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건교사의 교사학습공동체 연구: 성교육 연구회를 중심으로 =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of health education teachers for sexuality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558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heath education teachers improved their sexuality education lessons and developed teaching expertise through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Methods The author interviewed four health educatio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for sexuality education. The participants who were in the stage of concerns about teaching with regard to Fuller's model of teacher development based on the analysis of teachers' concerns. The author also collected and analyzed the documents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for sexuality education.
      Results The health education teachers of this study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eir main motives were to improve sexuality education lessons and to develop teaching expertise through teacher collaboration.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e teachers changed both lesson contents and instruction methods of their sexuality education: they developed their lessons toward inclusive sexuality education beyond only dealing with the physical aspect of sexuality; they implemented various approaches of student-centered learning rather than teacher-centered lectures with video clips: they together developed sexuality education lessons using book discussion, food therapy, art therapy, games, and so on. In addition, the teachers developed their own sexuality education lessons by modifying the lesson plans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with regard to their individual teaching situations.
      Conclusions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was very effective in improving sexuality education and developing teaching expertise for health education teachers who were usually “isolated” in their schools. The teachers developed and implemented inclusive sexuality education with various approaches of student-centered learning through teacher collaboration.
      번역하기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heath education teachers improved their sexuality education lessons and developed teaching expertise through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Methods The author interviewed four health education 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heath education teachers improved their sexuality education lessons and developed teaching expertise through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Methods The author interviewed four health educatio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for sexuality education. The participants who were in the stage of concerns about teaching with regard to Fuller's model of teacher development based on the analysis of teachers' concerns. The author also collected and analyzed the documents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for sexuality education.
      Results The health education teachers of this study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eir main motives were to improve sexuality education lessons and to develop teaching expertise through teacher collaboration.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e teachers changed both lesson contents and instruction methods of their sexuality education: they developed their lessons toward inclusive sexuality education beyond only dealing with the physical aspect of sexuality; they implemented various approaches of student-centered learning rather than teacher-centered lectures with video clips: they together developed sexuality education lessons using book discussion, food therapy, art therapy, games, and so on. In addition, the teachers developed their own sexuality education lessons by modifying the lesson plans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with regard to their individual teaching situations.
      Conclusions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was very effective in improving sexuality education and developing teaching expertise for health education teachers who were usually “isolated” in their schools. The teachers developed and implemented inclusive sexuality education with various approaches of student-centered learning through teacher collabor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인 성교육 연구회에서 보건교사들이 어떻게 교사 간 협력을 통해 성교육 수업의 질을높이고 수업전문성을 향상시키고 있는지 탐색하는 데에 있다.
      방법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인 보건교사 성교육 연구회에서 활동하였던 보건교사 4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자료는 2020년 11월부터 2021년 3월까지 5개월 동안 면담으로 수집하였으며 그 외에 연구회 결과보고서와 수업자료 등의 관련문서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N-vivo를 활용하여 단계별 절차를 밟아 분석하였다.
      결과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해 보건교사들은 성교육 수업의 방향과 수업방법의 측면에서 성교육 수업의 질을 제고하였다. 교사들은성교육에 대한 인식을 넓혀 나감으로써 생물학적 성을 넘어선 포괄적 성교육 수업을 하게 되었으며, 다양한 학생 중심 수업방법을연구하였는데 이는 독서토론, 푸드표현, 미술치료, 놀이 등을 활용한 성교육 수업으로 실행되었다. 또한, 교사들은 연구회에서 함께개발한 수업자료를 기계적으로 본인의 수업에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교육철학과 교수스타일, 학생들의 특성 등 수업 맥락에따라 수정 보완하고 있었다.
      결론 교사학습공동체는 보건교사들의 성교육 수업의 방향과 수업방법을 변화시켰으며, 교사들은 성교육 연구회의 공동연구결과를본인의 수업에서 그대로 적용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본인의 맥락에 맞게 변형시킴으로써 스스로의 수업전문성을 향상시켜나가고있었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인 성교육 연구회에서 보건교사들이 어떻게 교사 간 협력을 통해 성교육 수업의 질을높이고 수업전문성을 향상시키고 있는지 탐색하는 데에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인 성교육 연구회에서 보건교사들이 어떻게 교사 간 협력을 통해 성교육 수업의 질을높이고 수업전문성을 향상시키고 있는지 탐색하는 데에 있다.
      방법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인 보건교사 성교육 연구회에서 활동하였던 보건교사 4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자료는 2020년 11월부터 2021년 3월까지 5개월 동안 면담으로 수집하였으며 그 외에 연구회 결과보고서와 수업자료 등의 관련문서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N-vivo를 활용하여 단계별 절차를 밟아 분석하였다.
      결과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해 보건교사들은 성교육 수업의 방향과 수업방법의 측면에서 성교육 수업의 질을 제고하였다. 교사들은성교육에 대한 인식을 넓혀 나감으로써 생물학적 성을 넘어선 포괄적 성교육 수업을 하게 되었으며, 다양한 학생 중심 수업방법을연구하였는데 이는 독서토론, 푸드표현, 미술치료, 놀이 등을 활용한 성교육 수업으로 실행되었다. 또한, 교사들은 연구회에서 함께개발한 수업자료를 기계적으로 본인의 수업에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교육철학과 교수스타일, 학생들의 특성 등 수업 맥락에따라 수정 보완하고 있었다.
      결론 교사학습공동체는 보건교사들의 성교육 수업의 방향과 수업방법을 변화시켰으며, 교사들은 성교육 연구회의 공동연구결과를본인의 수업에서 그대로 적용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본인의 맥락에 맞게 변형시킴으로써 스스로의 수업전문성을 향상시켜나가고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수정, "학습공동체 기반 초등 영어과 교육실습 프로그램을 통한 예비교사와 실습지도교사의 전문성 발달사례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2 우옥영, "학교보건법 개정 10년의 보건교육정책과 변화 전략-사회적 요구의 확대와 보건교육의 새 패러다임, 보건교사의 리더십 요구" 3-22, 2017

