게 일이나 배우자의 유무와 같은 사회적 역할의 상실이나 관계의 상실은 여가 시간량의 증감이나 행동유형에 차이를 만들어 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노년층을 위한 여가서비스 및 정책을 기획하고 준비하는데 참고할만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노년층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바탕으로 형성된 군집별 여가 시간량의 차이를 조사함으로써 세대 존재하는 다양한 속성에 따른 여가프로파일을 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본 연구는 노년층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바탕으로 형성된 군집별 여가 시간량의 차이를 조사함으로써 세대 존재하는 다양한 속성에 따른 여가프로파일을 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09생활시간조사 자료 중 만 65세 이상 응답자가 이틀 동안 작성한 시간일지 5392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분석, 상관분석, K-평균 군집분석, 분산분석, 사후분석(Scheffe)을 실시하였다. 연령, 성별, 교육수준, 월소득, 배우자유무, 경제활동여부, 거주지역에 따라 7개의 군집(군집명: 아직은 일을, 벗들과 취미생활을, 도시에서 다양한 여가를, 신앙 속에 우정과 취미생활을, 일하며 짬짬이 여가를, 변두리에서 여가를)이 형성되었으며, 군집별 여가 시간량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관람문화활동이나 물품구입활동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여가행동별 시간량은 군집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노년층에게 일이나 배우자의 유무와 같은 사회적 역할의 상실이나 관계의 상실은 여가 시간량의 증감이나 행동유형에 차이를 만들어 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노년층을 위한 여가서비스 및 정책을 기획하고 준비하는데 참고할만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미석, "한국 노인의 여가활동시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1 (21): 37-48, 2003

      2 김진욱, "한국 노인의 생활시간에 관한 연구 - 2004년 생활시간조사 자료에 나타난 노인의 일, 가족, 여가생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32 (32): 149-177, 2006

      3 이신숙, "은퇴한 노인의 생활시간 사용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20 (20): 311-325, 2011

      4 김장수, "유니버설디자인 개발연구를 위한 고령화 집단 세분화 -라이프스타일(VALS)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7 (17): 116-129, 2011

      5 성기원, "예비노년층의 여가활동 현황 및 미래 욕구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5 (25): 131-146, 2005

      6 윤인진, "여가활동의 사회집단별 차이와 불평등" 사회과학연구소 13 (13): 162-202, 2005

      7 지현진, "여가생활주기에 따른 시간사용의 차이비교" 여가문화학회 8 (8): 127-147, 2010

      8 한국방송광고공사, "실버세대 조사" 2006

      9 통계청, "시테크의 첫발: 2009년 생활시간조사 결과" 2010

      10 최성재, "수도권 지역 중년기 이후 세대의 노후생활 인식과 노인에 대한 인식*" 한국노년학회 29 (29): 329-352, 2009

      1 박미석, "한국 노인의 여가활동시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1 (21): 37-48, 2003

      2 김진욱, "한국 노인의 생활시간에 관한 연구 - 2004년 생활시간조사 자료에 나타난 노인의 일, 가족, 여가생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32 (32): 149-177, 2006

      3 이신숙, "은퇴한 노인의 생활시간 사용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20 (20): 311-325, 2011

      4 김장수, "유니버설디자인 개발연구를 위한 고령화 집단 세분화 -라이프스타일(VALS)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7 (17): 116-129, 2011

      5 성기원, "예비노년층의 여가활동 현황 및 미래 욕구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5 (25): 131-146, 2005

      6 윤인진, "여가활동의 사회집단별 차이와 불평등" 사회과학연구소 13 (13): 162-202, 2005

      7 지현진, "여가생활주기에 따른 시간사용의 차이비교" 여가문화학회 8 (8): 127-147, 2010

      8 한국방송광고공사, "실버세대 조사" 2006

      9 통계청, "시테크의 첫발: 2009년 생활시간조사 결과" 2010

      10 최성재, "수도권 지역 중년기 이후 세대의 노후생활 인식과 노인에 대한 인식*" 한국노년학회 29 (29): 329-352, 2009

      11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생애주기별 여가활동 모형개발" 2009

      12 대한상공회의소, "새로운 소비자 집단 등장과 기업의 대응" 2005

      13 최희재, "문화바우처 생색내기...저소득층 외면"

      14 김주성, "라이프스타일이 노후준비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회 15 (15): 97-119, 2010

      15 허준수, "도시노인의 여가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2 (22): 227-247, 2002

      16 강현임, "농촌여성노인의 여가체험" 한국노년학회 30 (30): 1377-1392, 2010

      17 홍성희, "노인의 여가활동참여와 여가만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16 (16): 107-123, 1998

      18 한상덕, "노인의 여가실태와 여가 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 18 (18): 633-649, 2002

      19 지현진, "노년층 여가시간 소비의 재해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1 (31): 21-36, 2007

      20 양영순, "고령화사회에서 노인의 시간사용과 역할에 관한 연구" 16 : 1-26, 2007

      21 최숙희, "고령자 여가활동 유형의 국제비교" 한국여성경제학회 8 (8): 75-106, 2011

      22 Gauthier, A. H., "Timeuseat older ages: cross-nationaldifference"

      23 Erikson, E. H., "The life cycle completed" W·W· Norton & Company 1997

      24 McAvoy, L. H., "The leisurepreferences, problems, and needs of the elderly" 11 (11): 40-47, 1979

      25 Peppers, L. G., "Patterns of leisure andadjustment to retirement" 16 (16): 441-446, 1976

      26 Schwartz, G. M., "Newmeaning for the emotional state of the elderly, froma leisure standpoint" 27 (27): 207-211, 2008

      27 Janke, M. C., "Modeling change in older adults' leisure activities" 28 : 285-303, 2006

      28 Janke, M. C., "Leisure patterns andhealthamongrecentlywidowedadults" 32 (32): 19-39, 2008

      29 Kelly, J. R., "Activity and Aging: Challenge in Retirement, In Work, leisure, and well-being" Routledge 165-179, 1997

      30 통계청, "2004년 생활시간조사 종합분석사회보고서" 2005

      31 최종후, "2004년 국민생활시간조사를 이용한 노령인구의 생활유형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 8 (8): 547-558, 2006

      32 최종후, "1999 생활시간조사의 군집분석" 83-92, 2001

      33 Kleiber, D. A., "'I can't be very sad' : constraint andadaptationinthe leisure of a 'learning in retirement' group" 28 (28): 67-83,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4 2.08 2.24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