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제말기 조선방송협회를 통해 살펴본 방송통제 = Broadcasting control surveyed through Chosun broadcasting association during the last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288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apanese imperialism began radio broadcasing in Japan on March 1925 and open Gyungsung broadcasing system in the colony, Chosun as well in 1927. Under Japanesse colony, radio broadcasing was a media in modern style, on the other hand, it was a tool wh...

      Japanese imperialism began radio broadcasing in Japan on March 1925 and open Gyungsung broadcasing system in the colony, Chosun as well in 1927. Under Japanesse colony, radio broadcasing was a media in modern style, on the other hand, it was a tool which ruled the colony. With a role which propagate public culture and transmit information in advanced technique though radio broadcasting was in colonized bound, the radio broadcasing affected society and culture of Chosun colonized quite as modernized mass-media.
      Since dual broadcasting’s commencement in 1933, transmitted power was enforced big, meanwhile broadcasing was extended in the whole country. For doing it, Gyungsung broadcasting system of corporation which centered to the president, introduced the chairman system on April 1932 and was changed to the association of Chosun broadcasting. In the beginning of radio broadcast, Japanese were usually major listeners because of loads for buying receiver and for fees of listening and electric power, however, the number of Chosun people was rapidly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broadcasting the second channel in Chosun language as the commencement of dual broadcasting in 1932. Since the middle of 1930, Japanese imperialism promoted providing in order to use radio as an important media for war prosecution and colony rule, and it made the number of Chosun listeners increase. The increase of Chosun listeners also let control enforcing by Japanese imperialism. Likewise other colony governments, in Gyungsung broadcasting system organization, the number of Japanese employee was more than that of Chosun employee. The number of Chosun employee was half of total in 1933 but was decreased below 40% in 1941 and below 25% in 1944. In employee distribution at departments, Chosun staffs were arranged at business department which was in charge of subscription and fee, thus they were available at the department involved in financial policy through getting Chosun listeners. Besides, Chosun executives of Chosun broadcasting association consist of people cooperative with Japan and it was difficult structure to argue against control for radio.
      After Chosun listeners were rapidly increased, supervising for broadcasting was promoted. broadcast review committee was organized under the reason to review all programs broadcasting in the first and the second channels on the 31st of July 1934. Broadcast edit committee was set up on April 1935 and thus broadcast administration system was enforced. The broadcast of Chosun language in Gyungsung central broadcast system was increased to 50kW by the committee on the 17th of April 1937, and with war break between China and Japan on the 7th of July, it became stronger. Thus Intelligence committee was set at Chosun govern general and simultaneously, press part was newly set at Police documentary division and all programs and broadcasts were under control at the part. The program reviewd from the broadcast edit committee was pre-supervised a day ago prior to bradcast by the supervising part of mail department, finally, after intelligence part of police documentary department was supervised, broadcast could be possible. In June 1937, editing part was newly set and editing works became independent, it was a purpose to cut off the contents which bother war prosecution.
      As war status was getting in disadvantage, broadcast administration system described above was more enforced every year. In April 1941, integrity broadcast research committee which even people of nation spirit alliance take, was newly set and had a session every month, and broadcast was asked for a tool of only war broadcast as broadcast review committee was changed to integrity broadcast review committee in December this yea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일본제국주의는 본국 일본에서 1925년 3월 라디오 방송을 시작하였으며, 1927년 식민지 조선에서도 경성방송국을 개국하였다. 일제 식민지하에서 라디오 방송은 새로운 근대적 형식의 미디어...