      3 이규은, "학교 성교육 표준안 연수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51-71, 2016

      4 이병환, "학교 성 평등 교육의 동향과 과제"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10 (10): 1-22, 2021

      5 김신회 ; 박종률,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 사례연구: 교육연구회 ‘반걸음’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617-634, 2021

      6 임미빈 ; 박승희, "초임 특수학급 교사에 대한 수업장학의 실태와 개선을 위한 제언" 특수교육연구소 10 (10): 55-81, 2011

      7 김재춘 ; 박정순 ; 강희종,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교과지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교육과학연구소 41 (41): 65-96, 2010

      8 권진옥,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직업정체성 형성 과정 : 근거이론적 접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9 오진아 ; 권진옥,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직업 정체성과 직무 스트레스"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1 (21): 341-350, 2010

      10 이재영 ; 박소연 ; 제민지 ; 주현옥,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사춘기 적응증진을 위한 학교기반성교육체험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한국아동간호학회 24 (24): 454-464, 2018

      1 윤수정, "학습공동체 기반 초등 영어과 교육실습 프로그램을 통한 예비교사와 실습지도교사의 전문성 발달사례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2 우옥영, "학교보건법 개정 10년의 보건교육정책과 변화 전략-사회적 요구의 확대와 보건교육의 새 패러다임, 보건교사의 리더십 요구" 3-22, 2017

      3 이규은, "학교 성교육 표준안 연수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51-71, 2016

      4 이병환, "학교 성 평등 교육의 동향과 과제"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10 (10): 1-22, 2021

      5 김신회 ; 박종률,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 사례연구: 교육연구회 ‘반걸음’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617-634, 2021

      6 임미빈 ; 박승희, "초임 특수학급 교사에 대한 수업장학의 실태와 개선을 위한 제언" 특수교육연구소 10 (10): 55-81, 2011

      7 김재춘 ; 박정순 ; 강희종,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교과지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교육과학연구소 41 (41): 65-96, 2010

      8 권진옥,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직업정체성 형성 과정 : 근거이론적 접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9 오진아 ; 권진옥,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직업 정체성과 직무 스트레스"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1 (21): 341-350, 2010

      10 이재영 ; 박소연 ; 제민지 ; 주현옥,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사춘기 적응증진을 위한 학교기반성교육체험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한국아동간호학회 24 (24): 454-464, 2018

      11 오승미 ; 김현리,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성교육과 성지식, 성태도" 한국학교보건학회 23 (23): 228-236, 2010

      12 송경화, "초등 보건교사들의 보건교육과정 실행 경험 이야기"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5 (5): 29-59, 2017

      13 김영숙 ; 하영미 ; 박현주 ; 정혜선 ; 권은하, "초․중․고등학교의 보건교육 실시현황 및 정착방안에 관한 조사연구" 교육연구소 17 (17): 353-374, 2011

      14 이혜정, "초·중등학생들의 학교성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교육종합연구원 11 (11): 239-268, 2013

      15 박찬주 ; 심춘자, "초·중등 교사발달 과정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학회 40 (40): 197-218, 2002

