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당(唐) 초기의 이사정(李師政)이 찬술한 내덕론(內德論)의 찬술 배경과 사상적 특징, 특히 호법 논리와 삼교정립론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내덕론』 은 「변혹(辯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당(唐) 초기의 이사정(李師政)이 찬술한 내덕론(內德論)의 찬술 배경과 사상적 특징, 특히 호법 논리와 삼교정립론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내덕론』 은 「변혹(辯惑)」...
본 논문은 당(唐) 초기의 이사정(李師政)이 찬술한 내덕론(內德論)의 찬술 배경과 사상적 특징, 특히 호법 논리와 삼교정립론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내덕론』 은 「변혹(辯惑)」, 「통명(通命)」, 「공유(空有)」의 세 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조(高祖) 시기에 발생한 도교의 불교 비판에 대응하여 찬술된 대표적 호법 문헌이다. 특히 이사정은 태사령 부혁(傅奕)이 올린 불교 폐지 상소문에 대응하여 『내덕론」을 찬술하였다.
『내덕론』 가운데 「변혹」에서는 부혁이 제기한 열 가지 폐불의 항목에 대해 이사정이 각각 논리적으로 반박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이하론(夷夏論)을 비판하고, 불교의 교리가 중국 전통사상과 대립하지 않음을 논증하고 있다. 또한 「통명」에서는 유교에서 말하는 천명(天命)과 불교의 업설(業說)을 서로 통합하여 볼 것을 제시하였으며, 길흉화복은 하늘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 자신의 행위에 따른 결과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이사정은 전통 유교의 운명론적 세계관을 불교의 윤회론과 연결하며 삼교정립의 사상을 강화하였다. 그러나 이사정은 유불도의 단순한 정립이 아니라 불교는 유교와 도교가 도저히 이를 수 없는 궁극적인 경지에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입장은 이사겸(李士謙)이 불교는 태양, 도교는 달, 유교는 오성(五星)이라고 보는 견해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내덕론』은 도교의 불교 비판에 대한 단순한 반론 차원을 넘어 불교와 중국 전통사상 간의 사상적 접점을 모색한 시도로 평가할 수 있으며, 불교가 우위에 있는 화합적 삼교정립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재가 거사가 찬술한 삼대 호법론 가운데 하나로서 중요한 사상사적 의의를 지닌다고 하겠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background and doctrinal features of Naedeoknon (內德論), composed by Li Shizheng (李師政) during the early Tang dynasty, with particular emphasis on its logic of Dharma protection and its theory of the Three Teaching...
This study investigates the background and doctrinal features of Naedeoknon (內德論), composed by Li Shizheng (李師政) during the early Tang dynasty, with particular emphasis on its logic of Dharma protection and its theory of the Three Teachings in coexistence. The work, structured into three sections—Bianhuo (Discernment of Delusion), Tongming (Understanding of Fate), and Kongyu (Emptiness and Existence)—was written in response to Grand Astrologer Fu Yi’s (傅奕) memorial urging the abolition of Buddhism under Emperor Gaozu (高祖). In Bianhuo, Li Shizheng offers systematic rebuttals to Fu Yi’s ten anti-Buddhist arguments, including critiques grounded in the Yixialun (夷夏論), while demonstrating that Buddhist doctrine does not conflict with Chinese classical traditions.
In Tongming, Li Shizheng reinterprets the Confucian concept of tianming (heavenly mandate) through the lens of the Buddhist law of karma, arguing that human fortune is determined by ethical conduct rather than divine will. He thereby integrates Buddhist soteriology with Confucian ethics and proposes a vision of harmonized yet hierarchically ordered coexistence among the Three Teachings, placing Buddhism at the apex. Li’s position parallels that of Li Shiqian, who symbolically ranked Buddhism as the sun, Daoism as the moon, and Confucianism as the five planets.
Thus, Naedeoknon is not merely a polemical defense of Buddhism, but a sophisticated philosophical synthesis of Buddhist and indigenous Chinese thought. As one of the three major hufa treatises by lay scholars, it holds enduring significance in the intellectual history of Chinese Buddh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