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희(朱熹)의 중(中)개념 연구 = A study of the Jung-concept being mentioned by Chu Hsi’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주자의 중 개념은 미발의 중을 성으로 보는 관점과 적연부동을 심으로 보는 관점의 차이에서 출발한다. 이는 미발에서 본원을 먼저 체득해야 한다는 의식을 다시 갖게 되면서, 하나의 심이 ...

      주자의 중 개념은 미발의 중을 성으로 보는 관점과 적연부동을 심으로 보는 관점의 차이에서 출발한다. 이는 미발에서 본원을 먼저 체득해야 한다는 의식을 다시 갖게 되면서, 하나의 심이 어떻게 함양과 체인을 하느냐에 있다. 주자는 미발을 본원성과 심의 활동으로 인한 미발이발로 구분하여, 본원의 입장에서 미발은 이(理)이지만 미발이발을 구분한 마음의 측면에서 미발은 중이 되는 것으로 이해한다. 미발에서는 중을 함양하고 이발에서도 미발의 중을 체험하는 것이다. 하나의 심이 갖는 함양과 체인의 문제를 미발에서도 함양하면서 체인해야 하고, 이발에서도 보존하면서 체인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바로 미발함양이란 본성을 기르면서[養性] 그대로 본성을 보존하는[尊性] 일관된 공부가 된다. 그 결과 중을 구하는 방법은 미발에선 ‘경계하고 삼감[戒愼恐懼]’하는 것을 본성을 ‘잃지 않는다.’는 것으로 이해하여, 이때 중을 구하는데 ‘천지의 중’을 체인함이 핵심이다. 이는 연평의 ‘미발기상체인’의 뜻이며 맹자의 존심양성과 이천의 평일함양과 같다. 미발에 바른 기상의 함양은 하늘이 준 본성을 존양하는 노력이며, 이는 중도로서 실체화되어 천하의 대본에 이를 수 있다. 주재와 존양함은 미발과 이발 모두에 관통하며, ‘홀로 삼감[愼獨]’은 이발의 공부로 간주한다. 이로써 미발에 중을 어떤 실체가 있는 것으로 생각하여 사사로이 집착하지 말고, 평일에 천리를 함양하는 함양과 인식의 질서를 세운다. 결국 중은 함양하는 심과 천명의 성과의 매개역할을 하는 개념으로서 ‘중에 이른다.[致中]’는 함양의 실재가 완전히 온전하여 지속되는 경지이며, 심의 ‘고요하여 움직임이 없는 것[寂然不動]’은 이것의 실재이다. 중은 극(極)이라는 지극한 이치가 강유의 기품을 머금어 사방에 대응하는 모습이다. 우주원리의 지극한 모습인 미발의 본체와 기품을 품은 이치를 중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되었으며, 중에 머무르는 것[中焉止矣]은 곧 지극한 선에 이르는 것[止於至善]을 뜻하게 되었다. 또한 송대에 인간 본성은 기질과 함께 거론되는데, 그 목표는 강함과 부드러움으로 타고난 본성을 항상 성(誠)하도록 함에 있다. 이 성은 선악과 강유로 드러나며 정(情)의 이치로서 중을 실현한다. 그래서 주자는 중이 중화로서 실현되기 위해 인간의 타고난 성품을 분별하여 중에 이르러야만 완전한 선에 이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천리의 함양은 미발을 위주로 하는데 이 미발의 중이 마땅함을 얻을 때가 때에 맞는 중[時中]이다. 따라서 중의 이치에 이른다는 것[致中]은 본성의 이치가 때에 맞도록 중절되어 지극함과 정중앙의 상태를 잃지 않게 실천하는 것이다. 이 경지를 바탕으로 이치가 실재 화합[致和]에 이르게 되면, 이는 때에 맞는 중의 이치를 미루어서 항상 어긋나지 않도록 하는 실천이며 천인합일의 경지이다. 중의 이치가 완전히 화합하여 전체가 잘되도록 하려면 본성의 바름이 온전히 실현된다는 중을 확립함에서 시작하여야 한다는 결론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Jung-concept of Chu Hsi’s started off with the differences in these two views of Mibal(未發) being considered Seong(性) and Jeokyeonbudong(寂然不動) being considered Sim(心). This depended upon how Hamyang(涵養) and Chein(體認) could...

