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변화하는 소비자 취향을 탐색하는 데 있어 텍스트와 이미지의 통합적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이미지와 감성어휘 간의 관계를 탐색했다. 이를 위해 콜라주 이미지 제작 활동 및...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680207
2025
Korean
감성 표현 ; 감성어휘 ; 이미지 ; 콜라주 ; Emotional Expression ; Affective Vocabulary ; Image ; Collage
KCI등재
학술저널
37-51(1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변화하는 소비자 취향을 탐색하는 데 있어 텍스트와 이미지의 통합적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이미지와 감성어휘 간의 관계를 탐색했다. 이를 위해 콜라주 이미지 제작 활동 및...
본 연구는 변화하는 소비자 취향을 탐색하는 데 있어 텍스트와 이미지의 통합적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이미지와 감성어휘 간의 관계를 탐색했다. 이를 위해 콜라주 이미지 제작 활동 및 설문조사, 인터뷰를 통해 참여자의 취향을 시각적, 언어적 데이터로 수집했다. 수집된 이미지와 감성어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소비자 취향을 표현하는 두 양식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이미지와 감성어휘 간의 관계는 단일성/복합성, 추상성/구체성 차원에서 분석할 수 있었다. 참여자들은 단일 감성어휘로 다양한 시각적 이미지를 표현하거나, 단일 시각적 이미지로 복합적인 감성어휘를 전달하는 상호 교차적인 관계를 보여주었다. 또한, 추상적인 감성어휘는 구체적인 시각 이미지를 통해 시각화될 수 있으며, 추상적인 시각 이미지는 구체적인 감성어휘를 통해 해석될 수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는 이미지와 감성어휘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형성하며 소비자의 주관적인 취향을 다차원적으로 표현하고 이해하는 데 기여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이미지와 감성어휘의 통합적 분석을 통해 소비자 취향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하며, 디자인 분야에서 소비자와의 효과적인 소통 전략을 개발 및 AI 기반 이미지 생성 기술 발전에 기여하는 기초 연구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potential of integrating text and images to understand evolving consumer preferences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s and affective vocabulary. To achieve this, collage image creation activities, surveys, and in...
This study explored the potential of integrating text and images to understand evolving consumer preferences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s and affective vocabulary. To achieve this, collage image creation activities, survey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llect participants’ preferences as both visual and verbal data.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llected images and affective vocabulary was analyzed to understand the interplay between these two modalities in expressing consumer preference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s and affective vocabulary could be analyzed in terms of ‘singularity/complexity’ and ‘abstraction/specificity.’ Participants demonstrated a cross-interactive relationship, expressing diverse visual images with single affective vocabulary, and conveying complex affective vocabulary with a single visual image. Furthermore, the study showed that abstract affective vocabulary could be visualized through specific visual images, and abstract visual images could be interpreted through specific affective vocabular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mages and affective vocabulary form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contributing to a multidimensional expression and understanding of consumers’ subjective preferences. This study provides an in-depth understanding of consumer preferences through the integrated analysis of images and affective vocabulary. And suggests its potential as a foundational work,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with consumers in the design field and the advancement of AI-based image generation technology.
맞춤형화장품의 제품 품질 및 조제관리사의 서비스 품질과 구매의도 간 관계에서 신뢰의 매개효과
이미지 및 영상 기반 생성형 AI를 적용한 자동화된 일기 앱서비스 제안: 대학생을 중심으로
미디어 파사드를 통한 유목적 공간의 형성 -들뢰즈의 공간 개념을 중심으로 본 건축적 변형과 감각적 경험-
중국 실버세대 건강기능식품 패키지디자인의 행동유도(Affordance) 특성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