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캄보디아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관용어 교육방안 연구 -신체 관용어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9167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외국인 학습자들은 한국어를 배울 때 어려워하는 분야 중 하나로 다양한 표현과 의미를 내포하는 관용어가 있다. 대부분의 외국인 학습자들이 관용어를 어려워하는 이유는 어휘가 다른 어휘와 결합하면서 원래의 뜻을 가지지 않고 제3의 의미를 갖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관용어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고 사용한다면 다른 일반적인 표현보다 더 효과적으로 감정을 전달하는데 도움이 되고 한국인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이어나갈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신체 관용어를 중심으로 캄보디아인 학습자를 위한 관용어 교육 방안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이 매 장에 짧게 요약해서 제시하도록 한다.
      제1장에서는 필자가 캄보디아인을 위해 신체 관용어 교육방안을 연구하는 원인을 밝혔다.
      제2장에서는 한국어와 캄보디아어의 관용어에 대한 개념 및 특징을 살펴봤다. 여기에서 양국의 신체 관용어 개념의 의미는 거의 비슷하지만 관용어의 특징은 조금씩 다른 차이를 보였다.
      제3장에서는 4개 대학교 기관에서 활용하고 있는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각 대학교의 제시한 신체 관용어를 분석하였다. 먼저 교재에서 제시한 신체 관용어의 목록을 정리한 뒤 부위별 외부 신체 및 내부 신체에 대한 관용어를 각 표로 구분하여 빈도수가 높은 신체 관용어를 찾아봤다. 이후 4개의 대학교 한국어 교재에 신체 관용어를 제시한 비율을 퍼센트로 도출했을 때 고려대학교가 38%로 가장 많았다. 이러한 현상은 대학교마다 단원 구성 및 학습 목표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라는 원인을 발견했다. 마지막으로 캄보디아에만 있는 신체 관용어, 양국 공통 신체 관용어 그리고 한국에만 있는 신체 관용어를 표로 목록 설정하고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캄보디아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신체 관용어의 수업지도안을 제시하였다. 효과적인 수업지도안을 모색하기 위해서 먼저 캄보디아에만 있는 신체 관용어는 A 단계로, 양국 공통 신체 관용어는 B 단계로, 그리고 마지막인 한국에만 있는 신체 관용어는 C 단계 순으로 수업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제5장에서는 위 장에서 살펴본 내용을 다시 요약한다.
      번역하기

      외국인 학습자들은 한국어를 배울 때 어려워하는 분야 중 하나로 다양한 표현과 의미를 내포하는 관용어가 있다. 대부분의 외국인 학습자들이 관용어를 어려워하는 이유는 어휘가 다른 어...

      외국인 학습자들은 한국어를 배울 때 어려워하는 분야 중 하나로 다양한 표현과 의미를 내포하는 관용어가 있다. 대부분의 외국인 학습자들이 관용어를 어려워하는 이유는 어휘가 다른 어휘와 결합하면서 원래의 뜻을 가지지 않고 제3의 의미를 갖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관용어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고 사용한다면 다른 일반적인 표현보다 더 효과적으로 감정을 전달하는데 도움이 되고 한국인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이어나갈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신체 관용어를 중심으로 캄보디아인 학습자를 위한 관용어 교육 방안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이 매 장에 짧게 요약해서 제시하도록 한다.
      제1장에서는 필자가 캄보디아인을 위해 신체 관용어 교육방안을 연구하는 원인을 밝혔다.
      제2장에서는 한국어와 캄보디아어의 관용어에 대한 개념 및 특징을 살펴봤다. 여기에서 양국의 신체 관용어 개념의 의미는 거의 비슷하지만 관용어의 특징은 조금씩 다른 차이를 보였다.
      제3장에서는 4개 대학교 기관에서 활용하고 있는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각 대학교의 제시한 신체 관용어를 분석하였다. 먼저 교재에서 제시한 신체 관용어의 목록을 정리한 뒤 부위별 외부 신체 및 내부 신체에 대한 관용어를 각 표로 구분하여 빈도수가 높은 신체 관용어를 찾아봤다. 이후 4개의 대학교 한국어 교재에 신체 관용어를 제시한 비율을 퍼센트로 도출했을 때 고려대학교가 38%로 가장 많았다. 이러한 현상은 대학교마다 단원 구성 및 학습 목표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라는 원인을 발견했다. 마지막으로 캄보디아에만 있는 신체 관용어, 양국 공통 신체 관용어 그리고 한국에만 있는 신체 관용어를 표로 목록 설정하고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캄보디아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신체 관용어의 수업지도안을 제시하였다. 효과적인 수업지도안을 모색하기 위해서 먼저 캄보디아에만 있는 신체 관용어는 A 단계로, 양국 공통 신체 관용어는 B 단계로, 그리고 마지막인 한국에만 있는 신체 관용어는 C 단계 순으로 수업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제5장에서는 위 장에서 살펴본 내용을 다시 요약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ne of the areas that foreign learners find difficult when learning Korean Language is a great number of idioms that contain various expressions and meaning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when one vocabulary is combined with another, it no longer carries its original meaning but obtains a new third meaning. However, if this meaning is understood and used properly, idioms could be a great help for language users. Compared to general expressions, idioms are more effective when conveying emotions and also they help to have a smoother communication with native Korean speakers.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analyze idiom teaching methods for Cambodian students, specifically focusing on body idioms.
      This paper consists of five chapters and it is structured as follows:
      Chapter 1 identifies the main reason for conducting a research on the teaching methods of body idioms to Cambodian students.
      Chapter 2 examines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Cambodian idioms. This chapter proves that despite the similarities in body idioms’ concept in both languages, there are still some differences in these idioms’ characteristics.
      Chapter 3 focuses on body idioms that are present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used by four different universities. First, we make the list of body idioms presented in each textbook and classify all the idioms by their usage for external and internal bodies. Moreover, we point out some body idioms with high-frequency usage. Thus Korea University has the highest percentage (38%) of body idioms used in their language textbooks. The reason for this lays in the different learning approach and goals made by each university. Lastly, we compile a list of body idioms used only in Cambodia, a list of body idioms used only in Korea as well as the body idioms used in both countries.
      Chapter 4 introduces a course guide for Cambodian students for Korean body idioms. In order to figure out the most effective class guidance, the body idioms used only in Cambodia are presented in step A, the body idioms used for both countries are listed in step B, and body idioms used only in Korea are compiled in step C.
      Chapter 5 presents a summary of Chapter 1 to 4 respectively.
      번역하기

