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녀와의 애착유형에 따라 가족관계가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Family Relationships on Successful Aging according to the Attachment Style of the Elderl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007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lationships with family on successful aging according to the four attachment style to children. 509 elderly people over 60 years old having a spouse, non-cohabitated children were included. The main findings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secure and preoccupied attachment style were statistically higher than dismissing and fearful attachment style in successful aging and relationship with spouse, children and grandchildren. Second, total paths of research model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attachment style of the elderly. Model fit of secure attachment style was not good and the effects of relationships with family on successful aging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ase of preoccupied attachment style,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spouse and grandchildren on successful aging were significant. Also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spouse on relationship with children was significant and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children on relationship with grandchildren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grandchildren mediates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children on successful aging. In case of dismissing attachment style,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spouse and grandchildren on successful aging were significant. Also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children on relationship with grandchildren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grandchildren mediates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children on successful aging. In case of fearful attachment style,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spouse and grandchildren on successful aging were significant. Also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spouse on relationship with children was significant and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children on relationship with grandchildren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hildren mediates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spouse on successful aging. This study explains the role of attachment styles as moderation variable of relationship with family on successful aging and also suggests the importance of marital and grandparents-grandchildren relationship as alternative supporter when the elderly has relational problems with adult childre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lationships with family on successful aging according to the four attachment style to children. 509 elderly people over 60 years old having a spouse, non-cohabitated children were included.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lationships with family on successful aging according to the four attachment style to children. 509 elderly people over 60 years old having a spouse, non-cohabitated children were included. The main findings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secure and preoccupied attachment style were statistically higher than dismissing and fearful attachment style in successful aging and relationship with spouse, children and grandchildren. Second, total paths of research model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attachment style of the elderly. Model fit of secure attachment style was not good and the effects of relationships with family on successful aging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ase of preoccupied attachment style,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spouse and grandchildren on successful aging were significant. Also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spouse on relationship with children was significant and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children on relationship with grandchildren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grandchildren mediates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children on successful aging. In case of dismissing attachment style,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spouse and grandchildren on successful aging were significant. Also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children on relationship with grandchildren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grandchildren mediates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children on successful aging. In case of fearful attachment style,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spouse and grandchildren on successful aging were significant. Also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spouse on relationship with children was significant and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children on relationship with grandchildren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hildren mediates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spouse on successful aging. This study explains the role of attachment styles as moderation variable of relationship with family on successful aging and also suggests the importance of marital and grandparents-grandchildren relationship as alternative supporter when the elderly has relational problems with adult childr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자녀와의 애착유형에 따라 가족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인과적 경로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60세 이상의 노인 509명이다. 애착유형별 연구모형의 적합도 및 경로계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정형은 연구모형의 적합도가 다소 낮았으며 성공적 노화에 대하여 배우자, 자녀, 손자녀와의 관계 모두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몰두형은 배우자 및 손자녀와의 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우자와의 관계는 자녀와의 관계에 그리고 자녀와의 관계는 손자녀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손자녀와의 관계는 자녀와의 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거부형은 배우자 및 손자녀와의 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녀와의 관계는 손자녀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손자녀와의 관계는 자녀와의 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두려움형은 성공적 노화에 대하여 배우자 및 자녀와의 관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배우자와의 관계는 자녀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자녀와의 관계는 손자녀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자녀와의 관계는 배우자와의 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착유형별 연구모형은 각 유형별 차이뿐만 아니라 전체집단 모형과도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성공적 노화에 관한 가족관계 변인을 연구함에 있어 노인의 애착을 고려하는 것이 유용함을 시사한다 하겠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자녀와의 애착유형에 따라 가족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인과적 경로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60세 이상의 노인 509명이다. 애착유형별 ...

