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발크리쉬나 도쉬 건축에 나타난 맥락주의의 표현특성 연구 = Study on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Contextualism Appearing in Architecture of Balkrishna Dosh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070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발크리쉬나 도쉬 건축에 나타난 조형적 특성은 자연의 유기적 관계성과 인간의 심리적 순수지향성을 근원으로 하고 있다. 근, 현대는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로 정보통신의 융합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차세대 미래 산업의 발달은 급속도로 발전하고 진보되고 있다. 급변하는 정보통신의 발달과 과학 기술적 건축 재료의 넘쳐나는 물질적 발전은 공공의 국가 공동체는 물론이며 개개인의 생활환경 요소까지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인간의 건축공간은 자연이라는 선천적 환경과 인간이 살아가는 사회, 문화의 정치 구조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자연과학의 발달은 도시환경의 진보와 문화적 역사의 과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또한 인간이라는 주체와 건축공간이라는 대상과 물질은 서로의 공유적 상관관계를 더욱 밀접하게 지속시키고 있다. 인도건축의 전통적인 지역 재료는 근현대 과학기술과는 상관없이 물질 본연의 근원적인 속성을 가지고 물성자체의 성질을 발현한다. 또한 도쉬 건축에서 나타나는 인도의 건축양식은 지역 및 기후에 따라 그 특성이 적절하게 잘 드러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공동체가 거주하는 집합주거에서 인도의 경제적이며 합리적 건축의 실리적 기반이 특히 잘 표현하고 있다. 위와 같은 인도의 문화적 배경과 함께 2018년 건축계의 노벨상이라는 프리츠커상 수상자로 선정된 인도의 건축가 도쉬의 지역적 특성과 맥락주의의 본질적 요소의 표현특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우선적으로 도쉬의 대표적인 건축 작품들 9가지를 모델로 지역 환경의 맥락 및 공공의 사회 문화적 관계성을 중심으로 분석 연구하려 한다. 첫 번째로 지역 환경적 요소의 세밀한 고찰과 같은 맥락으로 건축의 시간성의 관점으로 바라본 지속적인 특성을 물질적 요소와 비물질적 요소로서 연구하려 한다. 그럼으로 도쉬 건축의 각 작품 사례의 맥락주의적 표현특성을 분석하여 사회문화적, 기후 환경적, 지역 공공적 공간 표현 요소의 방법론을 도출하려 한다. 두 번째로 연구 대상의 선정 및 한정은 단위세대, 집합세대, 공공시설, 교육시설을 중심으로 사회 문화적 요소와 도쉬 건축철학의 성향을 분석 연구하려 한다. (결과)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쉬의 인도건축 특성을 문화적 맥락, 환경적맥락, 공공적 맥락을 기반으로 분석 연구하였다. 그 결과 열려있음, 비워있음의 공간과 광장의 공간은 개인과 공동체 소통의 관계에 지속적이며 확장에 대한 기회를 주었으며 기후 환경의 유기적 자연 요소는 건축공간에 더욱 생명력 있고 심미적 공간을 연출하였다. 또한 근, 현대 도시건축의 경제적이며, 합리적인 공익적 건축의 맥락적 요소를 표현하였다. (결론) 도쉬는 지역건축의 맥락적 성격을 가지며 인간사회 공동체의 관계성에 관심을 갖는다. 또한 인도의 전통건축에 대한 문화를 계승하며 현대건축의 문화와 자연스럽게 결합시켰다. 최소한의 기능성으로 건축 양식에 대한 역사와 문화를 깊이 있게 발현하였으며 인도의 서민들의 삶에 사회적 수준의 질을 높이려 지대한 노력을 다하는 건축가이다. 또한 자연의 요소인 공기, 채광등 모든 자연요소를 적용 연출하여 공간에 생명력의 깊이를 더하였다.
      번역하기

      (연구배경 및 목적) 발크리쉬나 도쉬 건축에 나타난 조형적 특성은 자연의 유기적 관계성과 인간의 심리적 순수지향성을 근원으로 하고 있다. 근, 현대는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로 정보통신...

