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교육 능력 검정 시험 문항 분석 연구 -‘읽기’ 영역 기출 문제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223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한국어 교원 자격 취득을 위해 실시한 ‘한국어 교 육 능력 검정 시험’의 ‘읽기’ 영역 출제 지침을 살펴보고, 기출 문제를 분 석하여 바람직한 출제의 방향을 제시해 보...

      이 논문에서는 한국어 교원 자격 취득을 위해 실시한 ‘한국어 교
      육 능력 검정 시험’의 ‘읽기’ 영역 출제 지침을 살펴보고, 기출 문제를 분
      석하여 바람직한 출제의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분석의 결과, 첫째, ‘읽기’
      영역의 기출 문제들 중 단편적인 이론적 지식을 확인하는 문항의 비율이
      높았다. 둘째, ‘읽기’ 영역의 기출 문제가 특정 평가 항목에 편중되어 있
      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읽기’ 영역의 기출 문제들이 ‘한국어 읽기 교육’
      의 특수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국어 읽기 교육’의 것들을 그대로 답습하
      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읽기’ 영역 시험 출
      제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해 보았다. 첫째, ‘읽기’ 영역의 문제는 교
      육 현장에서 요구되는 실제적 문항, 그리고 읽기 교수?학습 상황을 구체적
      으로 전개할 수 있는가를 확인하는 문항에 출제 비중을 높여야 한다. 둘
      째, 한국어 교사가 ‘읽기’ 관련 교수?학습 내용을 두루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읽기’ 평가 항목에 제시된 다양한 분야들을 출제해야 한다. 셋째,
      국어 읽기 교육과 차별화된 한국어 읽기 교육에 대한 평가 내용(교수?학
      습 내용)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한국어 교사의 읽기 능력을 확인할 수
      있는 문항도 출제되어야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시험 출제 기준과 ‘읽기’ 영역의 기출 문제 분석
      • 3. ‘읽기’ 영역 시험 출제의 방향
      • 4. 맺음말
      • 1. 머리말
      • 2. 시험 출제 기준과 ‘읽기’ 영역의 기출 문제 분석
      • 3. ‘읽기’ 영역 시험 출제의 방향
      • 4.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린,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 평가 틀에 대한 비판적 검토" 우리어문학회 (43) : 255-279, 2012

      2 송향근,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의 영역 타당도 연구" 이중언어학회 (59) : 83-109, 2015

      3 박재현,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평가 점수의 환산 체계 연구"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16 : 47-76, 2005

      4 국립국어원,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시행 지침서"

      5 국립국어원,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모형 개발 최종 보고서" 국립국어원 2006

      6 강현화, "한국어교육능력 검정시험 문법 영역 문항 분석 연구" 한국문법교육학회 19 : 1-28, 2013

      7 국립국어원, "한국어교원 자격제도 개선방안 연구(2)" 국립국어원 2011

      8 김재욱, "한국어 읽기에서의 문법 교육" 한국문법교육학회 12 : 117-138, 2010

      9 이중진, "한국어 읽기교재의 텍스트 구성방안" 이중언어학회 (40) : 127-151, 2009

      10 이양혜, "한국어 읽기 교재 단원 속의 스키마 활성화 전략 연구" 우리말학회 (26) : 267-292, 2010

      1 이상린,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 평가 틀에 대한 비판적 검토" 우리어문학회 (43) : 255-279, 2012

      2 송향근,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의 영역 타당도 연구" 이중언어학회 (59) : 83-109, 2015

      3 박재현,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평가 점수의 환산 체계 연구"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16 : 47-76, 2005

      4 국립국어원,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시행 지침서"

      5 국립국어원,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모형 개발 최종 보고서" 국립국어원 2006

      6 강현화, "한국어교육능력 검정시험 문법 영역 문항 분석 연구" 한국문법교육학회 19 : 1-28, 2013

      7 국립국어원, "한국어교원 자격제도 개선방안 연구(2)" 국립국어원 2011

      8 김재욱, "한국어 읽기에서의 문법 교육" 한국문법교육학회 12 : 117-138, 2010

      9 이중진, "한국어 읽기교재의 텍스트 구성방안" 이중언어학회 (40) : 127-151, 2009

      10 이양혜, "한국어 읽기 교재 단원 속의 스키마 활성화 전략 연구" 우리말학회 (26) : 267-292, 2010

      11 이해영, "한국어 이해능력 평가의 원리 및 실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6 (16): 275-304, 2005

      12 한국어문학연구소,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 아카넷 215-230, 2012

      13 박선옥, "한국어 교원에 대한 한국문화 능력 평가 현황과 개선 방안" 인문과학연구소 (30) : 61-85, 2011

      14 신호철, "한국어 교원 능력 평가 항목 개발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99) : 283-317, 2014

      15 홍현정, "한국어 교사를 위한 ‘한국문화’ 교육과정에 대한 일 고찰 -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한국문화 영역 분석을 중심으로 -" 동악어문학회 (64) : 469-496, 2015

      16 문화관광부, "한국어 교사 자격 인증 제도 시행을 위한 기초적 연구 사업 보고서" 문화관광부 2000

      17 허재영,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이해와 탐색" 보고사 75-105, 2007

      18 육효창, "재외 한글학교 교사 사이버연수 과정의 현황과 과제 -만족도 설문 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52) : 283-315, 2013

      19 천경록, "읽기의 의미와 읽기 과정 모형에 대한 고찰" 청람어문교육학회 (38) : 239-271, 2008

      20 이경화, "읽기교육의 원리와 방법" 박이정 2014

      21 서혁, "읽기 능력 검사 개발 연구 (1): 읽기 능력 검사의 하위 영역 설정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23) : 213-242, 2007

      22 김봉순, "읽기 교육을 위한 연구 과제" 한국어교육학회 (123) : 1-30, 2007

      23 권미정,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읽기 교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0 (10): 1-28, 1999

      24 송향근, "소통을 위한 한국어 교육 - 한국어 교원 자격 제도를 중심으로 -" 민족어문학회 (65) : 53-75, 2012

      25 김정숙, "고급 단계 한국어 읽기 자료 개발 방안" 이중언어학회 (32) : 139-158, 2006

      26 국립국어원, "2014년 한국어교원 자격제도 길잡이"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1-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Urimal KCI등재
      2013-11-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Urimal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7 1.448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