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좋은 강의계획서에 대한 교육 전문가들의 개념도를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수업 계획을 위하여 강의계획서가 어떠한 준거로 작성되어야 할지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329069
2015
Korean
370
KCI등재
학술저널
1-20(20쪽)
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좋은 강의계획서에 대한 교육 전문가들의 개념도를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수업 계획을 위하여 강의계획서가 어떠한 준거로 작성되어야 할지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
본 연구는 좋은 강의계획서에 대한 교육 전문가들의 개념도를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수업 계획을 위하여 강의계획서가 어떠한 준거로 작성되어야 할지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개념도 분석법(concept map analysis)을 바탕으로 하여, 교육공학을 전공한 박사 15명을 대상으로 2차에 걸친 자료 수집을 실시하였다. 개념도 분석법은 특정 분야의 전문가 집단이 표상한 개념도를 양적, 질적 분석을 혼합한 구조화된 방법으로 분석함으로써 지식의 틀을 탐색하는데 적절한 연구방법이다(Trochim, 1989). 연구 참여자들의 ‘좋은 강의계획서’에 대한 설문자료는 다차원척도법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통해 개념도로 생성되었고 이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전문가 집단의 개념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좋은 강의계획서의 주요 구성요소에는 5개의 군집이 포함되었고 각 군집에 포함된 항목들은 질적으로 분류될 수 있었다. 둘째, 강의계획서의 주요 구성요소 중에 목표의 제시와 평가 관련 정보는 상대적으로 더 중요시 되었고, 특히 구성요소 간의 연계성은 높은 중요도로 평가되었다. 개념도 분석의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는 좋은 강의계획서에서 고려되어야 할 기본적 요소와 준거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고, 대학에서 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설계의 도구로서 강의계획서의 활용과 관련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used a concept-mapping approach to investigate experts’ perceptions of ‘good syllabi.’ Group concept mapping is a mixed-methods approach that helps an expert group visually represent and organize its ideas on a topic of interest. This...
This study used a concept-mapping approach to investigate experts’ perceptions of ‘good syllabi.’ Group concept mapping is a mixed-methods approach that helps an expert group visually represent and organize its ideas on a topic of interest. This method integrates qualitative group tasks of idea generation, sorting, and rating with two quantitative analyses,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cluster analysis. 15 participants who have a doctoral degree on educational technology, developed a total of 164 idea statements related to the concept of ‘good syllabus,’ which were ultimately combined and edited into 88 statements. Based on the results of having the 15 experts classified the 88 statements, a concept map was formed, which was made up of 2 dimensions and 5 clusters: teaching and learning goals, content by schedule, course environment and management, learning tasks and performance, and learning evaluation.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providing practical suggestions for developing good syllabi in order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 in higher education settings.
참고문헌 (Reference)
1 손승현, "예비교사의 통합교육 역량강화를 위한 특수교육학개론 교직과목의 운영방안 모색: 미국대학의 강의계획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129-161, 2010
2 강승혜, "수업계획서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수준에 따른 활용과 만족에 대한 연구: 교육대학원생들의 사례" 교육과학연구소 44 (44): 31-61, 2013
3 연합뉴스, "서울대 교수들 강의계획서 부실"
4 전성연, "대학의 교육과정과 수업" 학지사 1997
5 정혜령, "대학 수업계획서의 실증적 분석과 모형 개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6 박광배, "다차원척도법" 교육과학사 2000
7 이경숙, "기초간호자연과학 4개 교과목(인체 구조와 기능, 병원미생물학, 병태생리학, 약물의 기전과 효과) 표준 강의계획서 개발" 기초간호학회 15 (15): 33-42, 2013
8 노영희, "국내 문헌정보학 주요 교과목 강의계획서 분석및 개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4 (44): 143-175, 2013
9 류은주, "강의계획서 관련 학습자 만족도 및 활용도에 관한 연구-4년제 대학의 미용관련 학과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9 (19): 101-111, 2013
10 Parkes, J., "What syllabi communicate about assessment in college classrooms" 14 (14): 61-83, 2003
1 손승현, "예비교사의 통합교육 역량강화를 위한 특수교육학개론 교직과목의 운영방안 모색: 미국대학의 강의계획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129-161, 2010
2 강승혜, "수업계획서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수준에 따른 활용과 만족에 대한 연구: 교육대학원생들의 사례" 교육과학연구소 44 (44): 31-61, 2013
3 연합뉴스, "서울대 교수들 강의계획서 부실"
4 전성연, "대학의 교육과정과 수업" 학지사 1997
5 정혜령, "대학 수업계획서의 실증적 분석과 모형 개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6 박광배, "다차원척도법" 교육과학사 2000
7 이경숙, "기초간호자연과학 4개 교과목(인체 구조와 기능, 병원미생물학, 병태생리학, 약물의 기전과 효과) 표준 강의계획서 개발" 기초간호학회 15 (15): 33-42, 2013
8 노영희, "국내 문헌정보학 주요 교과목 강의계획서 분석및 개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4 (44): 143-175, 2013
9 류은주, "강의계획서 관련 학습자 만족도 및 활용도에 관한 연구-4년제 대학의 미용관련 학과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9 (19): 101-111, 2013
10 Parkes, J., "What syllabi communicate about assessment in college classrooms" 14 (14): 61-83, 2003
11 Valdes-Vasquez, R., "Using the concept-mapping method for empirical studies in construction research" 139 : 1-9, 2013
12 Novak, J. D., "The theory underlying concept maps and how to construct them. (Technical Report IHMC CmapTools 2006-01)"
13 Dick, W.,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 Pearson 2011
14 Parkes, J., "The purposes of syllabus" 50 (50): 55-61, 2002
15 Grunert O’Brien, J., "The course syllabus: A learning-centered approach" Jossey-Bass 2008
16 Leeds, J. D., "The course syllabus as seen by the undergraduate student" 1992
17 Nilson, L. B., "Teaching at its best: A research-based resource for college instructors" Anker 2010
18 Rosas, S. R., "Quality and rigor of the concept mapping methodology : A pooled study analysis" 35 (35): 236-245, 2012
19 Dick, W., "Planning effective instruction" Prentice Hall 1989
20 Kruskal, J. B., "Multidimensional scaling by optimizing goodness-of-fit to a nonmetric hypothesis" 29 : 1-27, 1964
21 Novak, J. D., "Learning, creating, and using knowledge: Concept MapsTM as facilitative tools in schools and corporation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1998
22 Matejka, K., "Designing a great syllabus" 42 (42): 115-118, 1994
23 Garavalia, L. S., "Constructing the course syllabus : Faculty and student perceptions of important syllabus components" 10 (10): 5-21, 1999
24 Kane, M.,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Sage Publication 2007
25 Trochim, W. M. K., "An introduction to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12 (12): 1-16, 1989
26 Phwandaphwanda, K., "An assessment of undergraduate course syllabi at the University of Arkansas" University of Arkansas 2003
27 Abdous, M., "A design framework for syllabus generator" 19 (19): 541-550, 2008
사례기반학습이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력, 내적 동기와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스라엘의 하르부타 방식에 기초한 온라인 토론활동이 토론활동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혼합형 초등 영어학습의 성취도를 예측하는 학습자의 외향성, 온라인학습 참여도, 언어불안 간의 경로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6-17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교육방법연구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94 | 1.94 | 2.0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23 | 2.35 | 2.393 | 0.9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