      (연구배경 및 목적) 발크리쉬나 도쉬 건축에 나타난 조형적 특성은 자연의 유기적 관계성과 인간의 심리적 순수지향성을 근원으로 하고 있다. 근, 현대는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로 정보통신의 융합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차세대 미래 산업의 발달은 급속도로 발전하고 진보되고 있다. 급변하는 정보통신의 발달과 과학 기술적 건축 재료의 넘쳐나는 물질적 발전은 공공의 국가 공동체는 물론이며 개개인의 생활환경 요소까지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인간의 건축공간은 자연이라는 선천적 환경과 인간이 살아가는 사회, 문화의 정치 구조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자연과학의 발달은 도시환경의 진보와 문화적 역사의 과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또한 인간이라는 주체와 건축공간이라는 대상과 물질은 서로의 공유적 상관관계를 더욱 밀접하게 지속시키고 있다. 인도건축의 전통적인 지역 재료는 근현대 과학기술과는 상관없이 물질 본연의 근원적인 속성을 가지고 물성자체의 성질을 발현한다. 또한 도쉬 건축에서 나타나는 인도의 건축양식은 지역 및 기후에 따라 그 특성이 적절하게 잘 드러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공동체가 거주하는 집합주거에서 인도의 경제적이며 합리적 건축의 실리적 기반이 특히 잘 표현하고 있다. 위와 같은 인도의 문화적 배경과 함께 2018년 건축계의 노벨상이라는 프리츠커상 수상자로 선정된 인도의 건축가 도쉬의 지역적 특성과 맥락주의의 본질적 요소의 표현특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우선적으로 도쉬의 대표적인 건축 작품들 9가지를 모델로 지역 환경의 맥락 및 공공의 사회 문화적 관계성을 중심으로 분석 연구하려 한다. 첫 번째로 지역 환경적 요소의 세밀한 고찰과 같은 맥락으로 건축의 시간성의 관점으로 바라본 지속적인 특성을 물질적 요소와 비물질적 요소로서 연구하려 한다. 그럼으로 도쉬 건축의 각 작품 사례의 맥락주의적 표현특성을 분석하여 사회문화적, 기후 환경적, 지역 공공적 공간 표현 요소의 방법론을 도출하려 한다. 두 번째로 연구 대상의 선정 및 한정은 단위세대, 집합세대, 공공시설, 교육시설을 중심으로 사회 문화적 요소와 도쉬 건축철학의 성향을 분석 연구하려 한다. (결과)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쉬의 인도건축 특성을 문화적 맥락, 환경적맥락, 공공적 맥락을 기반으로 분석 연구하였다. 그 결과 열려있음, 비워있음의 공간과 광장의 공간은 개인과 공동체 소통의 관계에 지속적이며 확장에 대한 기회를 주었으며 기후 환경의 유기적 자연 요소는 건축공간에 더욱 생명력 있고 심미적 공간을 연출하였다. 또한 근, 현대 도시건축의 경제적이며, 합리적인 공익적 건축의 맥락적 요소를 표현하였다. (결론) 도쉬는 지역건축의 맥락적 성격을 가지며 인간사회 공동체의 관계성에 관심을 갖는다. 또한 인도의 전통건축에 대한 문화를 계승하며 현대건축의 문화와 자연스럽게 결합시켰다. 최소한의 기능성으로 건축 양식에 대한 역사와 문화를 깊이 있게 발현하였으며 인도의 서민들의 삶에 사회적 수준의 질을 높이려 지대한 노력을 다하는 건축가이다. 또한 자연의 요소인 공기, 채광등 모든 자연요소를 적용 연출하여 공간에 생명력의 깊이를 더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and Purpos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architecture of Balkrishna Doshi are based on the organic relationship of nature and the pure psychological direction of human beings.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age,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nvergence betwee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has been rapidly achieved, and next-generation future industry is also extremely well developed and advanced. Human architectural spaces are organized around nature, an innate environment, and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structures in which human beings live. Meanwhile, the development of natural science has had an enormous effect on the advancement of the urban environment and the process of cultural history. Furthermore, the architecture of Doshi properl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an architectural style, depending on the locality and climate. The utilitarian aspects of Indian economic and reasonable architecture, in particular, are well manifested in the collective housing in which communities resid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ltural background of India and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essential contextualistic factors considered by Doshi, an Indian architect selected as the winner of the Pritzker Prize, referred to as the “Nobel prize” in architectural circles. (Method) This study initially attempts to analyze the representative architectural works of Doshi with nine models, in the context of the local environment and public social and cultural relationships. First, it examines sustainable characteristics of material and immaterial factors, from an architecturally temporal perspective, based on an elaborate consideration of local environmental factors. It therefore uses sociocultural, climate environmental, and local public spatial expressive methodology, by analyzing contextualistic expressive characteristics. Second, it analyzes sociocultural factors and tendencies of Doshi's architectural philosophy, based on unit and group household, and public and educational facilities, for selecting and defining the subjects. (Results) This study therefore analyzed the Indian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Doshi’s work in the cultural, environmental, and public context. The findings show that open and void spaces and square spaces provide opportunities for sustainable extensions of the communication relation between individuals and communities, while organic natural factors of the climate environment produce more vivid and aesthetic space, and, moreover, express the economic, reasonable, and public architectural contextual factors of modern and contemporary urban architecture. (Conclusions) Doshi was interested in the contextual nature of local architecture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human social community. Furthermore, he succeeded Indian traditional architectural culture and naturally combined it with that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He was an architect who profoundly revealed the history and culture of Indian architectural style with minimal functionality and made a tremendous effort to enhance the social and life quality of ordinary Indian people.
      번역하기

      (Background and Purpos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architecture of Balkrishna Doshi are based on the organic relationship of nature and the pure psychological direction of human beings.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age, the era of the Fou...

