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협력적 프로젝트 수행 교수학습법 연구 = A Study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Collaborative Project Using Digital Too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815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need to devise some methods of teaching that fit the current era and prepare for the future education and implement new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meet digital natives’ needs. To show this, this 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need to devise some methods of teaching that fit the current era and prepare for the future education and implement new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meet digital natives’ needs.
      To show thi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structional effectiveness of the notion, a note-taking software platform to organize assignments, manage lesson plans and project based on learning.
      Notion is effective for using when carrying out cooperative projects because it is easy to structure ideas, visualize thoughts, use intuitive data, and share announcements and schedules. The ability to cooperate, which is essential for the future, can be cultivated through collaborative activities using digital tools. This study selected the crisis of the ecosystem as the subject that allows learners to present productive alternatives through cooperation.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class, in the survey,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to the improvement of cooperation, the effectiveness of the digital tools, and the improvement of ecological literacy. By correcting and making up the problems found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22, this study suggested a student directed project learning model using the digital tools and literature-based activities to foster digital literacy and have opportunities for humanistic reflec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디지털시대에 교양교육은 온라인 수업 구축 및 디지털 인문학과관련해서 현 시대에 적합하고 미래를 예비할 수 있는 교육방법을탐색해야 할 것이다. 특히 인터넷 네트워크로 인해 다중의 ...

      디지털시대에 교양교육은 온라인 수업 구축 및 디지털 인문학과관련해서 현 시대에 적합하고 미래를 예비할 수 있는 교육방법을탐색해야 할 것이다. 특히 인터넷 네트워크로 인해 다중의 연대를모색할 수 있는 오늘날, 교양교육은 협업을 통한 창의적 교육을 지향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애자일방법론을 기반으로 노션(Notion)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교육의 효과성을 높인 협력적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였다. 업무생산성, 협업관리 디지털 도구인 노션은 아이디어의 구조화, 사유의 가시화, 직관적 자료 활용, 공지사항 및 일정 공유 등이수월하여 협력적 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활용하기에 용이하다. 협력적프로젝트의 주제로 가능한 다양한 주제 중에서도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흥미를 가질 만하면서 생산적인 대안 제시가 가능한 주제로생태계의 위기를 선정하였으며, 문제의식을 내면화하기 위하여 생태계의 문제를 다룬 현대시 작품들을 활용하였다. 수업을 진행한 결과, 설문 조사에서 학습자들은 협동력 향상, 노션 활용, 문학 작품 활용, 생태감수성 향상 등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다음으로는 시간의 한계 상 실제 강의에서 수행하지 못했던 과정들을 보완하여 수업 모델을 설계・제시하였다. 수업 모델은 ‘작품 읽기-문제의식 체화하기-주제 확정 및 개요 작성-글쓰기 및 피드백-수정 및퇴고-콘텐츠 제작, 발표, 평가’로 구성되며, 각 단계는 교수자의 강의, 학습자의 개인 과제, 팀 과제, 발표, 평가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 연구는 창의적 교양교육 방안의 일환으로 학생들이 업무생산성, 협업관리 디지털 도구를 활용해 프로젝트 과정을 직접 관리하며 효과적인 협업을 수행하고 협력적 글쓰기 수행 및 콘텐츠 기획 제작 과정을 통해 배우는 프로젝트 기반 수업 모델을 제시하려 하였다는 점, 또한 문학을 활용하여 디지털 문식성과 인문정신을 함께 함양할 수있는 교양교육을 지향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