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제도교육과 대안교육의 실과교육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Practical Courses Between the Traditional Schools and the Alternative Schoo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751900

      • 저자
      • 발행사항

        제천 : 세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세명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 전공 , 2007. 8

      • 발행연도

        200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75.45 판사항(4)

      • DDC

        372.8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충청북도

      • 형태사항

        ⅵ, 75 p. : 표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p. 69-71

      • 소장기관
        • 세명대학교 민송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eality of our education and the idealized one. Alternative education, also known as non-traditional education or educational alternative, describes a number of approaches to idealized teaching and learning other than mainstream or traditional education. These schools, which offer a more flexible program of study than a traditional school, were popularized recently to overcome the difference and compensate for the problems caused in the traditional schools. Practical courses are some of the main courses of alternative schools, which involve a wide range of areas,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by teaching the movement of hands, building up one's character with living things like plants and animals,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eaching the necessities of life such as clothing, food, and housing.
      Thu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we should improve the quality of practical courses based on the results extract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ractical courses taught both in the traditional and alternative school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aim of practical courses in alternative schools is focused on the process of one's life and its results in the long run, while the aim of traditional education tends to be focused on the knowledge, skills, abilities and attitudes, most of which can be attained and measured in a short time. These aims are overall aims that should be followed by the results. That's why contents, courses and the lesson development are limited and tests are inevitable in traditional schools. These can be overcome by diverse and remarkable changes in the curriculum,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ctive reorganization of the contents.
      Secondly, while the contents of the practical courses taught in the traditional schools are selected by their usability, practical use and effectiveness, the ones taught in the alternative schools are focused on the training and practice, in which students can eagerly participate. In that students' interest and motivation play an important role in learning, there should be a great deal of changes in the curriculum by selecting content according to the students' interest or at least reorganizing the contents in the current practical courses in the traditional schools. For example, considering that with the increased threats to the permanence of human being caused by environmental destruction, an environmental education is a mandatory course in alternative schools. It is necessary to shift towards more concrete and interesting environmental education.
      Thirdl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practical courses in the alternative schools begin with the idea that the teaching method itself should be preferred to suggesting a certain teaching model. Even though practical and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are emphasized in both the traditional and alternative schools, there is a difference. Alternative schools don't take a serious view of theories and systems. Instead they consider them are flexible according to the learners' situations. Traditional schools, which inevitably have a large class size, should make full use of the advantage of alternative schools, the teaching method of which values the learners' situations. They should actively take advantage of the 'motivation to learn voluntarily' attitude adopted in the alternative schools.
      But still, traditional schools have taken a conservative line, opting against completely changing the current system mainly because they are one of the axises in Korean social order. The limits of the paradigm in the traditional schools should be recognized . Thus, the new attempts made in alternative schools need to be acknowledged and should be adopted as a major catalyst to accelerate an educational shift.
      번역하기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eality of our education and the idealized one. Alternative education, also known as non-traditional education or educational alternative, describes a number of approaches to idealized teaching and learnin...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eality of our education and the idealized one. Alternative education, also known as non-traditional education or educational alternative, describes a number of approaches to idealized teaching and learning other than mainstream or traditional education. These schools, which offer a more flexible program of study than a traditional school, were popularized recently to overcome the difference and compensate for the problems caused in the traditional schools. Practical courses are some of the main courses of alternative schools, which involve a wide range of areas,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by teaching the movement of hands, building up one's character with living things like plants and animals,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eaching the necessities of life such as clothing, food, and housing.
      Thu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we should improve the quality of practical courses based on the results extract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ractical courses taught both in the traditional and alternative school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aim of practical courses in alternative schools is focused on the process of one's life and its results in the long run, while the aim of traditional education tends to be focused on the knowledge, skills, abilities and attitudes, most of which can be attained and measured in a short time. These aims are overall aims that should be followed by the results. That's why contents, courses and the lesson development are limited and tests are inevitable in traditional schools. These can be overcome by diverse and remarkable changes in the curriculum,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ctive reorganization of the contents.
      Secondly, while the contents of the practical courses taught in the traditional schools are selected by their usability, practical use and effectiveness, the ones taught in the alternative schools are focused on the training and practice, in which students can eagerly participate. In that students' interest and motivation play an important role in learning, there should be a great deal of changes in the curriculum by selecting content according to the students' interest or at least reorganizing the contents in the current practical courses in the traditional schools. For example, considering that with the increased threats to the permanence of human being caused by environmental destruction, an environmental education is a mandatory course in alternative schools. It is necessary to shift towards more concrete and interesting environmental education.
      Thirdl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practical courses in the alternative schools begin with the idea that the teaching method itself should be preferred to suggesting a certain teaching model. Even though practical and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are emphasized in both the traditional and alternative schools, there is a difference. Alternative schools don't take a serious view of theories and systems. Instead they consider them are flexible according to the learners' situations. Traditional schools, which inevitably have a large class size, should make full use of the advantage of alternative schools, the teaching method of which values the learners' situations. They should actively take advantage of the 'motivation to learn voluntarily' attitude adopted in the alternative schools.
      But still, traditional schools have taken a conservative line, opting against completely changing the current system mainly because they are one of the axises in Korean social order. The limits of the paradigm in the traditional schools should be recognized . Thus, the new attempts made in alternative schools need to be acknowledged and should be adopted as a major catalyst to accelerate an educational shif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의 교육 현실과 이상적인 교육의 모습은 큰 차이를 보인다. 최근 이러한 차이를 극복하고 제도교육에서 대두된 문제점을 보완하는 차원의 대안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대안교육에서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손놀림 교육을 통한 창의성 개발, 동·식물 생명체를 통한 정서 함양, 환경교육, 의식주생활 내용 등과 가장 연관성이 깊은 교과는 실과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제도교육과 대안교육에서 실시하고 있는 실과교육을 비교?분석하여 도출해 낸 시사점을 통해 제도교육의 실과교육에 대한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안교육의 목표는 학생이 살아가는 삶의 과정과 장기적인 결과에 가치를 두고 있는데 비해, 제도교육의 실과 목표는 지식, 기능, 능력, 태도 등으로 가시적이고 단기간의 결과를 요구하는 경향이 있다. 제도교육의 실과목표는 학습 결과가 뒤따라야만 하는 전제적 목표인지라 학습 내용, 활동방향, 수업 전개 또한 제한적이고 평가가 필연적일 수밖에 없다. 이러한 단점은 다양하고 획기적인 교육 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 개선, 그리고 활발한 교과 재구성 활동을 통해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제도교육의 실과는 유용성, 실용성, 효율성에 바탕을 두고 내용이 선정되었으나 대안교육의 실과는 학습자가 즐겁게 참여하는 체험활동 중심으로 내용이 선정되었다. 학습의 성패를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가 좌우한다는 관점에서 볼 때 제도교육의 실과 내용은 다양한 학습 내용의 준비 및 선정과 재구성이 요구된다. 또한 지구 환경의 파괴로 인한 인간 존재의 지속성 위기가 대두되고 있는 현실에서 대안교육과 생태주의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직시하여 지구 위기의 본질에 대해 생각하고 스스로 실천의지를 다지는 구체적이고 흥미 있는 환경교육 내용으로의 적극적인 전환이 필요하다.
      셋째, 교수-학습방법에 있어서 대안교육의 실과 교수법은 어떤 학습 모형을 제시하는 교수법이라기보다 학습법 우선의 원칙에서 출발한다. 실천적 노작교육과 협동적 학습 전략은 제도교육과 대안교육 모두 추구하는 교수-학습방법이나 대안교육에서는 정해진 이론이나 체계를 거론하기보다 상황과 학습자에 따라 언제든지 달라질 수 있다는 의견을 보인다. 정해진 틀에 의한 수업 진행이 아니라 학습자를 최대한 고려하는 대안 교육의 '능동적 학습 동기'를 활용한 교육방법은 제도교육에서 학생수의 많음을 탓하기보다 적극적으로 수용하여야 할 부분이다.
      제도교육은 그 사회 질서의 한 축을 이루고 있는 까닭에 근본적으로 쉽게 변화하기 어려운 보수성을 띠고 있음을 인정한다. 하지만 기존 교육 패러다임의 한계를 인식하고 이를 뛰어넘으려는 새로운 시도인 대안교육의 노력들에 시선을 돌려 제도교육의 변화를 촉진하는 촉매제로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번역하기

