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학교 청소년의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를 중심으로 = Association of Sleep Duration and Quality of Sleep with Depress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196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quality of sleep and depression,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This study used a cross-sectional de...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quality of sleep and depression,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This study used a cross-sectional design with secondary data, middle school student panel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and data from a total of 2,590 students was used for analysis.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OV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 26. Results: The mean depression score in adolescents was 17.99±6.38. Depress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leep duration and quality. Adolescents with less than eight hours of sleep showed the highest depression, and poor sleepers showed higher depression scores than good sleepers. Gender, school achievement, school satisfaction, economic status, and exercise time were found to significantly relate to depression. After controlling for general characteristics, depression explained 17.2% of the variance in quality of sleep (β=-.15, p<.001) and sleep duration (β=-.04, p=.022).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tervention strategies to enhance the quality of sleep and appropriate sleep duration for preventing depression in adolesc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수정, "초중고생의 수면 시간이 부모양육태도의 매개를 통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37 (37): 13-26, 2016

      2 윤현정,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왜곡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43 (43): 191-199, 2018

      3 윤현정, "청소년의 스트레스, 수면의 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보건학회 29 (29): 98-106, 2016

      4 정은혜,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우울 증상의 관계에서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의 다중매개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8 (28): 119-146, 2017

      5 조수경, "청소년의 수면시간 변화궤적과 관련 요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1 (31): 5-32, 2020

      6 유미애, "청소년의 수면습관, 주간졸음과 문제행동과의 관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305-315, 2017

      7 강민정, "청소년들의 우울 및 자살관련 행태와 스마트폰 사용과의 관련성"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31 (31): 147-158, 2014

      8 박현주, "우리나라 청소년의 수면시간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보건학회 28 (28): 1-9, 2015

      9 이은주, "여고생의 스마트폰 중독, 수면시간 및 우울간의 관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533-542, 2018

      10 임유빈, "아동청소년에서 운동의 항우울 효과와 BDNF와의 관련성에 대한 예비 연구" 대한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 27 (27): 72-81, 2016

      1 김수정, "초중고생의 수면 시간이 부모양육태도의 매개를 통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37 (37): 13-26, 2016

      2 윤현정,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왜곡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43 (43): 191-199, 2018

      3 윤현정, "청소년의 스트레스, 수면의 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보건학회 29 (29): 98-106, 2016

      4 정은혜,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우울 증상의 관계에서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의 다중매개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8 (28): 119-146, 2017

      5 조수경, "청소년의 수면시간 변화궤적과 관련 요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1 (31): 5-32, 2020

      6 유미애, "청소년의 수면습관, 주간졸음과 문제행동과의 관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305-315, 2017

      7 강민정, "청소년들의 우울 및 자살관련 행태와 스마트폰 사용과의 관련성"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31 (31): 147-158, 2014

      8 박현주, "우리나라 청소년의 수면시간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보건학회 28 (28): 1-9, 2015

      9 이은주, "여고생의 스마트폰 중독, 수면시간 및 우울간의 관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533-542, 2018

      10 임유빈, "아동청소년에서 운동의 항우울 효과와 BDNF와의 관련성에 대한 예비 연구" 대한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 27 (27): 72-81, 2016

      11 이정진, "수면시간이 청소년들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대한소아신경학회 21 (21): 100-110, 2013

      12 이상섭, "서울 지역 중학생의 우울증상과 수면양상과의 관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56 (56): 78-83, 2017

      13 하영희, "부모-자녀관계와 청소년의 우울 및 문제행동과의 관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2 (12): 42-52, 2004

      14 김경호, "고등학생의 휴대전화 의존이 우울과 학교부적응을 매개로 수면시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2 : 87-114, 2015

      15 Kim YH, "Wong’s essentials pediatric nursing" Hyunmoon Co 669-670, 2010

      16 Kim MS, "The study of the effect of perceived stress and depression on the school adjustment of Korean adolescents" 1 (1): 53-67, 2009

      17 Akerstedt T, "The meaning of good sleep : a longitudinal study of polysomnography and subjective sleep quality" 3 (3): 152-158, 1994

      18 "The 2018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User’s Guide" Youth Policy Institute

      19 Choi CU,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rights of Korean children and youth-comprehensive report for human rights status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18

      20 Zhang J, "Sleep patterns and mental health correlates in US adolescents" 182 : 137-143, 2017

      21 Raniti MB, "Sleep duration and sleep quality : associations with depressive symptoms across adolescence" 15 (15): 198-215, 2017

      22 Nixon GM, "Short sleep duration in middle childhood : risk factors and consequences" 31 (31): 71-78, 2008

      23 Stice E, "Risk and maintenance factors for eating pathology : a meta-analytic review" 128 (128): 825-848, 2002

      24 Saluja G,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depressive symptoms among young adolescents" 158 (158): 760-765, 2004

      25 Hirshkowitz M, "National sleep foundation’s sleep time duration recommendations : methodology and results summary" 1 (1): 40-43, 2015

      26 Kim KI, "Korean Manual of Symptom Checklist-90-Revision" Jung Ang Juk Sung Publisher 10-, 1984

      27 Park HS, "Comparison of quality of sleep and factors which are influenced on sleep among adolescents, adults and elderly" 9 (9): 429-439, 2000

      28 Twenge JM, "Age, gender, race, socioeconomic status, and birth cohort difference on the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 a meta-analysis" 111 (111): 578-, 2002

      29 Choi JH, "Adolescents’ mental health and its relationship with health behaviors" 245 : 72-83, 2017

      30 Carskadon MA, "Adolescent sleep patterns: biolog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influenc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6,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7 0.93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