      The Jung-concept of Chu Hsi’s started off with the differences in these two views of Mibal(未發) being considered Seong(性) and Jeokyeonbudong(寂然不動) being considered Sim(心). This depended upon how Hamyang(涵養) and Chein(體認) could go along with the one-Sim, Chu Hsi having conscious of the origin of a thing in the Mibal. Chu Hsi divided the Mibal into the origin-side and Mibal-Ibal due to the sim , s activities , understanding that Mibal is the I(理) in the origin-side and Mibal is the Jung(中) in the will-side of Sim being separated Mibal-Ibal . So, in the Mibal the Jung could be done hamyang, in the ibal taken chein. Rightly, the one-Sim has Hamyang and chein, So in conclusion, the hamyang and chein must be done in the Mibal, the bojon(保存) and Chein being done in the ibal. So-called Mibal-Hamyang is the study that is taking hamyang and bojon-Bonseong(本性) together. As a result, the method of looking for Jung is that tightening guard and abstaining are accounted no losing Bonseong in the Mibal,and looking for Jung has the point taking chein the Jung of cheonji(天地) . This has the same means with Mibalgisangchein(未發氣象體認) o f Lee Yeon pyeong (李延平), Pyeongil (平日) - Hamyang of Jeong Icheon(程伊川) and Jonsim-Yangseong(存心養性) of Mencius(孟子). To develop Gisang(氣象) of Mibal is is introspection-effort[存養] about the Bonseong given from Cheon(天),being substantialized as Jung-Do(中道) to reach at Daebon(大本) of the world[天下]. Jujae(主宰) and Jonyang(存養) go through Mibal and ibal , and Sindok(愼獨) is treated as a joke Ibal-study. Judging from this, get rid of one’s obsession over an entity of Jung(中) in the Mibal, the Order of hamyang and awareness which build up Cheon-I(天理) in the Pyeongil would be set up. Ultimately, Jung(中) is the concept of mediation rolebetween hamyang-sim and Cheonmyeong(天命)-seong. ‘Getting to Jung[致中]’is the stage that the contents of hamyang is fully sustainable, and the sim’s Jeokyeonbudong(寂然不動) is the Jung-Entity(中體) . Jung is the Geuk(極) of the utmost reason[理致] which has the Gang-Yu(剛柔) reacts on every side. Thus, the Mibal of principle in nature and the utmost reason of the Gang-Yu could be explained by the Jung, stay at the Jung meaning being very Good all the time. The Human-Bonseong would be always mentioned with Gijil(氣質) in the Song Dynasty, the aim consists in making keeping Bonseong having Gijil of Gang-Yu into Seong(誠) the whole time. This Seong that turns out good-evil and Gang-Yu , fulfills the Jung of the Jeong(情)’s principle. In this respect, Chu Hsi insisted knowing the Human-born nature[性品] rightly to achieve the complete Good so that the Jung can come true to Jung-Hwa. Doing Hamyang for Cheon-I with the the Mibal, the Time of the Mibal-Jung’s being suitable is the SiJung(時中) . So Getting to the Jung[致中] means making the Bonseong the right Time[中節] for accomplishing the status of the center[正中央] without loss. By this method, coming to getting to the Jung-Hwa[致中和] , this aims at the Cheoninhapil(天人合一) always meaningthe Jung-principle without loss. Ultimately, first of all set out from establishing the Jung to have the Jung-principle get to the Jung-Hwa[致中和] for the whol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Ⅰ. 머리말
      • Ⅱ. 주자이전 중 개념의 연원
      • Ⅲ. 주자의 중 개념 형성
      • Ⅳ. 중의 실천
      • 〈요약문〉
      • Ⅰ. 머리말
      • Ⅱ. 주자이전 중 개념의 연원
      • Ⅲ. 주자의 중 개념 형성
      • Ⅳ. 중의 실천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성건, "栗谷에 있어서 “至善” “中”의 의미에 대한 小考" 4 : 2001

      2 "論語"

      3 성광동, "호굉 철학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2

      4 오석원, "한국 도학파의 의리사상"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6

      5 Battista Mondin, "토마스 아퀴나스의 철학체계" 카톨릭출판사 2012

      6 馮友蘭, "중국철학사" 형설출판사 2002

      7 이상돈, "주희의 수양론 : 미발함양공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8 백은기, "주자의 {주역}해석에 나타난 中에 관하여" 범한철학회 (25) : 143-162, 2002

      9 이상돈, "주자 未發論의 渾然과 粲然" 퇴계학연구원 (133) : 259-292, 2013

      10 柳承國, "유가철학과 동방사상"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 학술원 2010

      1 전성건, "栗谷에 있어서 “至善” “中”의 의미에 대한 小考" 4 : 2001

      2 "論語"

      3 성광동, "호굉 철학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2

      4 오석원, "한국 도학파의 의리사상"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6

      5 Battista Mondin, "토마스 아퀴나스의 철학체계" 카톨릭출판사 2012

      6 馮友蘭, "중국철학사" 형설출판사 2002

      7 이상돈, "주희의 수양론 : 미발함양공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8 백은기, "주자의 {주역}해석에 나타난 中에 관하여" 범한철학회 (25) : 143-162, 2002

      9 이상돈, "주자 未發論의 渾然과 粲然" 퇴계학연구원 (133) : 259-292, 2013

      10 柳承國, "유가철학과 동방사상"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 학술원 2010

      11 陳來, "송명성리학" 예문서원 2006

      12 蒙培元, "성리학의 개념들" 예문서원 2011

      13 "通書解" 臺灣商務印書館 1983

      14 許愼, "說文解字" 新华书店 1992

      15 박현숙, "誠과 中을 통해 본 『중용』의 천인합일 사상 : 주희의 『중용장구』를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1

      16 "西銘解" 臺灣商務印書館 1983

      17 王懋竑, "朱熹年譜" 中華書局 2006

      18 束景南, "朱熹硏究" 人民出版社 2008

      19 黎靖德, "朱子語類(총4권)" 岳麓書社 1997

      20 卞源宗, "朱子學의 哲學的 特性에 관한 硏究 : 形成과 論辨을 中心으로" 韓南大學校 大學院 1995

      21 "朱子大全(集)(천지인·총3권)" 景文社 1977

      22 "書經"

      23 "易經"

      24 "性理大全" 保景文化社 1988

      25 "心經附註" 學民文化社 1995

      26 "延平答問" 臺灣商務印書館 1983

      27 黃宗羲, "宋元學案 총4권" 中華書局 1986

      28 "孟子"

      29 "太極解義" 臺灣商務印書館 1983

      30 "大學"

      31 朱熹, "四書章句集注" 中華書局 1995

      32 최영진, "南塘/巍巖 未發論辨의 再檢討 ― 退溪/高峯의 四端七情論爭과 對比하여 ―" 한국동양철학회 (29) : 49-91, 2008

      33 "二程全書 총3권" 中華書局 1987

      34 朱熹, "中庸或問"

      35 "中庸"

      36 Hoyt C. Tillman, "ZHU XI’S WORLD OF THOUGHT" 江苏人民出版社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6-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Reserch Institute for The Wonbuddhist Thoughts -> The Research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5 0.768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