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민주주의에 대한 일반 시민들의 평가: 노무현 정부 시기를 중심으로 = Assessment of Democratic Progress in South Korea: People`s Attitude toward Democracy During Roh Moo Hyun Govern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689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2003년과 2006년에 실시한 아시아 바로미터 설문조사를 사용하여, 노무현 정부 시기의 한국 민주주의에 대하여 분석했다. 노무현 정부 시기 한국의 민주주의는 선거 민주주의의 조건을 충족하였다. 그러나 정치문화적 관점에서 노무현 정부의 민주주의를 평가하는 경우 공고화를 달성했다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노무현 정부 임기 4년째인 2006년, 시민들로부터의 민주주의에 대한 규범적인 지지와 실질적인 지지는 낮았다. 오히려 시민들의 민주주의에 대한 지지는 노무현 정부의 임기초인 2003년보다도 낮았다. 아시아 및 다른 지역의 신생민주주의와 비교하는 경우도 한국시민이 보여준 민주주의에 대한 지지는 낮은 편이었다. 또한 민주주의 제도에 대한 신뢰도 낮았다. 특히 정치제도로 분류되는 국회와 정당에 대한 신뢰도는 매우 낮았다. 즉 2002년 대선 결과에 의해 3김 정치를 마감한 이후에도 한국 민주주의는 완성되지 못한 모습을 보여 주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2003년과 2006년에 실시한 아시아 바로미터 설문조사를 사용하여, 노무현 정부 시기의 한국 민주주의에 대하여 분석했다. 노무현 정부 시기 한국의 민주주의는 선거 민주주의의 조...

      본 논문은 2003년과 2006년에 실시한 아시아 바로미터 설문조사를 사용하여, 노무현 정부 시기의 한국 민주주의에 대하여 분석했다. 노무현 정부 시기 한국의 민주주의는 선거 민주주의의 조건을 충족하였다. 그러나 정치문화적 관점에서 노무현 정부의 민주주의를 평가하는 경우 공고화를 달성했다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노무현 정부 임기 4년째인 2006년, 시민들로부터의 민주주의에 대한 규범적인 지지와 실질적인 지지는 낮았다. 오히려 시민들의 민주주의에 대한 지지는 노무현 정부의 임기초인 2003년보다도 낮았다. 아시아 및 다른 지역의 신생민주주의와 비교하는 경우도 한국시민이 보여준 민주주의에 대한 지지는 낮은 편이었다. 또한 민주주의 제도에 대한 신뢰도 낮았다. 특히 정치제도로 분류되는 국회와 정당에 대한 신뢰도는 매우 낮았다. 즉 2002년 대선 결과에 의해 3김 정치를 마감한 이후에도 한국 민주주의는 완성되지 못한 모습을 보여 주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y utilizing two sets of public opinion data, the Asian Barometer surveys, this study examines a comprehensive account of Korea`s democratic progress under the Roh Moo Hyun government. This study argues that there is little doubt Korea met all the criteria for a minimalist electoral democracy during his government. However, democratization in Korea still remained far from complete. In 2006, fewer than half of Koreans expressed unqualified commitment to democracy-in-practice. Over time, the general level of empirical support for democracy has not risen either steadily or significantly. Moreover, the level of normative support in Korea remained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Western European democracies. An overwhelming majority of ordinary Koreans did not trust key institution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during his government. Undoubtedly, democracy in post-``three Kims`` era was faltering and a journey to consolidated democracy in Roh Moo Hyun government was going to be long and arduous.
      번역하기

      By utilizing two sets of public opinion data, the Asian Barometer surveys, this study examines a comprehensive account of Korea`s democratic progress under the Roh Moo Hyun government. This study argues that there is little doubt Korea met all the cri...

      By utilizing two sets of public opinion data, the Asian Barometer surveys, this study examines a comprehensive account of Korea`s democratic progress under the Roh Moo Hyun government. This study argues that there is little doubt Korea met all the criteria for a minimalist electoral democracy during his government. However, democratization in Korea still remained far from complete. In 2006, fewer than half of Koreans expressed unqualified commitment to democracy-in-practice. Over time, the general level of empirical support for democracy has not risen either steadily or significantly. Moreover, the level of normative support in Korea remained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Western European democracies. An overwhelming majority of ordinary Koreans did not trust key institution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during his government. Undoubtedly, democracy in post-``three Kims`` era was faltering and a journey to consolidated democracy in Roh Moo Hyun government was going to be long and arduou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