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모발관련 교과에 근거한 교재 개발 및 적용 : 헤어미용 교과를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structional Material on the basis of Hair-related Curriculum : Focused on Hair Beauty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3472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curriculum of beauty-related departments and the textbook about a course of hair, to survey demands and interests of leaners and finally to provide how to construct contents and plot of hair beauty subject's material. It is all for develop and apply to instructional material about hair beauty subject.
      It is studying the curriculum at the 26 beauty-related departments in the 4-year universities, 25 textbooks about hair subject, the syllabus of hair beauty subject, and 3 textbooks from high school to identify the connection with applied hair study. In addition, it researches for learner's demands and interests with surveying 267 students who are at the beauty-related departments. The literature reviews were conducted from Jan. 2012 to Sep. 2012 and the survey was answered during Oct. 2012. For analyzing the research data, SPSS. v. 17.0 program was used.
      As a result of study, it shows that every universities has their own curriculum without any regulations and opens a course of study irregularly. It means to need formulation a system of curriculum. Contents, plots, and category of materials was figured through material analysis. Also, it results that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the technical term about cosmetology. In addition, it revealed that the textbook from high school and applied hair study have connection with same system of the contents. Lastly the learners showed more positive interest in the new concepted model which is learner-oriented after survey. It suggests the standard and direction of instructional material about hair beauty.
      The new concepted model to be developed with this ground from this study contributes to inspire the curriculum system to make effective and practical and to have the significance in the absence of instructional material about hair beauty which takes important part at the beauty related curriculum.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analyze curriculum of beauty-related departments and the textbook about a course of hair, to survey demands and interests of leaners and finally to provide how to construct contents and plot of hair beauty subject's material. It is ...

      This study aims to analyze curriculum of beauty-related departments and the textbook about a course of hair, to survey demands and interests of leaners and finally to provide how to construct contents and plot of hair beauty subject's material. It is all for develop and apply to instructional material about hair beauty subject.
      It is studying the curriculum at the 26 beauty-related departments in the 4-year universities, 25 textbooks about hair subject, the syllabus of hair beauty subject, and 3 textbooks from high school to identify the connection with applied hair study. In addition, it researches for learner's demands and interests with surveying 267 students who are at the beauty-related departments. The literature reviews were conducted from Jan. 2012 to Sep. 2012 and the survey was answered during Oct. 2012. For analyzing the research data, SPSS. v. 17.0 program was used.
      As a result of study, it shows that every universities has their own curriculum without any regulations and opens a course of study irregularly. It means to need formulation a system of curriculum. Contents, plots, and category of materials was figured through material analysis. Also, it results that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the technical term about cosmetology. In addition, it revealed that the textbook from high school and applied hair study have connection with same system of the contents. Lastly the learners showed more positive interest in the new concepted model which is learner-oriented after survey. It suggests the standard and direction of instructional material about hair beauty.
      The new concepted model to be developed with this ground from this study contributes to inspire the curriculum system to make effective and practical and to have the significance in the absence of instructional material about hair beauty which takes important part at the beauty related curriculu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헤어미용 교재 개발 및 적용을 위하여 미용관련 학과의 교육과정 및 모발관련 교재의 실태를 분석하고 학습자 위주의 요구도 및 흥미도를 조사하여 헤어미용 교과목의 내용구성 범주(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의 대상 및 범위는 4년제 대학 미용관련 학과 26개교를 선정하여 교육과정, 모발관련 교재 25권 및 헤어미용 교과의 강의계획서를 분석하고, 고등학교 헤어미용 교재 3권을 분석하여 대학 모발응용학 교재와의 연계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미용관련 대학 2개교를 표본 추출하여 미용관련 학과 학생 26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학습자 요구도 및 흥미도를 조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2년 1월에서 9월까지 문헌연구를 위한 자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12년 10월 한 달간 조사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v. 17.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대학마다 미용관련 학과의 교육과정이 규정 없이 제시되어 있었으며, 교과목도 일괄적이지 못하게 개설되어 있어 교과목 체계의 재정립이 요구되어졌다. 교재 분석을 통해 내용 체계 및 범주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미용 전문용어의 표준화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또한 고등학교 헤어미용 교재와 모발응용학은 동일한 내용 체계임이 밝혀져 연계성이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조사연구 결과 기존의 단원보다 학습자 중심으로 재구성된 단원의 모형이 더 긍정적 인식을 보여 헤어미용 교재의 기준 및 방향을 명확히 드러냈다.
      이를 근거로 개발된 헤어미용 교재의 모형은 효율적이며, 실용적인 교육 체계의 정립에 기여하며, 미용교과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헤어미용 교과에 대한 교재의 부재라는 현실 속에 의의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헤어미용 교재 개발 및 적용을 위하여 미용관련 학과의 교육과정 및 모발관련 교재의 실태를 분석하고 학습자 위주의 요구도 및 흥미도를 조사하여 헤어미용 교과목의 내용구성 ...

      본 연구는 헤어미용 교재 개발 및 적용을 위하여 미용관련 학과의 교육과정 및 모발관련 교재의 실태를 분석하고 학습자 위주의 요구도 및 흥미도를 조사하여 헤어미용 교과목의 내용구성 범주(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의 대상 및 범위는 4년제 대학 미용관련 학과 26개교를 선정하여 교육과정, 모발관련 교재 25권 및 헤어미용 교과의 강의계획서를 분석하고, 고등학교 헤어미용 교재 3권을 분석하여 대학 모발응용학 교재와의 연계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미용관련 대학 2개교를 표본 추출하여 미용관련 학과 학생 26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학습자 요구도 및 흥미도를 조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2년 1월에서 9월까지 문헌연구를 위한 자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12년 10월 한 달간 조사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v. 17.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대학마다 미용관련 학과의 교육과정이 규정 없이 제시되어 있었으며, 교과목도 일괄적이지 못하게 개설되어 있어 교과목 체계의 재정립이 요구되어졌다. 교재 분석을 통해 내용 체계 및 범주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미용 전문용어의 표준화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또한 고등학교 헤어미용 교재와 모발응용학은 동일한 내용 체계임이 밝혀져 연계성이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조사연구 결과 기존의 단원보다 학습자 중심으로 재구성된 단원의 모형이 더 긍정적 인식을 보여 헤어미용 교재의 기준 및 방향을 명확히 드러냈다.
      이를 근거로 개발된 헤어미용 교재의 모형은 효율적이며, 실용적인 교육 체계의 정립에 기여하며, 미용교과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헤어미용 교과에 대한 교재의 부재라는 현실 속에 의의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범위 및 방법 4
      • 3. 용어의 정리 6
      • Ⅱ. 이론적 배경 7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범위 및 방법 4
      • 3. 용어의 정리 6
      • Ⅱ. 이론적 배경 7
      • 1. 교육과정 7
      • 2. 교직교육과정 9
      • 3. 교과 및 교과서 13
      • Ⅲ. 연구방법 및 대상 16
      • 1. 문헌연구 17
      • 2. 조사연구 19
      • Ⅳ. 연구결과 22
      • 1. 문헌연구 결과 22
      • 2. 조사연구 결과 56
      • Ⅴ. 교재 개발 61
      • 1. 교재 개발 방향 61
      • 2.. 교재 모형 개발(안) 62
      • Ⅵ. 결론 및 제언 69
      • 참고문헌 72
      • ABSTRACT 7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