      본 연구는 자녀와의 애착유형에 따라 가족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인과적 경로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60세 이상의 노인 509명이다. 애착유형별 연구모형의 적합도 및 경로계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정형은 연구모형의 적합도가 다소 낮았으며 성공적 노화에 대하여 배우자, 자녀, 손자녀와의 관계 모두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몰두형은 배우자 및 손자녀와의 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우자와의 관계는 자녀와의 관계에 그리고 자녀와의 관계는 손자녀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손자녀와의 관계는 자녀와의 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거부형은 배우자 및 손자녀와의 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녀와의 관계는 손자녀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손자녀와의 관계는 자녀와의 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두려움형은 성공적 노화에 대하여 배우자 및 자녀와의 관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배우자와의 관계는 자녀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자녀와의 관계는 손자녀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자녀와의 관계는 배우자와의 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착유형별 연구모형은 각 유형별 차이뿐만 아니라 전체집단 모형과도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성공적 노화에 관한 가족관계 변인을 연구함에 있어 노인의 애착을 고려하는 것이 유용함을 시사한다 하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순둘, "한국여성의 성공적 노후에 관한 연구 - 청년, 중년, 노년층의 비교 -" 한국노인복지학회 36 (36): 203-222, 2007

      2 정태연, "한국사회의 여성에 대한 인식과그 문제점: 성별 및 연령에 따른 발달과업 지향성의 차이: 관계와 과업을 중심으로" 2005

      3 김미혜,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후에 대한 경험" 한국노년학회 24 (24): 79-95, 2004

      4 김영범, "한국노인의 가족관계망과 삶의 만족도: 서울 지역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4 (24): 169-185, 2004

      5 백지은, "한국노인들이 기대하는 성공적인 노화의 개념, 유형 및 예측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1-16, 2005

      6 안정신, "한국 중노년 성인들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13 (13): 225-245, 2009

      7 최혜경, "한국 노인들의 기대에 따른 성공적인 노화: 개념 형성과 중재방안의 탐구" 한국가족관계학회 13 (13): 145-168, 2008

      8 김성현, "친밀관계 경험검사 개정판 타당화 연구" 20 (20): 105-119, 2000

      9 조주희, "초등교사의 애착유형에 따른 교사-아동의 관계와 교사의 촉진적 의사소통"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0 장휘숙, "청년기의 애착과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4 (4): 88-106, 1997

      1 정순둘, "한국여성의 성공적 노후에 관한 연구 - 청년, 중년, 노년층의 비교 -" 한국노인복지학회 36 (36): 203-222, 2007

      2 정태연, "한국사회의 여성에 대한 인식과그 문제점: 성별 및 연령에 따른 발달과업 지향성의 차이: 관계와 과업을 중심으로" 2005

      3 김미혜,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후에 대한 경험" 한국노년학회 24 (24): 79-95, 2004

      4 김영범, "한국노인의 가족관계망과 삶의 만족도: 서울 지역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4 (24): 169-185, 2004

      5 백지은, "한국노인들이 기대하는 성공적인 노화의 개념, 유형 및 예측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1-16, 2005

      6 안정신, "한국 중노년 성인들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13 (13): 225-245, 2009

      7 최혜경, "한국 노인들의 기대에 따른 성공적인 노화: 개념 형성과 중재방안의 탐구" 한국가족관계학회 13 (13): 145-168, 2008

      8 김성현, "친밀관계 경험검사 개정판 타당화 연구" 20 (20): 105-119, 2000

      9 조주희, "초등교사의 애착유형에 따른 교사-아동의 관계와 교사의 촉진적 의사소통"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0 장휘숙, "청년기의 애착과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4 (4): 88-106, 1997

      11 강유진, "중년후기여성의 노년기 전환기 경험" 명지대학교 여성가족생활연구소 2003

      12 홍달아기, "조부모-손자녀 유대관계가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전북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 한국생활과학회 11 (11): 1-15, 2002

      13 황혜영, "조모의 지원 및 조모-손자녀 관계가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취업모 가정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14 김미령,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 한국노년학회 28 (28): 33-48, 2008

      15 박의순, "애착과정으로 본 한국부부의 사랑 : 對부모 애착, 부부 애착과 부부 사랑과의 관계"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7

      16 장휘숙, "애착과 의사소통 능력 및 결혼관계 만족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 (20): 17-32, 2007

