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 <원가(怨歌)>는 『삼국유사』제5권 피은(避隱)편에 <신충괘관(信忠掛冠)>이라는 이름으로 배경설화와 함께 실려 있다. 이 글은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기록을 종합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30015299
허왕욱 (한국교원대학교)
2003
Korean
역사적 이해 ; 배경 설화 ; 사실성 ; 주술성 ; 의미 구조 ; Historical Understanding ; Background Tale ; Reality ; Incantation ; Structure of Meaning
810.903
KCI등재
학술저널
171-208(3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향가 <원가(怨歌)>는 『삼국유사』제5권 피은(避隱)편에 <신충괘관(信忠掛冠)>이라는 이름으로 배경설화와 함께 실려 있다. 이 글은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기록을 종합적...
향가 <원가(怨歌)>는 『삼국유사』제5권 피은(避隱)편에 <신충괘관(信忠掛冠)>이라는 이름으로 배경설화와 함께 실려 있다.
이 글은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기록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면서 작품의 창작 상황을 재구해 보았다. 필자가 주목한 사실은 삼국사기에 당연히 적혔어야 할 '목이(木異)'가 기록되지 않은 점, 효성왕(孝成王)이 신충(信忠)에게 중시(中侍)직을 임명한 것은 노래의 힘이 아니라 앞서 임명되었던 의충(義忠)의 죽음에 따른 일이었다는 점, 신충이 중시에 오르기 전에도 일정한 관직에 있었다는 점, 효성왕 대에 중시 의충과 신충이 정치적으로 적대적 관계가 아니었고 신충의 적대 세력은 신충을 상대등(上大等)에서 물러나게 한 양상(良相)이었다는 점, <신충봉성사(信忠奉聖寺)>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신충의 신원(伸寃)이 당대에 중요한 화제였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 등이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볼 때, 민간에 전승되는 이야기를 채록하려는 일연(一然)의 노력에 의해 <원가>의 창작 배경이 '해원(解怨)' 또는 '신원(伸寃)'의 구조로 각색되어 <신중괘관>이라는 이름의 산문 기록으로 정착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창작 상황에 비추어 이 글은 <원가>의 성격을 주가(呪歌)가 아닌 개인 서정시로 규정하였다. 노래에는 주술적인 요소가 보이지 않고 시적 대상을 그리워하는 화자의 목소리가 두드러지게 표현되어 있으며, 화자의 어조에는 대상에 대한 원망(怨望)보다 자신의 의로운 처지에 대한 술회가 잘 담겨 있다. 이러한 면은 이 노래가 사회적인 역학 관계 속에서 생성된 자아의 정서를 노래한 서정시로 보게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can appreciate the ancient korean poetry written in Chines Letters by the help of linguistic translation. Among of the ancient korean poetry, The works called Hyang-ga(鄕歌) present the people's thoughts and emotion living in Silla(新羅)-dynast...
We can appreciate the ancient korean poetry written in Chines Letters by the help of linguistic translation. Among of the ancient korean poetry, The works called Hyang-ga(鄕歌) present the people's thoughts and emotion living in Silla(新羅)-dynasty.
The <Won-ga> is one of Hyang-ga works. This work can be founded in the <Samgukyusa(三國遺事)>. And this work is accompanied with a background tale, the <Sinchunggaegwan(信忠掛冠)>. This background tale has been believed as a clue which can explain a mysterious massage of the <Won-ga>. But the contents written in the <Sinchung gaegwan> are different from the contents of the <Samguksagi(三國史記)>.
In this points, this essay tried to reconstruct a writing situation of <Won-ga> through historical materials. Thus this paper brighten that <Won-ga> was not producted in the King of Hyosung(孝成王) but in the King of Kyongduck(景德王). Especially, this work was written in a special situation that as a writer, Sinchung(信忠) was expelled from political center by political opposite. Of cause, this work and background tale included writer's emotion, and the people's hope to settle down Sinchung's dishonor was included. Il-yeon(一然), the writer of <Samgukyusa>, inserted transmissive tales into his writing.
As a results, the <Sinchunggaegwan> was composed of a consolation structure. Also, a character of the <Won-ga> is not incantatory poem or masic words. The <Won-ga> is a lyric poem expressing poet's emotion.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