      일본제국주의는 본국 일본에서 1925년 3월 라디오 방송을 시작하였으며, 1927년 식민지 조선에서도 경성방송국을 개국하였다. 일제 식민지하에서 라디오 방송은 새로운 근대적 형식의 미디어였으며, 한편으로 식민통치의 도구로도 기능하였다. 라디오방송은 식민지 현실이라는 한계 속에서도 선진기술문명으로 대중문화를 전파하고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면서 근대적 매스미디어로서 식민지 조선의 사회와 문화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1933년 이중방송 실시를 기점으로 조선어 방송을 실시하고, 출력을 대폭 증강하는 한편 전국적으로 방송망을 확장하였다. 이를 위해 이사장이 중심이 되었던 사단법인 경성방송국은 1932년 4월 총재제도를 도입하며, 조선방송협회로 개편되었다. 라디오 방송 초기에는 수신기를 구입하고 청취료와 전기료가 부담이 되어 주로 일본인들이 청취자의 다수를 차지하였으나, 1933년 이중방송의 실시로 제2방송이 조선어로 방송되자 조선인 청취자의 수는 급증하였다. 1930년대 중반 이후 일제가 라디오를 전쟁수행과 식민지 통치의 중요한 매체로 이용하기 위해 보급을 촉진한 것도 조선인 청취자의 수가 증가하는 요인이 되었다. 이 같은 조선인 청취자의 증가는 일제의 라디오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는 한 요인이 되었다.
      경성방송국 조직구성을 보면 다른 식민지 통치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조선인 직원보다는 일본인 직원이 다수를 점하였다. 1933년 조선인 직원 수는 전체 총수의 절반 정도였으나 1941년에는 40%이하로 줄었고, 1944년에는 25%로 더욱 줄었다. 부서간 직원분포에서도 조선인 직원들을 주로 가입, 요금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총무부와 사업부에 배치시켜, 이들을 조선인 청취자 확보를 통한 재정안정책과 관련된 부서에서 활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조선방송협회의 조선인 임원진을 보면 거의 일제에 협력하던 사람들로 구성되어 일제의 라디오에 대한 통제에 문제제기를 하기는 어려운 구조였다.
      조선인 청취자가 급증하자 방송에 대한 통제가 강화되었다. 1934년 7월 31일 제1 제2방송에서 방송되는 모든 프로그램을 연구, 심의한다는 명목 아래 방송심의회를 조직하였다. 1935년 4월에는 방송편성회를 설치하여 방송관리제도를 더욱 강화했다. 이 방송편성회는 1937년 4월 17일 경성중앙방송국의 조선어방송이 50kW로 증강되고 7월 7일 중일전쟁이 발발하면서 한층 강화되어, 조선총독부에 정보위원회를 설치하고 동시에 경무국 문서과에 보도계를 신설하여 여기에서 모든 방송뉴스와 프로그램을 통제하였다. 이 방송편성회에서 검토하여 편성된 프로그램은 또다시 방송 하루 전에 체신국 감독과의 사전 검열을 받게 했으며, 나중에는 경무국 문서과 정보계의 사전검열까지 받은 뒤에야 방송할 수 있었다. 1937년 6월 새로 편성과를 신설하여 편성업무를 독립시켰는데 이는 전쟁수행을 저해하는 내용을 사전에 차단하고자하는 의도였다.
      이상과 같은 방송관리제도는 점차 전세가 급박해짐에 따라 해를 거듭할수록 더욱 강화되었다. 1941년 4월에는 국민정신총동원연맹의 인사들까지 참석하는 총력방송연구회를 신설하여 매달 1회씩 개최했으며, 방송심의회도 이해 12월에 총력방송심의회로 개편됨으로써 방송은 오직 전쟁방송으로서의 기능만을 강요받게 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호, "호남벌 빛고을의 첫 방송 전파 발원처 :조선방송협회 광주방송국(현 KBS 광주총국)터" 한국방송프로듀서연합회 (20) : 2001

      2 이서구, "한국에 방송국이 처음 생겼을때" 1964

      3 윤재홍, "한국방송의 탄생과 시련(1927~1945년)" 中央大學校政經大學 21 : 1985

      4 공보실 방송관리국, "한국방송약사" 1958

      5 유병은, "한국방송사화 1-9" 1976

      6 강현두, "한국방송사에 일고" (가을) : 1983

      7 강현두, "한국방송사에 관한 일 고찰; 일제하 방송의 성격에 관하여" 방송위원회 6 : 1983

      8 윤석년, "한국방송사 기점논쟁에 관한 일고찰;일제하 식민지방송의 성격 규명을 통하여" 成均館大學校大學院 14 : 1989

      9 한국방송공사, "한국방송사" 1977

      10 정진석, "한국방송관계기사모음" 관훈클럽신영연구기금 1992

      1 김성호, "호남벌 빛고을의 첫 방송 전파 발원처 :조선방송협회 광주방송국(현 KBS 광주총국)터" 한국방송프로듀서연합회 (20) : 2001

      2 이서구, "한국에 방송국이 처음 생겼을때" 1964

      3 윤재홍, "한국방송의 탄생과 시련(1927~1945년)" 中央大學校政經大學 21 : 1985

      4 공보실 방송관리국, "한국방송약사" 1958

      5 유병은, "한국방송사화 1-9" 1976

      6 강현두, "한국방송사에 일고" (가을) : 1983

      7 강현두, "한국방송사에 관한 일 고찰; 일제하 방송의 성격에 관하여" 방송위원회 6 : 1983

      8 윤석년, "한국방송사 기점논쟁에 관한 일고찰;일제하 식민지방송의 성격 규명을 통하여" 成均館大學校大學院 14 : 1989

      9 한국방송공사, "한국방송사" 1977

      10 정진석, "한국방송관계기사모음" 관훈클럽신영연구기금 1992

      11 한국방송공사, "한국방송60년사" 1987

      12 유병은, "한국방송50년의 뒤안길(대담)" 1976

      13 박광순, "한국방송 송출장비의 변천에 관한 연구" 중앙대 1994

      14 김성호, "한국 방송관계문헌색인 : 1925-1997" 나남출판 1999

      15 이혜구, "퇴역방송인 좌담회-방송30년을 돌이켜 보면(대담)" 1957

      16 박기성, "태평양 전시하의 해외 독립운동 방송체제;VOA 한국어 방송,중경임시정부 방송 및 국내수신 실태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5 : 1994

