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텍스트마이닝과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사회과교육연구』의 연구 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Journal of Research in Social Studies Education Using Text Mining and Network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657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Meta-analysis examined research trends in the journal of Research in Social Studies Education using text mining, network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In analyzing every article published in the journal from 2003 to 2019, we investigated th...

      This Meta-analysis examined research trends in the journal of Research in Social Studies Education using text mining, network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In analyzing every article published in the journal from 2003 to 2019,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trends and network relations among major research topics. Based on these results, we also suggeste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the field of social studies education. This study’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quantitative imbalance among the seven major research topics. While the imbalance has been reduced in recent years, the topics considered to be the basi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such as citizenship and democracy have critically decreased. Second, research on curriculum, textbook, and lesson study is overly isolated. It is important to maintain balance between in-depth research and integrated research by expanding the integrated research strategy for those isolated research topics.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Meta-analysis for research on social studies education based on new methodological approaches such as big data analysi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마이닝과 연결망분석 그리고 질적 연구방법을 혼합하여 ‘사회과교육연구’에 대한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2003년부터 2019년까지 발행된 모든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마이닝과 연결망분석 그리고 질적 연구방법을 혼합하여 ‘사회과교육연구’에 대한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2003년부터 2019년까지 발행된 모든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특성과 주제간 연결관계를 설명하고 보완이 필요한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첫째, 사회과교육연구는 연구주제 간 편차가 존재했고 점차 연구다양성과 영역 간 균형성이 개선되고 있으나 사회과 본질과 관련된 기초연구주제의 약화는 보완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과정, 교과서, 수업연구 영역이 지나치게 독자적인 영역으로 연구되는 경향이 보이며, 이러한 영역에서 연계성을 가진 통합형 연구의 확대 및 질적 개선이 요구된다. 이를 통해 영역별 심층 연구와 연계성이 강화된 통합형 연구의 균형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과교육 연구 분야에 대한 빅데이터분석 등 새로운 연구기법을 활용한 메타연구 활성화가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환보, "한국의 세계시민교육 연구동향 분석" 한국교육학회 54 (54): 197-227, 2016

      2 강환국, "한국사회과교육회의 연구동향 분석 : 학회지 ‘사회과교육’의 논문을 중심으로" 20 : 315-319, 1987

      3 강환국, "한국 사회과교육학의 연구동향에 대한분석적 고찰III" 13 : 27-58, 1993

      4 강환국, "한국 사회과교육학의 연구동향에 대한 분석적 고찰II" 6 : 95-110, 1986

      5 강환국, "한국 사회과교육학의 연구동향에 대한 분석적 고찰I" 4 : 91-117, 1983

      6 최종덕, "한국 사회과교육연구의 동향과 반성" 12 (12): 55-62, 1988

      7 강운선, "한국 사회과 다문화 교육의 연구 동향에 관한 메타 분석"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0 (50): 153-170, 2011

      8 허종렬,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 영역별 연구동향 분석 : 1946년부터 1999년까지의 연구문헌목록을 중심으로" 4 : 97-133, 2001

      9 정현승, "학교에서의 표현의 자유와 한계"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2 (12): 159-180, 2005

      10 김용찬, "프리드먼의 에너지-기후시대론(E.C.E.)의 정치와 시민교육적 함의"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7 (17): 17-29, 2010

      1 박환보, "한국의 세계시민교육 연구동향 분석" 한국교육학회 54 (54): 197-227, 2016

      2 강환국, "한국사회과교육회의 연구동향 분석 : 학회지 ‘사회과교육’의 논문을 중심으로" 20 : 315-319, 1987

      3 강환국, "한국 사회과교육학의 연구동향에 대한분석적 고찰III" 13 : 27-58, 1993

      4 강환국, "한국 사회과교육학의 연구동향에 대한 분석적 고찰II" 6 : 95-110, 1986

      5 강환국, "한국 사회과교육학의 연구동향에 대한 분석적 고찰I" 4 : 91-117, 1983

      6 최종덕, "한국 사회과교육연구의 동향과 반성" 12 (12): 55-62, 1988

      7 강운선, "한국 사회과 다문화 교육의 연구 동향에 관한 메타 분석"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0 (50): 153-170, 2011

      8 허종렬,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 영역별 연구동향 분석 : 1946년부터 1999년까지의 연구문헌목록을 중심으로" 4 : 97-133, 2001

      9 정현승, "학교에서의 표현의 자유와 한계"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2 (12): 159-180, 2005

      10 김용찬, "프리드먼의 에너지-기후시대론(E.C.E.)의 정치와 시민교육적 함의"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7 (17): 17-29, 2010

      11 정호범, "포퍼의 문제해결 과정 및 방법"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6 (26): 35-49, 2019

      12 하경수, "포스트모던 시대의 역사 논쟁과 현장 역사교육"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4 (14): 43-59, 2007

