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과 드라마는 인간과 사회의 관계를 다룬다. 양자는 매체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현실성과 허구성이 존재하는 공간에 인물들의 갈등을 담는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1980년대에 들어 TV...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977271
인천 :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학위논문(석사) --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학과 , 2010. 2
2010
한국어
811.309 판사항(21)
인천
A Comparative Study on the Original works of novel and Dramatized TV dramas
v, 75 p. ; 26cm
인하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김만수
참고문헌 : p.59-6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소설과 드라마는 인간과 사회의 관계를 다룬다. 양자는 매체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현실성과 허구성이 존재하는 공간에 인물들의 갈등을 담는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1980년대에 들어 TV...
소설과 드라마는 인간과 사회의 관계를 다룬다. 양자는 매체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현실성과 허구성이 존재하는 공간에 인물들의 갈등을 담는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1980년대에 들어 TV가 광범위하게 보급되면서 영화와는 미학을 달리하는 TV드라마가 정착되기 시작했다. 드라마연출가들은 다양한 소재와 이야기가 담긴 소설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는데, 소설작품의 각색을 통해 드라마의 주제를 넓혀 나갔고, 소설의 미학을 충실하게 반영한 독특한 드라마를 산출하기 시작했는데. 이러한 경향을 이끈 게 바로 <TV문학관>이다.
이 연구는 소설을 원작으로 삼아 각색한 드라마를 중심으로 문자매체와 영상매체가 어떤 관계를 유지해 왔는지에 대해 고찰하고, 좀 더 구체적으로는 소설과 드라마의 차이점을 사회적, 윤리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살피었다.
본고에서는 다양한 각색의 과정을 통해 소설이 드라마로 영상화된 작품 몇 편을 다루었다. 소설과 TV드라마와의 본질을 비교해 상호 텍스트의 교환을 보는 방법론이 무엇인지에 대해 분석해보았으며 아울러 보다 다양한 각색의 방향을 실제로 방영된 각색드라마의 사례를 들어 연구했다. 분석 결과, 드라마 연출자는 원작 소설에 새로운 인물을 첨가한다거나 인물의 성격 변화, 갈등의 추가 개입 등을 사용하여 구성한다는 점을 발견했다. 단, 시대와 동떨어진 가치관이나 풍습이 담긴 소설은 경우에 따라 원작의 모습을 거의 새로운 구조로 각색하는 흐름을 보이기도 했다. 전반적으로 보아, TV드라마는 고급예술에 속하는 소설의 주제와 미학을 충실하게 반영하면서도, 대중성을 위해 다소 흥미 위주의 사건, 인물, 배경을 삽입한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