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마애불의 조형성 연구 = A Study on the Artistic Characteristic of the Rock-cut Buddha Relief in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171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대부분의 마애불은 정면성을 지닌 예배상으로 전통적인 바위신앙, 풍수사상 같은 민속신앙이 결합된 모습으로 마을 가까이, 깊은 산속사찰의 경내나 주변 그리고 산 정상에 이르는 여러 곳...

      대부분의 마애불은 정면성을 지닌 예배상으로 전통적인 바위신앙, 풍수사상 같은 민속신앙이 결합된 모습으로 마을 가까이, 깊은 산속사찰의 경내나 주변 그리고 산 정상에 이르는 여러 곳에 다양한 모습으로 존재한다. 조선시대 마애불은 강력한 억불정책으로 인하여 새로운 조형으로 나아가기보다 양식적 퇴보를 가져 왔다. 이는 도상, 규모, 제작방법 면에서 동시대의 상황이 반영되어 있다. 고려의 거대한 스케일, 다양한 조형 어법, 지방의 고유색 등과는 달리 형식화된 조형성을 가진다. 표현양식에는 삼국시대 이래 고려에 이르는 전통적인 고부조나 중부조의 형식을 제대로 계승하지 못한 가운데, 평면에 가까운 저부조나 선각 기법으로 생동감 없는 위축된 인체 표현을 하고 있다. 치밀하지 못한 구성, 동세나 인체 비례와 균형에 무관심한 가운데 얼굴 중심의 정면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도상의 구성은 비대칭적이다. 선, 면, 매스, 양감, 공간 등 다양한 조형요소를 아우르면서 적극 활용하기보다 선, 면 중심의 간소하고 평면적인 표현을 하고 있다. 조선시대 마애불은 배불(排佛)이라는 정치·사회적 분위기에 위축된 불교계의 모습을 보듯 작은 크기와 형식화된 도상, 위축되고 경직된 인체 표현 속에 무표정하고 활기 없는 얼굴, 긴장을 잃은 의습선 등으로 형식화된 모습이지만, 주변환경과 어우러지는 자연스러움, 인간적인 솔직함과 따뜻함은 조선시대의 불상이 갖는 또 다른 강점이다. 조선시대 마애불의 조형성은 이 시대 마애불만의 특유한 것이 아닌 한국적 보편적 조형성에 수렴하고 있다. 이것은 자연에 순응하는 자연주의 미학의 모습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st of the Rock-cut Buddha Relief with frontality of Buddha's face has been worship monument like totemism for rock, Feng Shui Thought, and folk religion and was located from around village to remote area such as mountain or mountaintop. The Rock-cut...

      Most of the Rock-cut Buddha Relief with frontality of Buddha's face has been worship monument like totemism for rock, Feng Shui Thought, and folk religion and was located from around village to remote area such as mountain or mountaintop. The Rock-cut Buddha Relief in Joseon Dynasty had been retrogressed rather than progression in design due to Buddhism suppression policy by Joseon Dynasty. Unlike hefty scale, vary design usage, local characteristics of Relief in Goryeo Dynasty, the Rock-cut Buddha Relief in Joseon Dynasty shows formalization in design. It shows lifeless linear relief with low relief or planar characteristics and has not succeeded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Goryeo Dynasty variety in type such as high relief, middle relief. It focused on frontality of Buddha's face and shows asymmetrical valance in the composition having no consideration for composition, movement, proportion, and valance. The Rock-cut Buddha Relief in Joseon Dynasty appears in small size, formalized icon, intimidated, and uncomfortable expression of body, expressionless and lifeless face, tensionless line of costume like depression of Buddhism due to Buddhism suppression policy by Joseon Dynasty. However it has strength in naturalness, artlessness, warmth in harmony with surroundings. The Rock-cut Buddha Relief in Joseon Dynasty has converged into the universality of Korea instead its uniqueness. This demonstrates naturalistic aesthetics coming from adaption to na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조선시대 불교교단과 불상조각의 흐름
      • Ⅲ. 조선시대 마애불의 표현양식
      • Ⅳ. 조선시대 마애불의 조형성
      • <요약>
      • Ⅰ. 서론
      • Ⅱ. 조선시대 불교교단과 불상조각의 흐름
      • Ⅲ. 조선시대 마애불의 표현양식
      • Ⅳ. 조선시대 마애불의 조형성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 [참고도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곽동석, "한국의 석조문화" 다른 세상 2004

      2 이경화, "한국의 마애불" 다른세상 2001

      3 타 시게오, "한국불교사" 민족사 1988

      4 김리나, "한국불교미술사" 미진사 2011

      5 김원용, "한국미술의 역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6 이성도, "통일신라 마애불의 조형성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22 (22): 247-296, 2008

      7 안휘준, "조선왕조 전반기 미술의 대외교섭" 예경 2006

      8 이재창, "조선시대 초기의 불교정책" 불교시대사 1994

      9 최성은, "석불 돌에 새긴 정토의 꿈" 한길아트 2003

      10 문명대, "삼매와 평담미" 예경 2003

      1 곽동석, "한국의 석조문화" 다른 세상 2004

      2 이경화, "한국의 마애불" 다른세상 2001

      3 타 시게오, "한국불교사" 민족사 1988

      4 김리나, "한국불교미술사" 미진사 2011

      5 김원용, "한국미술의 역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6 이성도, "통일신라 마애불의 조형성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22 (22): 247-296, 2008

      7 안휘준, "조선왕조 전반기 미술의 대외교섭" 예경 2006

      8 이재창, "조선시대 초기의 불교정책" 불교시대사 1994

      9 최성은, "석불 돌에 새긴 정토의 꿈" 한길아트 2003

      10 문명대, "삼매와 평담미" 예경 2003

      11 이성도, "백제ㆍ신라 마애불의 조형성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20 (20): 341-398, 2006

      12 주강현, "마을로 간 미륵(1)" 대원정사 1995

      13 문명대, "마애불" 대원사 1991

      14 이성도, "고려시대 마애불의 조형성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24 (24): 435-494, 2010

      15 文賢順, "朝鮮初期 菩薩像의 寶冠 硏究" 미술사연구회 (16) : 105-136,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0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미술교육학회논총 -> 미술교육논총 KCI등재후보
      2005-05-0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미술교육학회논총 -> 미술교육논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5 0.74 0.916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