      One of the areas that foreign learners find difficult when learning Korean Language is a great number of idioms that contain various expressions and meaning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when one vocabulary is combined with another, it no longer carri...

      One of the areas that foreign learners find difficult when learning Korean Language is a great number of idioms that contain various expressions and meaning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when one vocabulary is combined with another, it no longer carries its original meaning but obtains a new third meaning. However, if this meaning is understood and used properly, idioms could be a great help for language users. Compared to general expressions, idioms are more effective when conveying emotions and also they help to have a smoother communication with native Korean speakers.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analyze idiom teaching methods for Cambodian students, specifically focusing on body idioms.
      This paper consists of five chapters and it is structured as follows:
      Chapter 1 identifies the main reason for conducting a research on the teaching methods of body idioms to Cambodian students.
      Chapter 2 examines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Cambodian idioms. This chapter proves that despite the similarities in body idioms’ concept in both languages, there are still some differences in these idioms’ characteristics.
      Chapter 3 focuses on body idioms that are present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used by four different universities. First, we make the list of body idioms presented in each textbook and classify all the idioms by their usage for external and internal bodies. Moreover, we point out some body idioms with high-frequency usage. Thus Korea University has the highest percentage (38%) of body idioms used in their language textbooks. The reason for this lays in the different learning approach and goals made by each university. Lastly, we compile a list of body idioms used only in Cambodia, a list of body idioms used only in Korea as well as the body idioms used in both countries.
      Chapter 4 introduces a course guide for Cambodian students for Korean body idioms. In order to figure out the most effective class guidance, the body idioms used only in Cambodia are presented in step A, the body idioms used for both countries are listed in step B, and body idioms used only in Korea are compiled in step C.
      Chapter 5 presents a summary of Chapter 1 to 4 respective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 3. 선행연구 4
      • II. 이론적 배경 11
      • Ⅰ. 서 론 1
      •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 3. 선행연구 4
      • II. 이론적 배경 11
      • 1. 한국어 관용어 연구 11
      • 1.1 한국어 관용어의 개념 및 특징 11
      • 1.2 한국어 관용어의 형식 16
      • 2. 캄보디아어 관용어 연구 18
      • 2.1 캄보디아어 관용어의 개념 및 특징 18
      • 2.2 캄보디아어 관용어의 형식 23
      • III. 캄보디아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의 관용어 분석 현황 27
      • 1. 한국어 교재의 신체 관용어 분석 27
      • 2. 캄보디아에만 있는 신체 관용어 43
      • 3. 양국 공통 신체 관용어 45
      • 4. 한국에만 있는 신체 관용어 49
      • Ⅳ. 한국어 신체 관용어 교육 방안 제시 52
      • 1. 교육단계 설정 52
      • 2. 교육 방안 55
      • V. 결 론 68
      • 참고 문헌 7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