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栗谷의 憂患의식과 經世論의 의의 = Significance of Yulgok’s Theory on Governing and Apprehension on the N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323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hilosophical theories Yulgok espoused and developed are generally distinguished into Sung-Confucianism and theories on governing. Yulgok defined the sixteenth century as the period of the reformation, and pursued reforms for the nation and people. He diagnosed the reality based on the apprehensive consciousness on the future of the nation and presented reform solutions for it.
      Yulgok’s theories on governing consist of Yangmin, which means “educating people” for their prosperous life and Kyomin, which means “educating people’s morality. Yulgok supported the freedom of speech, and establishment of national policies through open and transparent public opinions, which shows he is one of the pioneers for the modern democratic politics.
      Also, Yulgok asserted that people’s lives had to be improved by reducing the budget for the royal families, and that laws for underprivileged people such as children of the concubines or the lowest class had to change. These present Yulgok’s thoughts that good governing comes from interests on people.
      번역하기

      Philosophical theories Yulgok espoused and developed are generally distinguished into Sung-Confucianism and theories on governing. Yulgok defined the sixteenth century as the period of the reformation, and pursued reforms for the nation and people. He...

      Philosophical theories Yulgok espoused and developed are generally distinguished into Sung-Confucianism and theories on governing. Yulgok defined the sixteenth century as the period of the reformation, and pursued reforms for the nation and people. He diagnosed the reality based on the apprehensive consciousness on the future of the nation and presented reform solutions for it.
      Yulgok’s theories on governing consist of Yangmin, which means “educating people” for their prosperous life and Kyomin, which means “educating people’s morality. Yulgok supported the freedom of speech, and establishment of national policies through open and transparent public opinions, which shows he is one of the pioneers for the modern democratic politics.
      Also, Yulgok asserted that people’s lives had to be improved by reducing the budget for the royal families, and that laws for underprivileged people such as children of the concubines or the lowest class had to change. These present Yulgok’s thoughts that good governing comes from interests on peop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율곡학은 성리학과 경세학으로 대별되는데, 본고는 율곡의 나라와 백성에 대한 우환의식과 그의 경세론의 현대적 의의를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율곡의 우환의식은 그의 수많은 상소문과 기타 글 속에서 일관되게 나타나 있는데, 그것은 곧 憂國愛民의식을 의미한다.
      또한 율곡의 우환의식은 개혁론으로도 나타나는데, 그는 16세기를 更張期로 규정하고 치밀한 현실분석을 토대로 탁월한 개혁방안을 제시하였다. 율곡은 개혁의 당위를 당시 無實的 상황에서 찾고, 實心, 實功, 實效의 務實정신을 고취하였다. 율곡은 먼저 개혁 주체의 自己潔身을 강조하여 君德의 성취를 적극 勸勉하였고, 개혁은 너무 조급해도 안 되고 너무 느려도 안 된다고 하였다. 아울러 성공적인 개혁을 위해 言路개방을 통해 개혁의 아이디어를 널리 수집해 반영해야 한다고 하였다.
      율곡의 경세론은 養民과 敎民으로 그 내용을 삼는데, 養民이 敎民보다 우선이지만, 반드시 敎民을 통해 王道가 완성된다고 보았다.
      율곡의 經世論은 民本에 기초하고 있고, 정치와 행정의 목적을 ‘나라와 백성’에 두었다. 특히 그가 言路개방을 통해 公論을 형성하고, 公論을 통해 國是의 정립을 꾀한 것은 ‘민주’에로의 단초를 제공해 주고 있다는 의의를 갖는다.
      또 ‘得中合宜’로 이익과 정의의 조화를 주장하였는데, 이는 현대정치의 나아 갈 바를 시사해 주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아울러 왕실의 예산을 줄여 백성을 위해 써야 한다든지, 당시 신분적 차별을 받았던 庶孼, 賤民의 仕路許通과 신분상승의 길을 제시한 것은 民本에 기초한 그의 정치관을 잘 말해 주는 것이다.
      번역하기

      율곡학은 성리학과 경세학으로 대별되는데, 본고는 율곡의 나라와 백성에 대한 우환의식과 그의 경세론의 현대적 의의를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율곡의 우환의식은 그의 수많은 상소문과...

      율곡학은 성리학과 경세학으로 대별되는데, 본고는 율곡의 나라와 백성에 대한 우환의식과 그의 경세론의 현대적 의의를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율곡의 우환의식은 그의 수많은 상소문과 기타 글 속에서 일관되게 나타나 있는데, 그것은 곧 憂國愛民의식을 의미한다.
      또한 율곡의 우환의식은 개혁론으로도 나타나는데, 그는 16세기를 更張期로 규정하고 치밀한 현실분석을 토대로 탁월한 개혁방안을 제시하였다. 율곡은 개혁의 당위를 당시 無實的 상황에서 찾고, 實心, 實功, 實效의 務實정신을 고취하였다. 율곡은 먼저 개혁 주체의 自己潔身을 강조하여 君德의 성취를 적극 勸勉하였고, 개혁은 너무 조급해도 안 되고 너무 느려도 안 된다고 하였다. 아울러 성공적인 개혁을 위해 言路개방을 통해 개혁의 아이디어를 널리 수집해 반영해야 한다고 하였다.
      율곡의 경세론은 養民과 敎民으로 그 내용을 삼는데, 養民이 敎民보다 우선이지만, 반드시 敎民을 통해 王道가 완성된다고 보았다.
      율곡의 經世論은 民本에 기초하고 있고, 정치와 행정의 목적을 ‘나라와 백성’에 두었다. 특히 그가 言路개방을 통해 公論을 형성하고, 公論을 통해 國是의 정립을 꾀한 것은 ‘민주’에로의 단초를 제공해 주고 있다는 의의를 갖는다.
      또 ‘得中合宜’로 이익과 정의의 조화를 주장하였는데, 이는 현대정치의 나아 갈 바를 시사해 주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아울러 왕실의 예산을 줄여 백성을 위해 써야 한다든지, 당시 신분적 차별을 받았던 庶孼, 賤民의 仕路許通과 신분상승의 길을 제시한 것은 民本에 기초한 그의 정치관을 잘 말해 주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종홍, "한국사상사논고(유학편)" 서문당 1977

      2 천관우, "중농학파 유형원. in: 조선실학의 개척자 10인" 신구문화사 1974

      3 현상윤, "조선유학사" 민중서관 1948

      4 금장태, "율곡의 시무론과 사회사상. in: 율곡학연구총서" 율곡학회 2007

      5 황의동, "율곡사상의 체계적 이해" 서광사 1998

      6 황의동, "율곡 이이" 살림 2007

      7 유승국, "동양철학연구" 근역서재 1983

      8 천관우, "근세조선사연구" 일조각 1979

      1 박종홍, "한국사상사논고(유학편)" 서문당 1977

      2 천관우, "중농학파 유형원. in: 조선실학의 개척자 10인" 신구문화사 1974

      3 현상윤, "조선유학사" 민중서관 1948

      4 금장태, "율곡의 시무론과 사회사상. in: 율곡학연구총서" 율곡학회 2007

      5 황의동, "율곡사상의 체계적 이해" 서광사 1998

      6 황의동, "율곡 이이" 살림 2007

      7 유승국, "동양철학연구" 근역서재 1983

      8 천관우, "근세조선사연구" 일조각 197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8 0.81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