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내몽골 사찰 벽화의 시각 예술 이미지를 응용한 문화 창의 제품 개발 : 미대소(美岱召) 사찰 벽화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Cultural Creative Products Utilizing Visual Art Images from Inner Mongolian Monastery Murals - Focused on the Murals of Meidaizhao Monastery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9466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inese temple murals record images related to social life such as ancient architecture, characters, costumes, dances, music, tools, etc., and also depict the faces of gods and Buddhas beyond reality. Studying the artistic images of temple murals can provide reference value for the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and also provide important reference and inspiration for modern artistic creation.
      Temple murals can be seen everywhere in China, and Inner Mongolia also preserves a large number of temple murals. These murals are located in remote places, small in scale and lacking in influence, and are easily overlooked. What's more regrettable is that due to the long history, neglect of maintenance, natural disasters, war damage and other reasons, Inner Mongolia temple murals have suffered irreparable losses.
      Fortunately, some temple murals have been preserved intact, among which the Meidai Zhao murals in Inner Mongolia are the most numerous, most complete, and best preserved temple murals in Inner Mongolia, presenting extremely precious artistic images.
      At present, most of the research on the art of Meidai Zhao murals focuses on theoretical content such as tourism protection and cultural development, and a small amount is from the architectural perspective, and some areas still need further exploration. Moreover, the research on Meidai Zhao murals is basically based on image analysis, protection and restoration, and cultural exchange. Although there is some involvement i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ultural creative products, most of them are simple copies of traditional artistic images, resulting in the symbol characteristics of cultural creative products being extremely weakened, leading to the bad situation of cultural creative products appearing to be rigid and superficial. Based on this, the research direction of this paper is to take the visual image research of Meidai Zhao murals in Inner Mongolia as the entry point, combine modern technology, deeply analyze the secular images in the visual images, develop cultural creative products that meet the creative purpose, and apply them to modern life, meet the multi-level needs of modern people, and also add new design elements to modern art.
      This paper hopes to further think about the modern inheritance and innovation path of the culture and art of the northern minorities in China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predecessors, and explore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strategy of cultural creative products under the promotion concept of national traditional culture. At the same time, taking Meidai Zhao murals as the main research object, develop cultural creative products with profound cultural value, aesthetic value and practical value, adapt to the needs of modern life, meet the market consumption demand, stimulate the internal vitality of Inner Mongolia's cultural creative industry, and promote the development and prosperity of Inner Mongolia's cultural creative cause.
      This research focuses on exploring from the aspects of cultural origin, cultural expression, cultural connotation, cultural value, etc., to promote the renewal and development of Inner Mongolia's traditional culture, and present Inner Mongolia with an open, inclusive, and inclusive cultural image. At the same time, the research on the visual image of Meidai Zhao murals in Inner Mongolia is used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ultural creative products. This research can not only improve the strategic significance of Inner Mongolia's urban image, but also play a good role in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Inner Mongolia's cultural creative industry in the future.
      In the research, the author creatively disseminates the temple culture of Inner Mongolia, allowing the originally cold historical relics lying in the murals to "come alive" and "move". Find the combination point of chasing the "timeliness" trend from Meidai Zhao murals, and achieve the purpose of truly promoting the propaganda and economic development of Inner Mongolia's culture.
      번역하기

      Chinese temple murals record images related to social life such as ancient architecture, characters, costumes, dances, music, tools, etc., and also depict the faces of gods and Buddhas beyond reality. Studying the artistic images of temple murals can ...

      Chinese temple murals record images related to social life such as ancient architecture, characters, costumes, dances, music, tools, etc., and also depict the faces of gods and Buddhas beyond reality. Studying the artistic images of temple murals can provide reference value for the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and also provide important reference and inspiration for modern artistic creation.
      Temple murals can be seen everywhere in China, and Inner Mongolia also preserves a large number of temple murals. These murals are located in remote places, small in scale and lacking in influence, and are easily overlooked. What's more regrettable is that due to the long history, neglect of maintenance, natural disasters, war damage and other reasons, Inner Mongolia temple murals have suffered irreparable losses.
      Fortunately, some temple murals have been preserved intact, among which the Meidai Zhao murals in Inner Mongolia are the most numerous, most complete, and best preserved temple murals in Inner Mongolia, presenting extremely precious artistic images.