      17 황현주, "애착과 발달" 학지사 2009

      18 신지욱, "애착, 정서, 그리고 대인관계 유능성 사이의 관계에 대한 경로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19 정화용, "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과 부모-자녀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20 황정해, "손자녀를 둔 남성의 부성경험에 관한 일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5 (25): 87-100, 2007

      21 서정기, "손녀가 지각한 조모와의 관계와 노인에 대한 인식"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3

      22 안하얀, "성인애착, 심리적 디스트레스, 대인관계문제: 피드백에 대한 반응, 정서적 대처, 사회적 지지 추구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575-603, 2010

      23 김지현, "성인 초기 애착 유형에 따른 자기개념과 자기가치감" 誠信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24 이정희, "성인 애착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구조적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5

      25 노유진, "성인 애착유형과 미혼남녀의 사랑유형 및 이성교제의 관계" 대한가정학회 44 (44): 31-42, 2006

      26 안정신, "성숙한 노화척도개발을 위한 예비문항선정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17 (17): 129-149, 2012

      27 강인, "성공적 노화의 지각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20 (20): 95-116, 2003

      28 이창식, "성공적 노화에 대한 청소년세대와 노년세대의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12 (12): 85-107, 2007

      29 박경란,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 조사연구" 한국노년학회 22 (22): 53-66, 2002

      30 이홍직, "성공적 노화에 관한 노인의 주관적 인식" 한국노인복지학회 50 (50): 73-94, 2010

      31 안정신, "성공적 노화 연구의 비판적 고찰"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4 (24): 35-54, 2011

      32 성혜영, "성공적 노화 개념의 인식에 관한 연구 - Q 방법론적 접근 -" 한국노년학회 22 (22): 75-93, 2002

      33 조영란, "부부의 갈등과 자녀의 학업성취도와의 상관연구" 延世大學校 敎育大學院 1994

      34 한정란, "부모의 노인 및 조부모에 대한 태도와 자녀의 조부모에 대한 친밀감" 19 : 61-82, 2003

      35 문혁준, "부모역할만족도와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39 (39): 205-219, 2001

      36 김연수, "부모-조부모관계와 손자녀-조부모 친밀도가 청소년의 노인과 노화에 대한 사실인지에 미치는 영향"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3

      37 박경란, "부모-조부모 관계의 질이 청소년기 손자녀-친조부모간의 유대관계에 미치는 영향" 14 (14): 74-89, 1994

      38 백문화, "부모 및 조모와의 관계가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1

      39 원영희, "동 별거 형태가 한국노인의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15 (15): 97-116, 1995

      40 황미영, "도시 저소득층 노인의 비공식 지지망 구조와 기능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8

      41 박의순, "대학생이 지각한 조부모와의 관계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0

      42 박충선, "대구 경북지역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연구: 가족생활을 중심으로" 5 : 1990

      43 김지선, "농촌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 영광군 노인을 대상으로"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2008

      44 이혜자, "농촌노인의 가족관계망 유형과 생활만족도*" 한국노년학회 29 (29): 291-307, 2009

      45 김은경, "농촌 여성노인의 문제 및 복지정책을 위한제언" 16 (16): 175-191, 2002

      46 김태현, "노인이 지각한 세대간 결속과 우울에 관한 연구" 16 (16): 110-129, 1996

      47 박미숙, "노인이 인지하는 가족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2010

      48 임주영,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배우자 유ㆍ무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4 (24): 71-87, 2004

      49 전귀연, "노인의 애착 유형과 사회적 지지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22 (22): 173-191, 2002

      50 손덕순,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1 (31): 178-203, 2006

      51 정여진, "노인의 부부친밀감과 성공적 노화간의 관계에 대한 자녀애착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회 32 (32): 185-206, 2012

      52 이주일, "노인의 대인애착 경향과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활동 및 지지적 관계 추구"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18 (18): 11-29, 2004

      53 김태현, "노인의 가족결속도와 효의식 및 우울에 관한 비교문화적 연구-한국노인과 재미한국노인을 대상으로" 19 (19): 79-96, 1999

      54 정경희, "노인문화의 현황과 정책적 함의 -‘성공적 노화’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6

