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헌, "數大葉의 變遷過程 硏究" 한국국악학회 34 : 89-120, 2003
2 "현금동문류기" 국립국악원 1984
3 한명희, "한금신보 해제" 극립국악원 1-2, 1989
4 "한금신보" 국립국악원 1989
5 유예지, "한국음악학자료총서 제15집" 국립국악원 1989
6 황준연, "한국음악사" 대한민국예술원 254-256, 1985
7 송방송, "한겨레음악대사전" 도서출판 보고사 2012
8 장사훈, "최신 국악총론" 세광음악출판사 1985
9 문숙희, "진작류 악곡의 리듬해석과 음악 -진작, 치화평, 봉황음, 횡살문, 자하동, 이상곡, 성황반, 내당, 잡처용에 한하여-" 한국국악학회 50 : 85-114, 2011
10 최재윤, "진작과 만대엽"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5
1 최헌, "數大葉의 變遷過程 硏究" 한국국악학회 34 : 89-120, 2003
2 "현금동문류기" 국립국악원 1984
3 한명희, "한금신보 해제" 극립국악원 1-2, 1989
4 "한금신보" 국립국악원 1989
5 유예지, "한국음악학자료총서 제15집" 국립국악원 1989
6 황준연, "한국음악사" 대한민국예술원 254-256, 1985
7 송방송, "한겨레음악대사전" 도서출판 보고사 2012
8 장사훈, "최신 국악총론" 세광음악출판사 1985
9 문숙희, "진작류 악곡의 리듬해석과 음악 -진작, 치화평, 봉황음, 횡살문, 자하동, 이상곡, 성황반, 내당, 잡처용에 한하여-" 한국국악학회 50 : 85-114, 2011
10 최재윤, "진작과 만대엽"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5
11 "증보고금보" 국립국악원 1989
12 한영숙, "중여음의 형성시기에 관한 연구" 한국국악학회 47 : 229-251, 2010
13 강성일, "조성보 만대엽의 정간 및 대강에 관한 고찰" 한국음악사학회 22 : 97-113, 1999
14 한만영, "조선조초기의 가곡에 대한 연구 - 만대엽과 중대엽의 기하여-" 동양음악연구소 5 : 1-27, 1983
15 황준연, "조선조 정간보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53-, 2009
16 황준연, "조선조 정간보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289-317, 2009
17 김해숙, "전통음악개론" 도서출판 어울림 1999
18 윤아영, "장단의 박자표기 체계화 및 통일화를 위한 시론 -결합박장단, 혼합박장단, 복합박장단을 중심으로-" 한국국악학회 73 : 229-243, 2023
19 강명관, "역주 고악보 2" 민속원 116-136, 2021
20 강명관, "역주 고악보 2" 민속원 187-240, 2021
21 강명관, "역주 고악보 1" 민속원 510-534, 2021
22 이장원, "엇모리장단 지도 방안 연구-혼소박의 박 개념 형성을 위한 교육적 제언-"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14 (14): 269-297, 2020
23 "어은보" 국립국악원 1989
24 "양금신보" 국립국악원 1984
25 "삼죽금보" 국립국악원 1989
26 이현주, "삭대엽의 변천과정에 대한 연구: 초수대엽, 이수대엽, 두거, 삼수대엽에 기하여" 부산대학교 1996
27 이혜구, "백운암금보 해제" 25-32, 1989
28 백운암금보, "백운암금보" 국립국악원 1989
29 김혜정, "민요의 채보와 해석" 민속원 83-, 2013
30 장사훈, "대악후보 해제" 5-11, 1979
31 "대악후보" 국립국악원 1979
32 "금합자보" 국립국악원 1989
33 "금보신증가령" 국립국악원 1989
34 문숙희, "고려말 조선초 시가와 음악형식" 학고방 2009
35 양태순, "고려가요의 음악적 연구" 이회문화사 1997
36 김영운, "가곡 연창형식의 역사적 전개양상" 민속원 2005
37 김해인, "가곡 선율의 변화양상 연구" 부산대학교 2018
38 강희진, "가곡 삭대엽의 변천과정 연구 : 우조초수대엽을 중심으로" 9 : 7-33, 2008
39 문숙희, "『금합자보』와 『양금신보』에 나타난 조선조 음악 및 기보법의 변천" 한국국악학회 55 : 33-59,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