      At present, most of the research on the art of Meidai Zhao murals focuses on theoretical content such as tourism protection and cultural development, and a small amount is from the architectural perspective, and some areas still need further exploration. Moreover, the research on Meidai Zhao murals is basically based on image analysis, protection and restoration, and cultural exchange. Although there is some involvement i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ultural creative products, most of them are simple copies of traditional artistic images, resulting in the symbol characteristics of cultural creative products being extremely weakened, leading to the bad situation of cultural creative products appearing to be rigid and superficial. Based on this, the research direction of this paper is to take the visual image research of Meidai Zhao murals in Inner Mongolia as the entry point, combine modern technology, deeply analyze the secular images in the visual images, develop cultural creative products that meet the creative purpose, and apply them to modern life, meet the multi-level needs of modern people, and also add new design elements to modern art.
      This paper hopes to further think about the modern inheritance and innovation path of the culture and art of the northern minorities in China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predecessors, and explore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strategy of cultural creative products under the promotion concept of national traditional culture. At the same time, taking Meidai Zhao murals as the main research object, develop cultural creative products with profound cultural value, aesthetic value and practical value, adapt to the needs of modern life, meet the market consumption demand, stimulate the internal vitality of Inner Mongolia's cultural creative industry, and promote the development and prosperity of Inner Mongolia's cultural creative cause.
      This research focuses on exploring from the aspects of cultural origin, cultural expression, cultural connotation, cultural value, etc., to promote the renewal and development of Inner Mongolia's traditional culture, and present Inner Mongolia with an open, inclusive, and inclusive cultural image. At the same time, the research on the visual image of Meidai Zhao murals in Inner Mongolia is used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ultural creative products. This research can not only improve the strategic significance of Inner Mongolia's urban image, but also play a good role in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Inner Mongolia's cultural creative industry in the future.