      (Background and Purpos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architecture of Balkrishna Doshi are based on the organic relationship of nature and the pure psychological direction of human beings.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age,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nvergence betwee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has been rapidly achieved, and next-generation future industry is also extremely well developed and advanced. Human architectural spaces are organized around nature, an innate environment, and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structures in which human beings live. Meanwhile, the development of natural science has had an enormous effect on the advancement of the urban environment and the process of cultural history. Furthermore, the architecture of Doshi properl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an architectural style, depending on the locality and climate. The utilitarian aspects of Indian economic and reasonable architecture, in particular, are well manifested in the collective housing in which communities resid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ltural background of India and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essential contextualistic factors considered by Doshi, an Indian architect selected as the winner of the Pritzker Prize, referred to as the “Nobel prize” in architectural circles. (Method) This study initially attempts to analyze the representative architectural works of Doshi with nine models, in the context of the local environment and public social and cultural relationships. First, it examines sustainable characteristics of material and immaterial factors, from an architecturally temporal perspective, based on an elaborate consideration of local environmental factors. It therefore uses sociocultural, climate environmental, and local public spatial expressive methodology, by analyzing contextualistic expressive characteristics. Second, it analyzes sociocultural factors and tendencies of Doshi's architectural philosophy, based on unit and group household, and public and educational facilities, for selecting and defining the subjects. (Results) This study therefore analyzed the Indian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Doshi’s work in the cultural, environmental, and public context. The findings show that open and void spaces and square spaces provide opportunities for sustainable extensions of the communication relation between individuals and communities, while organic natural factors of the climate environment produce more vivid and aesthetic space, and, moreover, express the economic, reasonable, and public architectural contextual factors of modern and contemporary urban architecture. (Conclusions) Doshi was interested in the contextual nature of local architecture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human social community. Furthermore, he succeeded Indian traditional architectural culture and naturally combined it with that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He was an architect who profoundly revealed the history and culture of Indian architectural style with minimal functionality and made a tremendous effort to enhance the social and life quality of ordinary Indian peopl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화, "현대건축의 콘텍스츄얼리즘적 경향에 관한 연구" 10 (10): 17-33, 1991

      2 간바타르, "프리츠커상 작품에서 나타나는 맥락주의의 특성연구 –페퍼의 맥락주의의 관점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4

      3 고은혜, "탈식민적 지역주의의 관점에서 본 인도 현대 건축가 B. V. 도쉬의 건축"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2

      4 윤현숙, "장 누벨 작품 공간의 맥락적 특성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07

      5 방주연, "시각적 건축에서 공감각적 건축으로의 전환에 관한 연구 : 페퍼(Pepper)의 맥락주의를 바탕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6 이용흠, "맥락주의와 근대건축 : 알도 로시와 루이스 칸의 건축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1

      7 강진호, "맥락주의와 '공유된 내용'의 문제" 한국분석철학회 (27) : 31-57, 2013

      8 심원목, "맥락 단서 효과에서 세부특징에 근거한 공간적 주의의 역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9 우광진, "도시적 맥락을 적용한 문화 인큐베이터 계획안"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04

      10 Pepper, Stephen C., "World hypothes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42

      1 이상화, "현대건축의 콘텍스츄얼리즘적 경향에 관한 연구" 10 (10): 17-33, 1991

      2 간바타르, "프리츠커상 작품에서 나타나는 맥락주의의 특성연구 –페퍼의 맥락주의의 관점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4

      3 고은혜, "탈식민적 지역주의의 관점에서 본 인도 현대 건축가 B. V. 도쉬의 건축"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2

      4 윤현숙, "장 누벨 작품 공간의 맥락적 특성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07

      5 방주연, "시각적 건축에서 공감각적 건축으로의 전환에 관한 연구 : 페퍼(Pepper)의 맥락주의를 바탕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6 이용흠, "맥락주의와 근대건축 : 알도 로시와 루이스 칸의 건축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1

      7 강진호, "맥락주의와 '공유된 내용'의 문제" 한국분석철학회 (27) : 31-57, 2013

      8 심원목, "맥락 단서 효과에서 세부특징에 근거한 공간적 주의의 역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9 우광진, "도시적 맥락을 적용한 문화 인큐베이터 계획안"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04

      10 Pepper, Stephen C., "World hypothes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42

      11 So, Gwanghee, "Philosophical Reflection of Time" Moonye Publishing 2016

      12 Kim, Hyungjun, "History of India" Chunga Publishing 1998

      13 Lampugnani, Vittorio M., "Architektur und Stadtebau des 20 Jahrhunderts" Hatje Cantz Verlag 1999

      14 Kim, Kuyngho, "An Overview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Kimoondang Publishing 1998

      15 Lee, Gyeong Hoon, "A Study on the Urbanistic Meaning of Contextualism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13 (13): 633-642, 1997

      16 Lee, Byoungmin, "A Study on UN Memorial Hall Architectural Plan Design based Contextualism" 29 (29): 83-88,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Intitute of the spatial design -> Journal of Korea Intitute of Spatial Design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2 0.692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