      55 최혜경, "노인들의 인식을 통한 한국적인 성공적 노화의 개념"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1-10, 2005

      56 金恩珠, "노부모의 성인자녀와의 결속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全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4

      57 장휘숙, "노년기 애착연구와 앞으로의 과제"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3 (23): 1-17, 2010

      58 정여진,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가족관계 변인이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30 (30): 535-550, 2010

      59 홍은영, "결혼만족과 부모-자녀 만족의 관계 : 청소년 자녀를 둔 학부모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60 김경연, "건강 및 경제수준에 따른 집단별 성공적 노화의 요소 탐색" 한국노인복지학회 34 (34): 31-54, 2006

      61 윤현숙, "가족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18 (18): 5-31, 2006

      62 徐東仁, "孫子女가 知覺한 祖母와의 心理的 親密度 : 親祖母와 外祖母의 比較 연구" 慶熙大學校 大學院 1992

      63 최희경, "‘신노년’ 정책 담론에 대한 비판적 재검토- 활동적 노화, 성공적 노화, 생산적 노화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정책학회 17 (17): 41-65, 2010

      64 Takahashi, K., "Toward a life span theory of close relationships: The effective relationships model" 48 : 48-66, 2005

      65 Barranti, C. R., "The grandparent-grandchild relationship" 34 : 343-352, 1985

      66 Neugarten, B., "The changing American Grandparent" 26 : 199-204, 1964

      67 Boyd, R., "The Valued Grandparent; AChangingSocial role, In Living in a multi generational family" Institute of Gerontology, University of Michigan 90-103, 1969

      68 Everett Waters, "The Stability of Attachment Security from Infancy to Adolescence and Early Adulthood: General Discussion" 71 (71): 703-706, 2000

      69 Crosnoe, R., "SuccessfulAdaptation in the Later Years : A Life course Approach to Aging" 65 (65): 309-328, 2002

      70 Fisher, B. J., "Successful aging, life satisfaction and generativity in later life" 41 (41): 239-251, 1995

      71 Chou, K. L., "Successful aging among the young-old, old-old, and oldest-old chinese" 54 (54): 1-15, 2002

      72 Vaillant, G. E., "Successful aging" 158 (158): 839-847, 2001

      73 Antonucci, T. C., "Social support networks : A hierarchical mapping technique" (4) : 10-12, 1986

      74 Robertson, J., "Significant of grandparent ; Perseptions of young adult grandchildren" 16 : 137-140, 1976

      75 Brennan, K. A., "Self-report measures of adult romantic attachment. An integrative over view, In Attachment theory and close relationships" Guilford Press 77-114, 1998

      76 Main, M., "Security in infancy, childhood, and adulthood: Amove to the level of representation, In Growing points of attachment theory and research" 50 : 66-104, 1985

      77 Hazan, C., "Romantic love conceptualized as an attachment process" 52 (52): 511-524, 1987

      78 Torres, S., "Relational Values and Ideas Regarding‘successful Aging’" 33 (33): 417-432, 2002

      79 Baltes, P. B.,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successful aging: the model of selective optimizationwithcompensation, In Successful Aging: Perspectives fromthe Behavioral Sciences" Cambridge Univ. Press 1-34, 1990

      80 Quinn, W. H., "Personal and Family adjustment in later life" 45 (45): 57-73, 1983

      81 Thompson, L., "Mothers and daughters ; Aid patterns and attachments" 46 : 313-322, 1984

      82 Harold, G. T., "Marital conflict and adolescent distress : The role of adolescent awareness" 68 : 333-350, 1997

      83 Holden, G. W., "Linking extreme marital discord, child rearing, and child behavior problems: Evidence from battered women" 62 : 311-327, 1991

      84 Mannell, R. C., "Lifesatisfaction, In Encyclopedia of Gerontology, 2" Pergamon Press 1996

      85 조병은,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Korean aged parents" University of Delaware 1988