      In the research, the author creatively disseminates the temple culture of Inner Mongolia, allowing the originally cold historical relics lying in the murals to "come alive" and "move". Find the combination point of chasing the "timeliness" trend from Meidai Zhao murals, and achieve the purpose of truly promoting the propaganda and economic development of Inner Mongolia's cul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의 사원 벽화는 고대 건축물, 인물, 의상, 춤, 음악, 도구 등과 같은 사회생활과 관련된 이미지를 기록하며 현실을 넘어 신과 불상의 얼굴도 묘사한다. 사찰 벽화의 예술적 이미지를 연구함으로써 중국 전통 문화의 계승과 발전에 대한 참고 자료를 제 공할 뿐만 아니라 현대 예술 창작에 중요한 참고와 영감을 제공할 수 있다. 중국은 많은 지역에서 사찰 벽화를 볼 수 있으며, 내몽골도 다수의 사찰 벽화를 보 존하고 있다. 이러한 벽화는 외진 곳에 위치하고 규모가 작으며 영향력이 부족하여 쉽게 간과되곤 하였다. 더 유감스러운 것은 시간이 지나면서 유지 보수의 소홀, 자연 재해, 전쟁 등으로 인해 내몽골 사찰 벽화가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은 것이다. 다 행히도 일부 사찰 벽화는 완전히 보존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도 내몽골의 미대소 사찰 벽화가 가장 많고 완벽하게 보존된 사찰 벽화로서 소중한 예술적 이미지를 제시하고 있다. 현재 미대소 벽화에 대한 예술 연구는 대부분 관광지 보호 및 문화 발전과 같은 이 론적 내용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리고 건축적 관점에서도 일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다른 영역에 대한 탐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미대소 벽화에 대한 연구는 기본적으로 이미지 분석, 보호 및 복원, 문화 교류에 중점을 두고 있다. 문제 는 대부분 전통적인 예술적 이미지에 대한 간단한 복사물로 머물러 있어 문화 창의 제품의 상징적 특성이 매우 약화되어 문화 창의 제품이 단일화되며 피상적으로 보이 는 상황을 초래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내몽골 미대소 벽화의 시각적 이미 지 색채, 형태 등에 대해 연구하며 현대 기술을 결합하여 시각적 이미지의 속세적인 측면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창의적으로 문화 창의 제품을 개발하고 현대 생활에 적 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현대인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며 동시에 현대 예술에 새로운 디자인 요소를 제공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중국 북부 소수민족의 문화와 예술의 현대 적 계승과 혁신 경로에 대해 더 깊이 연구하고, 국가 전통 문화 홍보 개념을 촉진하 며 문화 창의 제품의 개발 및 적용 전략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동시에 미대소 벽화를 주된 연구 대상으로 삼아 문화적 가치, 미적 가치, 실용적 가치가 있는 깊이 있는 문 화 창의 제품을 개발하고 현대 생활의 요구를 충족시키며 시장 소비 수요를 충족시키 고, 내몽골 문화 창의 산업의 내재적 활력을 자극하여 내몽골 문화 창의 사업의 발전 과 번영을 촉진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문화적 기원, 문화적 표현, 문화적 함의, 문화 적 가치 등의 측면에서 탐구하여 내몽골 전통 문화의 갱신과 발전을 촉진하고 내몽골 을 열린, 포용적이며 풍부한 문화적 이미지로 제시하려고 한다. 동시에 내몽골 미대소 벽화의 시각적 이미지에 대한 연구결과를 문화 창의 제품의 개발 및 적용에 활용하 려 한다. 이를 통해 내몽골 도시 이미지의 전략적 의미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미 래에 내몽골의 문화 창의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는 데 좋은 역할을 작용하는 데 기 여한다. 내몽골의 사찰 문화를 창의적으로 전파시켜, 원래는 벽화에 얼어붙어 있던 차가운 역사 문화유산을 살리고 움직일 수 있도록 하였다. 미대소 벽화로부터 시대 적 트렌드를 따라가는 연결점을 찾아냄으로써, 내몽골 문화의 홍보와 경제 발전을 실제로 촉진하는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키워드: 사찰 벽화, 내몽골, 문화 창의 제품, 미대소, ‘성사유진(城寺遺珍)’
      번역하기

      중국의 사원 벽화는 고대 건축물, 인물, 의상, 춤, 음악, 도구 등과 같은 사회생활과 관련된 이미지를 기록하며 현실을 넘어 신과 불상의 얼굴도 묘사한다. 사찰 벽화의 예술적 이미지를 연구...

      중국의 사원 벽화는 고대 건축물, 인물, 의상, 춤, 음악, 도구 등과 같은 사회생활과 관련된 이미지를 기록하며 현실을 넘어 신과 불상의 얼굴도 묘사한다. 사찰 벽화의 예술적 이미지를 연구함으로써 중국 전통 문화의 계승과 발전에 대한 참고 자료를 제 공할 뿐만 아니라 현대 예술 창작에 중요한 참고와 영감을 제공할 수 있다. 중국은 많은 지역에서 사찰 벽화를 볼 수 있으며, 내몽골도 다수의 사찰 벽화를 보 존하고 있다. 이러한 벽화는 외진 곳에 위치하고 규모가 작으며 영향력이 부족하여 쉽게 간과되곤 하였다. 더 유감스러운 것은 시간이 지나면서 유지 보수의 소홀, 자연 재해, 전쟁 등으로 인해 내몽골 사찰 벽화가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은 것이다. 다 행히도 일부 사찰 벽화는 완전히 보존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도 내몽골의 미대소 사찰 벽화가 가장 많고 완벽하게 보존된 사찰 벽화로서 소중한 예술적 이미지를 제시하고 있다. 현재 미대소 벽화에 대한 예술 연구는 대부분 관광지 보호 및 문화 발전과 같은 이 론적 내용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리고 건축적 관점에서도 일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다른 영역에 대한 탐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미대소 벽화에 대한 연구는 기본적으로 이미지 분석, 보호 및 복원, 문화 교류에 중점을 두고 있다. 