      13 박남수, "특수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의 적절성 탐색"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4 (14): 53-72, 2007

      14 김재우,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사회과 연구 동향 분석: 2000년대 이후의 학술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1 (51): 35-70, 2019

      15 신동훈,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국내 외국인 유학생 연구 동향 분석: 시기별 연구주제 변화 탐색" 한국교육학회 58 (58): 333-361, 2020

      16 이정우, "탈북 청소년의 집단주의-개인주의 성향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3 (13): 159-185, 2006

      17 주웅영, "최근 미국 초등 역사교육 연구의 동향" 19 (19): 153-182, 2003

      18 최용규, "초등학교 다문화 역사교육의 방안 탐색"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8 (18): 65-80, 2011

      19 남상준, "초등지리교육에 관한 국내의 연구동향 분석" 16 : 118-134, 2014

      20 이정희, "초등사회과 교과서에서의 타국상 형성 논리 - 중국을 사례로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9 (19): 79-93, 2012

      21 홍미화, "초등교사의 사회과 교실 수업 구성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9 (19): 83-97, 2012

      22 이운발, "초등 사회과의 역사수업에서 주제 중심적 내용 구성 방안"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4 (14): 115-137, 2007

      23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24 정호범, "창의적 사고력 육성을 위한 사회과 교수-학습 전략"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7 (17): 75-89, 2010

      25 박승규, "지리과 교실수업 연구의 동향과 과제" 4 : 43-60, 2001

      26 조윤진, "지도를 활용한 역사수업 실행연구 - 탐구력 신장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2 (22): 51-62, 2015

      27 김용찬, "지구적 기후변화에 따른 3차 산업혁명시대 정치와민주시민교육의 과제와 방향"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 (20): 1-12, 2013

      28 차조일, "정부 수립기 남북한의 국가 체제 교육"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3 (23): 77-91, 2016

      29 이말례, "정보추출을 이용한 학습기반의 웹 인터페이스 에이전트" 한국정보관리학회 19 (19): 5-22, 2002

      30 송하인, "전남사회과교육연구학회의 변천사 연구"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 (20): 47-66, 2013

      31 구정화, "쟁점 중심 사회과교육 관련 연구의 동향 -2000년대 ‘시민교육연구’와 ‘사회과교육’ 학회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1 (41): 1-20, 2009

      32 이성환, "일본의 독도관련 연구의 새로운 동향과 분석-사회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동아시아일본학회 (49) : 305-325, 2014

      33 이동민, "일본 지리교육 연구의 최근 동향에 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6 (26): 41-56, 2019

      34 강창숙, "예비교사의 사회과 수업실습에서 나타난 언어상호작용의 관찰과 분석"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1 (21): 67-83, 2014

      35 배영민, "영국의 사회적 쟁점 수업 연구의 최근 동향과 시사점"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2 (22): 23-42, 2015

      36 윤종필, "역사적 사고에 대한 메타 인지적 접근"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4 (24): 87-103, 2017

      37 김한종, "역사과 교실수업 연구의 동향과 과제" 4 : 23-42, 2001

      38 민윤, "역사 학습에서 ‘탐구’의 재고: 실제적 탐구의 가능성"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4 (14): 1-26, 2007

      39 박소영, "아랍권 국가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에 대한 인식"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 (20): 21-36, 2013

      40 박정화, "세계사 용어의 서술 실태와 개선 방안"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4 (14): 155-175, 2007

      41 장혁준, "사회탐구에서 가추적 사고의 의의"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1 (21): 49-61, 2014

      42 최병영, "사회적 경제 교육을 위한 ‘통합사회’ 교육과정 재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3 (23): 57-74, 2016

      43 추정훈, "사회과에서의 가치교육의 문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2 (12): 237-261, 2005

      44 박길자, "사회과교육에서 IPSO기법을 활용한 비판적 사고력 함양 방안"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3 (13): 187-211, 2006

      45 최용규, "사회과교육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8 : 3-14, 2001

      46 송춘영, "사회과교육 연구의 동향과 과제" 12 : 1-10, 2000

      47 전숙자, "사회과교육 연구논문분석" 4 : 103-137, 2000

      48 정문성, "사회과 협동학습 연구의 동향과 과제" 19 (19): 259-276, 1994

      49 이태성, "사회과 통합의 기초: 역사적 접근을 통한 새로운 토대 형성"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6 (26): 91-110, 2019

      50 박길자, "사회과 수업에서 미디어 읽기를 통한 의미구성 과정에 대한 이론적 논의" 10 (10): 83-108, 2003

      51 허수미, "사회과 문제중심 교육과정 설계 논리의 구안"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6 (16): 109-128, 2009

      52 윤혜순, "사회과 교육정보화 관련 연구동향과 과제" 교육공학연구소 9 (9): 29-48, 2015

      53 한춘희,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범위와 계열에 관한 연구-미국 NCSS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2 (12): 293-312, 2005