      86 Robertson, J., "Interaction in three generation families" 6 : 103-110, 1975

      87 Rowe, J., "Human aging : usual and successful" 237 : 143-149, 1987

      88 Cassidy, J., "Handbookofattachment : Theory, research, and crinical application(2nd ed)" Guildford Press 2008

      89 Bretherton, I., "Growing points of attachment theory and research" 50 (50): 1985

      90 Kornhaber, A., "Grandparents/ Grandchildren ; Thevital connection" Anchor press/doubleday 1981

      91 Kornhaber, A., "Grandparenthood and The New Social Contract" 40 : 151-158, 1985

      92 Baranowski, M., "Grandparent-adolescent relation : Beyondthe nuclear family" 17 : 575-584, 1982

      93 Robertson, J., "Grandmotherhood ;Astudy of role conceptions" 39 : 165-174, 1977

      94 Ross, L. R., "General and specific attachment representation in adulthood: Is there a relationahip?" 6 : 747-766, 2001

      95 Paulson, M. J., "Family Harmony. In Child Development" PrenticeHall 1972

      96 Kenny, D. A., "Enhanced coorientation in the perception of friends : A social relationship analysis" 67 (67): 1024-1033, 1994

      97 Brennan, K. A., "Dimensions of adult attachment, affect regulation, andromantic relationship functioning" 21 : 267-284, 1995

      98 Antonucci, T. C., "Convoys of social relations: Family and friendships with in a life span context, In Handbook of aging and the family" 1995

      99 Sprey, J, "Contemporary grandparenthood; ASystemic transition" 464 : 91-103, 1982

      100 Ryff, C. D., "Beyond Ponce de Leon and life satisfaction : New directions in quest of successful ageing" 12 (12): 35-55, 1989

      101 Felice, ToniLynn, "Attachment, stressanddistress:An examination of attachment in older adults" University of Louisville 1996

      102 Hopkins, Joan Bacchini, "Attachment, social support, activity, health, and well-being in senior women(women eldely)" The University of Teas at Austin 1993

      103 Passman, Vicki F., "Attachment, coping and adjustment to aging in elderly women" Long Island University 1995

      104 McCallum, Kenneth Allen, "Attachment styles in late adulthood: internal working model of friendships among elderly residents inadomiciliary" Pacific Graduate school of Psychology 1996

      105 Senchak, M., "Attachment styles and marital adjustment among newlywed couples" 9 : 51-64, 1992

      106 Lanier, Jacqueline G., "Attachment style, social support, andpsychological adjustment among the elderly" University of Southern Mississippi 1996

      107 Feeney, J. A., "Attachment style, communication patterns, and satisfaction across the life cycle of marriage" 1 : 333-348, 1994

      108 Kobak, R. R., "Attachment inmarriage : Expects of security and accuracy of working models" 60 (60): 861-869, 1991

      109 Paley, B., "Attachment and marital functioning : Comparison of spouseswith continuoussecure, earned-secure, dismissing, and preoccupied attachment stances" 13 (13): 580-597, 1999

      110 Rothbaum, F., "Attachment and Culture : Security in the UnitedStates and Japan" 55 (55): 1093-1104, 2000

      111 Bretherton, I., "Assessing internal working models of the attachment relationship: An attachment story completion task for 3-year-olds, In Attachment in the Preschool Year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0

      112 Patterson, G. R., "Amicrosocialprocess:Aviewformthe burundary, In Boundary areas in psychology: Social and developmental psychology" Academic Press 43-66, 1984

      113 Tornstam, L., "Aldrandet Socialpsykologi" raben prisma 1994

      114 Hodson, L. G., "Adult grandchildren and their grandparents : the enduring bond" 34 (34): 209-225, 1992

      115 Perlmutter, M., "Adult development and aging, Includes indexes" 535-582, 1985

      116 Mikulincer, M., "Adult attachment strategies and the regulation of emotion" 22 : 446-465, 2007

      117 Banse, R., "Adult attach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 Evidence for dyadic configuration effects" 21 (21): 273-282, 2004

      118 Torres, S., "A preliminary empirical test of a culturally-relevant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study of successful aging" 18 (18): 79-100, 2003

      119 Dawson, Thomas Earl, "A life-span comparison of early attachment experiences to current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n elderly population" Texas A & M University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4 2.08 2.24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