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VR 저작도구 기반 노벨 엔지니어링(NE) 교육이 초등학생의 융합인재소양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Novel Engineering (NE) Education using VR authoring tool on STEAM literacy and Learning Immer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743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the Novel Engineering(NE) eduction program : a class model that combines reading and engineering. By including the process of directly designing and programming a virtual reality using CospacesEdu (a VR authoring tool for the NE cl...

      This study is about the Novel Engineering(NE) eduction program : a class model that combines reading and engineering. By including the process of directly designing and programming a virtual reality using CospacesEdu (a VR authoring tool for the NE class), the effects of the educational program on learners' STEAM literacy and Learning immersion are demonstrated. Moreover, the subject of this education is Dokdo in South Korea. As a re­sult, the average of STEAM literacy is increased, and a significant change is confirmed statistically in Convergence. Learning immersion shows significant improvement in Challenges-skills balance. On the other hand, some students experience difficulties due to the long research stages, from reading a book to researching for in­formation to designing VR and rewritng a story with the collected inform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will help generalise other eduction using NE, and this developed program will be a reference that would suggest a new way of teach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독서와 공학을 융합한 수업 모델인 노벨 엔지니어링 (이하 NE)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NE 수업의 도구로 VR 저작 도구인 CospacesEdu를 이용하여 직접 가상현실을 설계하고 프로...

      본 연구는 독서와 공학을 융합한 수업 모델인 노벨 엔지니어링 (이하 NE)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NE 수업의 도구로 VR 저작 도구인 CospacesEdu를 이용하여 직접 가상현실을 설계하고 프로그래밍하는 과정을 포함 함으로써,해당 교육 프로그램이 학습자들의 융합인재소양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교육 내용의 소재로는 독도 교육을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 융합인재소양의 평균이 상승하였으며, 그 중 융합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확인하였다. 학습몰입은 총 5 가지 하위 영역 중 과제와 능력의 균형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반면 책 읽기로 시작하여 정보 수집, VR 설계, 이야기 바꿔쓰기까지 진행되는 차시가 긴 NE 수업 모델의 특성상 어려움을 느끼는 학생들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NE 수업 모델의 일반화에 도움을 주고,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되길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유현 ; 노진아 ; 임윤진 ; 이동원 ; 이은상 ; 노준호, "초·중·고등학생용 융합인재소양 측정도구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 13 (13): 177-198, 2013

      2 조영상 ; 홍기천, "장애이해교육을 바탕으로 노벨엔지니어링을 활용한 문제해결력 신장교육" 한국정보교육학회 257-262, 2018

      3 김미선 ; 강한빛 ; 박석희 ; 이범관, "원영희의 삼지사상 연구" 한국지적학회 36 (36): 115-127, 2020

      4 백윤수 ; 박현주 ; 김영민 ; 노석구 ; 박종윤 ; 이주연 ; 정진수 ; 최유현 ; 한혜숙,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149-171, 2011

      5 강영빈 ; 문성환, "생체모방기술을 활용한 발명교육이 초등학생의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원 39 (39): 169-187, 2019

      6 한경근 ; 박윤정,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독도교육의 실태와 방향"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9 (59): 35-52, 2020

      7 허미선 ; 이정민, "로봇 활용 SW융합교육에서 SW효능감이 컴퓨팅 사고력,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영향: 흥미와 학습참여의 이중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 20 (20): 1-14, 2020

      8 김주현 ; 문성환, "노벨엔지니어링을 활용한초등학생 대상의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 초등교육연구원 32 (32): 425-440, 2021

      9 홍기천 ; 이우진 ; 김세민, "노벨 엔지니어링이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대한산업경영학회 18 (18): 83-89, 2020

      10 Gongju University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Virtual reality and science education" Boseong Publishing House 2001

      1 최유현 ; 노진아 ; 임윤진 ; 이동원 ; 이은상 ; 노준호, "초·중·고등학생용 융합인재소양 측정도구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 13 (13): 177-198, 2013