      54 송성민, "사회과 교육과정 연구의 동향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5 (45): 123-159, 2013

      55 이혁규, "사회과 교실 수업 연구의 동향과 과제" 3 : 1-24, 2001

      56 구정화, "사회과 개념학습의 연구 동향 및 함의" 19 (19): 291-308, 1994

      57 조대훈, "사회과 PCK 연구 동향 및 연구 담론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7 (47): 115-143, 2015

      58 강창숙, "사회 교과서 지리 영역 구성자료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 특성 : 전문계 고등학생을 사례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5 (15): 65-87, 2008

      59 이종일, "사례분석을 통한 한국 인종편견 특성"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9 (19): 95-120, 2012

      60 김세현, "비정형자료분석을 통해 살펴본 한국의 다문화 연구" 한국인구학회 41 (41): 1-27, 2018

      61 허영식, "민주시민교육의 원칙에 관한 연구동향과 함의" 중앙선거관리위원회 1 (1): 91-112, 2019

      62 안지영, "동남아시아 사회과 교과서의 한국 인식코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 (20): 37-53, 2013

      63 라영숙, "다문화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중등 사회과를 중심으로" 11 (11): 69-85, 2009

      64 이종일, "다문화 인식론의 형성과 특징 고찰"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 (20): 91-108, 2013

      65 한춘희, "논쟁문제수업을 통한 의사결정능력의 향상"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9 (19): 65-77, 2012

      66 정영선, "금융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8 (48): 185-210, 2016

      67 정정현, "국제결혼가정과 일반가정 학생의 한국인으로서의문화정체성과 자아정체성 비교 분석"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 (20): 97-107, 2013

      68 김한종, "국사교과서 연구의 최근 동향 : 199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5 : 59-82, 2002

      69 한광웅, "교육실습에서 두 예비교사의 자기지식 구성에 대한 계보학적 사례연구"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5 (15): 53-83, 2008

      70 김경모, "고등학교 [경제] 수업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2 (12): 257-286, 2005

      71 박길자, "경제적 의사결정 능력을 함양하는 쟁점중심 경제교육 방안 모색"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2 (12): 105-130, 2005

      72 峯 明秀, "日本における社会科授業研究の動向 -授業改善研究としての問い直し-" 한국사회과수업학회 1 (1): 141-153, 2013

      73 유종열,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동향 분석"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3 (13): 65-92, 2006

      74 류현종, "‘사건’과 ‘정서’로 역사 수업 읽기- <따뜻한 기술: 문익점과 목화> 수업 이야기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1 (21): 43-66, 2014

      75 Chen, Y., "Topic modeling for evaluating students’ reflective writing: A case study of pre-service teachers’ journals" 2016

      76 Stigler, J. W., "The Teaching Gap: Best Idea from theWorld’s Teachers for Improving Education in the Classroom" Free press 2009

      77 Manning, C. D., "Text classification and naive bayes" 1 : 6-, 2008

      78 Grimmer, J., "Text as data : The promise and pitfalls of automatic content analysis methods for political texts" 21 (21): 267-297, 2013

      79 Kim, G. J., "Technology forecasting using topic-based patent analysis" 74 (74): 265-270, 2015

      80 Parker, W. C., "Social Studies Today : Research and Practice" Routledge 2010

      81 Steyvers, M., "Probabilistic topic models" 427 (427): 424-440, 2007

      82 Glass, G. V., "Primary, secondary, andmeta-analysis of research" 5 (5): 3-8, 1976

      83 Arun, R., "Pacific-Asia conference on knowledge discovery and data mining" Springer 2010

      84 Griffiths, T. L., "Finding scientific topics" 101 (101): 5228-5235, 2004

      85 Mützel, S., "Facing big data : Making sociology relevant" 2 (2): 2053951715599179-, 2015

      86 DiMaggio, P., "Exploiting affinities between topic modeling and the sociological perspective on culture : Application to newspaper coverage of US government arts funding" 41 (41): 570-606, 2013

      87 Guo, L., "Big social data analytics in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 Comparing dictionarybased text analysis and unsupervised topic modeling" 93 (93): 332-359, 2016

      88 Deveaud, R., "Accurate and effective latent concept modeling for ad hoc information retrieval" 17 (17): 61-84, 2014

      89 Cao, J., "A density-based method for adaptive LDA model selection" 72 (72): 1775-1781, 2009

      90 이동원, "2011학년도 초등학교 6학년 「사회」 교사용 지도자료 개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7 (17): 87-104, 2010

      91 박상윤, "2007 개정 중학교 「사회 1」 교과서 지리영역 시각자료의 유형과 기능"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 (20): 61-76, 2013

      92 허종렬, "1990년대 사회과교육 연구 동향분석(1) : 연구방법론 및 교육과정 요소별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11 : 377-413,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6-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Research in Social Studies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7 1.87 1.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41 2.432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