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음악과 토의・토론 수업모형 및 지도방안 개발 =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odels and Teaching Methods using Discussion & Debate for Music Cla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532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토의 토론활동을 적용한 음악 수업모형과 지도방안을 개발함으로써 음악 교수 학습방법을 다양화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의 음악 수업은 음악적 경험을 쌓고 음악적 지식...

      본 연구는 토의 토론활동을 적용한 음악 수업모형과 지도방안을 개발함으로써 음악 교수 학습방법을 다양화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의 음악 수업은 음악적 경험을 쌓고 음악적 지식을 이해하기 위해 가창 기악 창작 감상활동 중심의 교
      수 학습방법의 개발에 주안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개정된 2009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감상과 생활화영역에서 이야기하고 발표하며 토의 토론하는 학습활동들이 새롭게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음악과 수업에 토의 토론활동을 적용할 수
      있는 음악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음악 논제를 제시하였으며, 초 중 고 학교급으로 나누어 신호등, 피라미드, PMI 토의 토론 방법을 활용한 음악과 토의 토론활동 지도방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음악과 토의 토론 수업모형과 지도방
      안은 음악수업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나아가 학생들에게 음악 현상을 비판적으로 해석하며 다각적인 관점에서 음악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pursue diversification of teaching-learning methods of a music class by developing a discussion & debate model of instruction for a music class. A previous music class focused primarily on understanding musical experienc...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pursue diversification of teaching-learning methods of a music class by developing a discussion & debate model of instruction for a music class. A previous music class focused primarily on understanding musical experience and knowledge such as singing, performing of instruments, creating
      music, listening to music and etc.
      However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for music suggested that the learning activities in a music class focus on the discussion & debate activities of listening to music and music in daily life. Thus, this study developed the model of instruction applicable to discussion & debate activities in the music class and suggested a topic for discussion. Furthermore, it developed teaching methods of discussion & debate activities for music classes by using various discussion & debate methods; signal lights, a pyramid, PMI according to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level.
      As a result, this study expects that this model of instruction and teaching method will improve the quality of the music class. In addition, these models and methods will make the students critically interpret musical phenomena and give them the opportunity to understand music from various viewpoi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음악과 토의 토론 수업 설계
      • Ⅳ. 음악과 토의 토론 수업 지도방안
      • Ⅴ. 결론
      • Ⅰ. 서 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음악과 토의 토론 수업 설계
      • Ⅳ. 음악과 토의 토론 수업 지도방안
      • Ⅴ. 결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