      17 박순애, "조선총독부의 라디오 정책" 한중인문학회 (15) : 263-282, 2005

      18 "조선일보"

      19 일본방송협회, "조선방송협회 융자의 건" 1933

      20 경성일보사, "조선년감 각연도판"

      21 이계원, "저널리즘과 방송" (2) : 1947

      22 이 연, "일제하의 조선중앙정보위원회의 역할" 서강대 언론문화연구소 1993

      23 정진석, "일제하의 라디오보급과 청취자" 한국언론연구원 262 : 1992

      24 권태철, "일제하 한국방송의 전개과정과 성격에 관한 연구" 서울대 1996

      25 송민경, "일제하 방송소설 연구" 연세대 2003

      26 이성진, "일제하 라디오 방송의 성격에 관한 연구 : 조선총독부의 식민지 지배정책과 방송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양대 1999

      27 김영희, "일제시기 라디오의 출현과 청취자" 한국언론학회 46 (46): 6-183, 2002

      28 박용규, "일제말기(1937~1945)의 언론통제정책과 언론구조변동" 46 (46): 2001

      29 황유성, "일제 및 미 군정기 방송의 특성에 관한 연구 : 한국 방송사의 기점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 2004

      30 임동욱, "일본제국주의와 조선어방송" (가을) : 1991

      31 오타와 히로시, "일본방송사, In 세계방송의 역사" 나남 1992

      32 임동욱, "일본 제국주의와 조선어 방송 :일제하 방송의 정치경제학적 접근" 韓國記者協會 24 : 1991

      33 정진석, "인물로 본 한국언론 100년; 일제하 방송인 대부분 문인겸업 최초의 공채 아나운서는 마현경" 한국언론연구원 261 : 1992

      34 정진석, "인물로 본 한국 언론 100년-방송인들" 1992

      35 최창봉, "우리방송 100년" 현암사 2001

      36 이덕빈, "수신기발달사" 1957

      37 이석훈, "세계방송 선전전의 전모" 1939

      38 조병인, "방송국 수위30년-보고들은 이야기" 1957

      39 함태영, "방송과 친일의 만남" 민족문학사학회 (21) : 2002

      40 유병은, "방송 50년의 회고와 반성-청취자는 왜 불만인가?(대담)" 1977

      41 한덕봉, "라디오는 어떠케 방송되나" 1936

      42 일본방송협회, "라디오년감 각연도판"

      43 이혜구, "라디오계, In 조선문예연감" 인문사편집부 1939

      44 "동아일보"

      45 김성호, "대구ㆍ경북지역의 첫 전파 발원지 원대동 :KBS 대구방송총국(舊 조선방송협회 JBGK) 터" 한국방송프로듀서연합회 (19) : 2000

      46 유병, "단파방송 연락운동 1-3" 35 (35): 1992

      47 이혜구, "넘어야 했던 수많은 산 건너야 했던 수많은 강(대담)" 1958

      48 이서구, "내가 겪은 방송사" 1958

      49 이하윤, "나의 방송시절-일본인들과의 투쟁" 1969

      50 特派記者, "경성중앙방송국 해부" 1938

      51 조용만, "경성야화" 도서출판 窓 1992

      52 김성호, "경성방송의 성장 과정에 관한 연구: 경영정책과 가입자 확대 과정을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신문방송학과 2006

      53 이석훈, "경성방송국은 어떠한 곳 무엇을 하는 곳인가" 1935

      54 정영진, "가야금명인 강태홍의 공연양상" 한국음악사학회 (29) : 657-670, 2002

      55 유병은, "電波官制에 對한 考察; 日帝下의 韓國放送" 대한전자공학회 71 : 1989

      56 "朝鮮放送協會報"

      57 朝鮮放送協會, "朝鮮放送協會 定款"

      58 朝鮮放送協會, "朝鮮放送協會 事業報告書 1932,1934,1935,1936,1937년"

      59 이혜구, "晩堂文債錄" 서울대 출판부 1970

      60 김재홍, "日帝植民地 治下에서의 放送文化移植" 慶北大學校社會科學硏究所 2 : 1986

      61 노정팔, "日帝下의 放送" 放送委員會 19 : 1986

      62 朝鮮放送協會, "役員及職員名簿 1938-1941" 1944

      63 서재길, "『방송지우』와 일제 말기 방송소설" 민족문학사학회 22 : 387-409, 2003

      64 한국방송공사, "KBS년감" 1962

      65 시노하라 쇼조, "JODK : 조선방송협회 회상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66 유병은, "8․15와 방송" 197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6 1.61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