      16 권희정 ; 신수진, "청소년의 성미디어리터러시, 성허용성이 성인지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간호학회 34 (34): 22-34, 2020

      17 이규영, "중학교 성교육담당교사의 애로사항"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469-488, 2014

      18 이지선 ; 정혜선, "중학교 보건교사와 일반교사의 성교육 중요도와 수행도: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IPA) 방법을 이용하여" 한국학교보건학회 28 (28): 10-21, 2015

      19 이선희, "중학교 보건교사로 살아가기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4 (4): 121-149, 2018

      20 유호신 ; 임여진 ; 조정현, "중등학교 보건교사가 인지한 보건교과교육 필요성과 자신감" 한국보건간호학회 27 (27): 280-292, 2013

      21 장정남, "중고등학교 보건교사의 성교육 수행실태 및 태도"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07

      22 조영달, "제도공간의 질적연구 방법론" 교육과학사 2005

      23 최남정 ; 임부연, "유아교사학습공동체의 성장과 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401-429, 2013

      24 백유미, "유아・초등・중등 학생의 성교육 국내 학술지 연구 동향" 중소기업융합학회 10 (10): 128-139, 2020

      25 강소정 ; 조병은, "스토리텔링 기법을 적용한 성교육이 중학생의 건강한 성가치관 형성에 미치는 효과 - 기술·가정 교과 ‘청소년의 이해’ 단원을 중심으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5 (25): 15-36, 2013

      26 교육부, "성인지 감수성 교육 강화 지속추진"

      27 정금희 ; 양순옥 ; 김신정, "성교육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성 지식과 성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간호학회 9 (9): 420-431, 2003

      28 김신정 ; 이정은 ; 김성희 ; 강경아, "성교육이 초등학생의 성 지식과 성 태도에 미치는 효과 - 일개 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국보건간호학회 26 (26): 389-403, 2012

      29 김정미, "보건교사의 현직교육 요구 분석" 6 : 89-107, 2005

      30 임종헌 ; 김보경, "보건교사의 자유학기제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교육연구소 39 (39): 81-107, 2018

      31 최미정 ; 진상우, "보건교사의 수업연수에 대한 요구도 조사"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6509-6517, 2014

      32 송경화, "보건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연구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가능성"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5 (5): 91-117, 2017

      33 김권태, "남자 중학생의 성(性)에 관한 인식 연구: Q방법론적 접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18, 2021

      34 이규영, "남녀 초기 청소년들의 성지식과 성인지감수성과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371-383, 2021

      35 이현숙 ; 정병훈 ; 이영훈 ; 성우석 ; 하지웅 ; 이규영 ; 이민경 ; 송승훈, "남녀 고등학생들의 성교육, 성지식, 성태도, 성 허용성" 교육연구소 21 (21): 231-252, 2015

      36 이용숙,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방법과 적용" 교육과학사 1998

      37 강미영,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학교성교육 효과에 대한 현장연구" 한국학교보건학회 32 (32): 20-31, 2019

      38 오찬숙, "교사학습공동체 특성에 따른 공유와 정착과정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33 (33): 297-328, 2016

      39 서경혜, "교사학습공동체" 학지사 2019

      40 이윤식, "교사발달의 관점에서 본 장학" 16 (16): 1-27, 1999

      41 윤석주, "교사들의 실천적 지식의 제한적 적용에 대한질적 탐구" 교육종합연구원 12 (12): 1-23, 2014

      42 서경혜, "교사 학습에 대한 공동체적 접근" 교육과학연구소 44 (44): 161-191, 2013

      43 윤성민, "n번방 조사 팔 걷어부친 대통령…여야는 ‘3법 촉구’ 한 목소리"

      44 Huberman, M., "The professional life cycle of teachers" 91 (91): 31-57, 1989

      45 UNESCO, "The journey towards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Global Status Report" UNESCO 2021

      46 Cochran-Smith, M., "Relationships of Knowledge and Practice : Teacher Learning in Communities" 24 : 249-305, 1999

      47 Huberman, M., "Recipes for busy kitchens" 4 : 478-510, 1983

      48 Gallimore. G., "Local knowledge, research knowledge, and educational change : A case study of early Spanish reading improvement" 20 (20): 2-14, 1991

      49 UNESCO, "International technical guidance on sexuality education: An evidence-informed approach" UNESCO 2018

      50 Short, P. M., "Dimensions of teacher empowerment"

      51 Katz, L. G., "Developmental stages of preschool teachers" 73 (73): 50-54, 1972

      52 Fuller, F., "Concerns of teachers : A developmental conceptualization" 6 (6): 207-226, 196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