문제 는 대부분 전통적인 예술적 이미지에 대한 간단한 복사물로 머물러 있어 문화 창의 제품의 상징적 특성이 매우 약화되어 문화 창의 제품이 단일화되며 피상적으로 보이 는 상황을 초래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내몽골 미대소 벽화의 시각적 이미 지 색채, 형태 등에 대해 연구하며 현대 기술을 결합하여 시각적 이미지의 속세적인 측면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창의적으로 문화 창의 제품을 개발하고 현대 생활에 적 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현대인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며 동시에 현대 예술에 새로운 디자인 요소를 제공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중국 북부 소수민족의 문화와 예술의 현대 적 계승과 혁신 경로에 대해 더 깊이 연구하고, 국가 전통 문화 홍보 개념을 촉진하 며 문화 창의 제품의 개발 및 적용 전략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동시에 미대소 벽화를 주된 연구 대상으로 삼아 문화적 가치, 미적 가치, 실용적 가치가 있는 깊이 있는 문 화 창의 제품을 개발하고 현대 생활의 요구를 충족시키며 시장 소비 수요를 충족시키 고, 내몽골 문화 창의 산업의 내재적 활력을 자극하여 내몽골 문화 창의 사업의 발전 과 번영을 촉진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문화적 기원, 문화적 표현, 문화적 함의, 문화 적 가치 등의 측면에서 탐구하여 내몽골 전통 문화의 갱신과 발전을 촉진하고 내몽골 을 열린, 포용적이며 풍부한 문화적 이미지로 제시하려고 한다. 동시에 내몽골 미대소 벽화의 시각적 이미지에 대한 연구결과를 문화 창의 제품의 개발 및 적용에 활용하 려 한다. 이를 통해 내몽골 도시 이미지의 전략적 의미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미 래에 내몽골의 문화 창의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는 데 좋은 역할을 작용하는 데 기 여한다. 내몽골의 사찰 문화를 창의적으로 전파시켜, 원래는 벽화에 얼어붙어 있던 차가운 역사 문화유산을 살리고 움직일 수 있도록 하였다. 미대소 벽화로부터 시대 적 트렌드를 따라가는 연결점을 찾아냄으로써, 내몽골 문화의 홍보와 경제 발전을 실제로 촉진하는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키워드: 사찰 벽화, 내몽골, 문화 창의 제품, 미대소, ‘성사유진(城寺遺珍)’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표 목 차 iv
      • 그 림 목 차 v
      • 국문초록 ix
      • Ⅰ. 서 론 1
      •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 표 목 차 iv
      • 그 림 목 차 v
      • 국문초록 ix
      • Ⅰ. 서 론 1
      •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및 의의 5
      • 가. 연구 목적 5
      • 나. 연구 의의 6
      • 3. 연구 내용 및 방법 8
      • 가. 연구 내용 8
      • 나. 연구방법 11
      • Ⅱ. 이론적 배경 12
      • 1. 미대소 형성배경 12
      • 가. 형성원인 13
      • 나. 형성시기 15
      • 다. 발전과정 23
      • 2. 미대소 벽화의 특징 29
      • 가. 지리적 특징 30
      • 나. 분포적 특정 31
      • 다. 역사·문화적 가치의 특징 33
      • 라. 대표적 이미지의 특징 34
      • 3. 문화 창의 제품 55
      • 가. 개념 55
      • 나. 분류 58
      • 다. 발전현황 65
      • Ⅲ. 미대소 벽화에 대한 문화 창의 제품 개발 연구 67
      • 1. 미대소 벽화에 대한 사회 인지도 조사 67
      • 가. 응답자 개요 67
      • 나. 미대소 벽화에 대한 사회 인지도 상황 70
      • 다. 미대소 벽화에 대한 보호 및 계승 상황 73
      • 2. 미대소 벽화의 문화 창의 제품 개발 현황 조사 74
      • 가. 현지 조사 74
      • 나. 온라인 조사 76
      • 다. 조사결과 76
      • 3. 미대소 벽화 문화 창의 제품 디자인 과정 80
      • 가. ‘성사유진(城寺遺珍)’ 주제 설정 80
      • 나. 대표적 이미지의 추출 및 전환 80
      • 다. 색채 응용 96
      • 라. ‘성사유진(城寺遺珍)’ 로고 디자인 99
      • 마. ‘성사유진(城寺遺珍)’ 폰트 디자인 101
      • 바. ‘성사유진(城寺遺珍)’ 로고-폰트 조합 103
      • 사. 보조 패턴 디자인 104
      • 4. ‘성사유진(城寺遺珍)’ 문화 창의 제품의 디자인 사례 107
      • 가. 문화 창의 제품 여행용품 디자인 사례 109
      • 나. 문화 창의 제품 문구용품 디자인 사례 116
      • 다. 문화 창의 제품 레저용품 디자인 사례 120
      • 라. 문화 창의 제품 생활용품 디자인 사례 124
      • 5. ‘성사유진(城寺遺珍)’ 문화 창의 제품의 홍보 및 응용 방안 128
      • 6. ‘성사유진’ 문화 창의 제품의 만족도 조사 및 분석 129
      • IV. 결론 133
      • 1. 연구 요약 133
      • 2. 연구의 한계점 및 전망 135
      • 참고문헌 137
      • Abstract 142
      • 부록 14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