      2 조영상 ; 홍기천, "장애이해교육을 바탕으로 노벨엔지니어링을 활용한 문제해결력 신장교육" 한국정보교육학회 257-262, 2018

      3 김미선 ; 강한빛 ; 박석희 ; 이범관, "원영희의 삼지사상 연구" 한국지적학회 36 (36): 115-127, 2020

      4 백윤수 ; 박현주 ; 김영민 ; 노석구 ; 박종윤 ; 이주연 ; 정진수 ; 최유현 ; 한혜숙,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149-171, 2011

      5 강영빈 ; 문성환, "생체모방기술을 활용한 발명교육이 초등학생의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원 39 (39): 169-187, 2019

      6 한경근 ; 박윤정,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독도교육의 실태와 방향"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9 (59): 35-52, 2020

      7 허미선 ; 이정민, "로봇 활용 SW융합교육에서 SW효능감이 컴퓨팅 사고력,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영향: 흥미와 학습참여의 이중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 20 (20): 1-14, 2020

      8 김주현 ; 문성환, "노벨엔지니어링을 활용한초등학생 대상의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 초등교육연구원 32 (32): 425-440, 2021

      9 홍기천 ; 이우진 ; 김세민, "노벨 엔지니어링이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대한산업경영학회 18 (18): 83-89, 2020

      10 Gongju University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Virtual reality and science education" Boseong Publishing House 2001

      11 김정원, "VR(Virtual Reality)을 활용한 초등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콘텐츠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32 (32): 45-63, 2019

      12 홍기천, "Tufts University의 로봇활용교육 사례 소개" 한국정보교육학회 20 (20): 171-178, 2016

      13 Lee Mi-Na., "The effects of flow on creative performance in groups of children" Sungkyunkwan University 2011

      14 Kim Byeong-Seob., "The Effect of Novel Engineering on Reading skill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20

      15 Kim Hye Ra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W-STEAM Program by Utilizing Software Supporting the Creation of VR for Elementary Science Class" 77 (77): 88-88, 2019

      16 Jeong Eun-Jin, "The 66th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Prediction Survey (1st year)"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Planning and Evaluation 2016

      17 김태령 ; 한선관, "SW융합 기반 노벨엔지니어링(NE)이 읽기동기와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 교육연구원 41 (41): 29-48, 2021

      18 Song Hae-Nam, "One step forward in the classroom! Future Lesson Guide" Freelec 2021

      19 홍지연, "Novel Engineering을 적용한 SW융합 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정보통신학회 23 (23): 193-200, 2019

      20 Minsitry of Education, "Information Education Comprehensive Plan"

      21 Ministry of Educatio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2015

      22 Portsmore, M., "Early engineering learning" Springer 203-223, 2018

      23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Dokdo that I make"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2019

      24 Ministry of Education., "Dokdo Education Master Plan" Ministry of Education 2021

      25 Noh Hyun-Hoh,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lementary science program using VR contents : Around the 4th grade ‘Earth and Moon’ unit" 72 : 31-31, 2017

      26 Choi Seop., "Development and Effects of Scientific Modeling Class Using a VR-based Program" Seoul National University 2021

      27 Go Seon-Yeong, "Concept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metaverse" 28 (28): 7-16, 2021

      28 McCormick, M., "Complex dynamics of student engagement in Novel Engineering design activities" 2015

      29 Csikszentmihalyi, M., "Beyond boredom and anxiety" Jossey-Bass 1975

      30 Seo, J. H., "Anatomy builder VR: Applying a constructive learning method in the virtual reality canine skeletal system" Springer 245-252, 2017

      31 Hong Ki-Cheon., "An Introduction of Novel Engineering Integrating Literacy, STBAM and Robotics in Elementary Schools. International Information Institute(Tokyo)" 21 (21): 75-82, 2018

      32 Kim Sang-heon, "A Study on History Education Content Development Plan Utilized the Metaverse"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1-162,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1 1.25 1.991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