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생태학적 관점에서 접근한 국어과 진단평가 본질과 과제 = The meaning & implication of Diagnostic Assessm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Ecological Approach - focused on the listening and speaking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532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생태학적 관점에서 국어과 진단평가를 듣기 말하기 영역을 중심으로 본질을 구명하고 해결 과제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음성언어인 듣기 말하기는 학습자들의 일반적 ...

      본 연구는 생태학적 관점에서 국어과 진단평가를 듣기 말하기 영역을 중심으로 본질을 구명하고 해결 과제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음성언어인 듣기 말하기는 학습자들의 일반적 언어 생태가 가장 잘 반영되어 나타나므로 국어과 영역에
      서 생태학적 관점으로 접근하기에 용이하다. 특히 일상적 언어 생활의 진단에 초점을 맞추어 평가의 본질을 목적과 개념 중심으로 살펴 본 후 현장에서 실현을 위한 해결 과제를 제안한다.
      생태학적 관점에서 듣기 말하기 진단평가는 음성언어 생태 기반, 학습자 지원, 생활 환경에서 언어 사용이라는 세 차원에서 통합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교육의 주체인 학습자, 교사, 학부모가 연합하여 최종적으로 학습자들의 언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귀결되어야 한다. 그러한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 개념과 목적을 분명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기존의 진단평가 대상과 내용을 확장하는 차원에서 학습자의 구어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생태학적 관
      점에서 진단 평가 개념을 교육 공동체가 통합 환경에서 언어 수행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중재하기 위한 일련의 연속적인 과정으로 개념화하였다. 언어 사용과 환경 맥락을 근거로 평가 범주로 설정하고 하위 항목의 예를 제시해 보았다.
      현장에서 이러한 평가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해결 과제가 해결되어야한다. ① 교사는 학습자의 음성 생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누적화하여 근거 자료로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② 능동적이고 정보를 갖춘 학부모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지원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③ 일상생활 맥락에서 사용하는 언어 생태와 교육 내용요소와 관련성을 찾아 평가 항목을 재구성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troduced the ecological point of view which emphasizes the interaction of the organism and the environment, in order to diagnose speaking, to seek a diagnostic assessment. Unlike existing diagnostic evaluation and perspectives of life, t...

      This study introduced the ecological point of view which emphasizes the interaction of the organism and the environment, in order to diagnose speaking, to seek a diagnostic assessment.
      Unlike existing diagnostic evaluation and perspectives of life, the day-to-day language learners outside of the classroom and will be the basis of the individual learner language in the context of a real-world environment that can be diagnosed using a diagnostic assessment of the ecological speaking in the sense of righteousness.
      The diagnostic assessment of ecological and understand the language of the state of the problem and its causes will be there to meet the individual learner support a variety of purposes, including aspects of prevention and treatment, and the class of learners support side.
      Topic knowledge, linguistic knowledge,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context of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psychological environment, and the use of language in relation to the context of the environment, the use of language elements set hyeongga ite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며
      • Ⅱ. 생태학적 관점에서 국어과 평가 의의
      • Ⅲ. 듣기 말하기에서 생태학적 진단평가 본질
      • Ⅳ. 언어 사용과 환경 맥락 관계
      • Ⅴ. 나가며
      • Ⅰ. 들어가며
      • Ⅱ. 생태학적 관점에서 국어과 평가 의의
      • Ⅲ. 듣기 말하기에서 생태학적 진단평가 본질
      • Ⅳ. 언어 사용과 환경 맥락 관계
      • Ⅴ. 나가며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