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설모음화의 발생과 적용 조건 = The Origination and Application Condition of Umlaut after Coron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354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 study about the origination and application conditions of Umlaut It' s concreted on Jronnarn dialect umlaut cases. Follows are conclusions as application conditions; (1) Triggers of umlaut are palatal consonant /cˇ/, /cˇh, /cˇ'/ and...

      This paper is a study about the origination and application conditions of Umlaut It' s concreted on Jronnarn dialect umlaut cases. Follows are conclusions as application conditions; (1) Triggers of umlaut are palatal consonant /cˇ/, /cˇh, /cˇ'/ and alveolus sound /s/, /s'/, /l/, /n/, /t/, /t'/, /th/ and target is /i/, the end product sound is /i/. Triggers are [+coronal] feature, target is [+dorsal]feature and the result also is [+coronal] feature. It means that umlaut is assimilation what [+coronal] feature makes [+dorsal] feature become [+coronal] feature. (2) The frist condition is priority of environment an umlaut comes after /s/, /s'/. But it has product many cases after /cˇ/, /cˇh/, /cˇ'/ from the late 19C until now. This phenomenon happens because /cˇ/, /cˇh, /cˇ'/ was still not cornpleted as palatal consonant from a dental sound Umlaut has application priority when trigger and target are close each other. And if trigger has same articulation, umlaut is applied by short distance between trigger and target. This condition comes frist than another application conditions. When fricative consonant /s/, /s'/ and affricate consonant /cˇ/, /cˇh/, /cˇ'/ are same articulation as a dental sound, it apply on /i/ which is closest vowel after them and closest fricative consonant. But if /cˇ/, /cˇh/, /cˇ'/ are palatal consonant this case are more productive because they are closer with following vowels. (3) Umlaut is applied frequently closer between articulation and following vowel /i/. For example, if classify alveolus sounds by distance then gets this result - /s/, /s'/ > /l/ > /n/, /t/,/t'/, /th/. Therefore the farthest /s/, /s'/ is the most productive and the closest /n, /t/,
      /t'/, /th/ is unproductive. (4) Umlaut has application priority when related morphologically. This condition extend its application range widely to the conjugation and declenstion in the morpheme. It has two more conditions- word formation and language form In the word formation, umlaut apply from simple word to compound word, and in language form, it extend from original Korean to Sino- Korea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전남 고문헌에 나타난 전설모음화
      • 3. 전남방언에 반영된 전설모음화
      • 4. 전설모음화의 적용 조건
      • 5. 맺음말
      • 1. 머리말
      • 2. 전남 고문헌에 나타난 전설모음화
      • 3. 전남방언에 반영된 전설모음화
      • 4. 전설모음화의 적용 조건
      • 5.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옥미, "한국어 음운론" 태학사 2003

      2 최전승, "한국어 방언의 공시적 구조와 통시적 변화" 역락 2004

      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방언자료집"

      4 강희숙, "전설모음화의 발달과 방언 분화" (44) : 521-541, 2002

      5 이기갑, "전남방언사전" 태학사 1998

      6 이기갑, "전남 곡성 지역의 언어와 생활" 태학사 2007

      7 유창돈, "이조국어사연구" 선명문화사 1964

      8 최명옥, "월성지역어의 음운론" 영남대출판부 1982

      9 백두현, "영남 문헌어의 음운사 연구" 태학사 1992

      10 이진호, "국어음운론강의" 삼경문화사 2005

      1 강옥미, "한국어 음운론" 태학사 2003

      2 최전승, "한국어 방언의 공시적 구조와 통시적 변화" 역락 2004

      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방언자료집"

      4 강희숙, "전설모음화의 발달과 방언 분화" (44) : 521-541, 2002

      5 이기갑, "전남방언사전" 태학사 1998

      6 이기갑, "전남 곡성 지역의 언어와 생활" 태학사 2007

      7 유창돈, "이조국어사연구" 선명문화사 1964

      8 최명옥, "월성지역어의 음운론" 영남대출판부 1982

      9 백두현, "영남 문헌어의 음운사 연구" 태학사 1992

      10 이진호, "국어음운론강의" 삼경문화사 2005

      11 전광현, "국어사와 방언 1, 2" 월인 2003

      12 정승철, "국어사연구 in: 「자음의 변화」, 午樹 田光鉉․宋敏 先生의 華甲을 기념하여" 태학사 1997

      13 최명옥, "국어사연구 in: 「국어의 통시음운론 개관」, 午樹 田光鉉․宋敏 先生의 華甲을 기념하여" 태학사 1997

      14 이기문, "국어사개설" 태학사 1998

      15 이기문, "국어 음운사 연구" 1972

      16 박창원, "국어 음운 연구사(1)" 태학사 2002

      17 Clements, G. N, "The Internal Organization of Speech Sounds Handbook of Phonology" Blackwell Publishers Ltd 1994

      18 최전승, "19세기 후기 전라방언의 음운 현상과 역사성" 한신문화사 1986

      19 이병근, "19세기 후기 국어의 모음체계" 9 : 375-390, 197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5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