      우리의 교육 현실과 이상적인 교육의 모습은 큰 차이를 보인다. 최근 이러한 차이를 극복하고 제도교육에서 대두된 문제점을 보완하는 차원의 대안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대안...

      우리의 교육 현실과 이상적인 교육의 모습은 큰 차이를 보인다. 최근 이러한 차이를 극복하고 제도교육에서 대두된 문제점을 보완하는 차원의 대안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대안교육에서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손놀림 교육을 통한 창의성 개발, 동·식물 생명체를 통한 정서 함양, 환경교육, 의식주생활 내용 등과 가장 연관성이 깊은 교과는 실과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제도교육과 대안교육에서 실시하고 있는 실과교육을 비교?분석하여 도출해 낸 시사점을 통해 제도교육의 실과교육에 대한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안교육의 목표는 학생이 살아가는 삶의 과정과 장기적인 결과에 가치를 두고 있는데 비해, 제도교육의 실과 목표는 지식, 기능, 능력, 태도 등으로 가시적이고 단기간의 결과를 요구하는 경향이 있다. 제도교육의 실과목표는 학습 결과가 뒤따라야만 하는 전제적 목표인지라 학습 내용, 활동방향, 수업 전개 또한 제한적이고 평가가 필연적일 수밖에 없다. 이러한 단점은 다양하고 획기적인 교육 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 개선, 그리고 활발한 교과 재구성 활동을 통해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제도교육의 실과는 유용성, 실용성, 효율성에 바탕을 두고 내용이 선정되었으나 대안교육의 실과는 학습자가 즐겁게 참여하는 체험활동 중심으로 내용이 선정되었다. 학습의 성패를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가 좌우한다는 관점에서 볼 때 제도교육의 실과 내용은 다양한 학습 내용의 준비 및 선정과 재구성이 요구된다. 또한 지구 환경의 파괴로 인한 인간 존재의 지속성 위기가 대두되고 있는 현실에서 대안교육과 생태주의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직시하여 지구 위기의 본질에 대해 생각하고 스스로 실천의지를 다지는 구체적이고 흥미 있는 환경교육 내용으로의 적극적인 전환이 필요하다.
      셋째, 교수-학습방법에 있어서 대안교육의 실과 교수법은 어떤 학습 모형을 제시하는 교수법이라기보다 학습법 우선의 원칙에서 출발한다. 실천적 노작교육과 협동적 학습 전략은 제도교육과 대안교육 모두 추구하는 교수-학습방법이나 대안교육에서는 정해진 이론이나 체계를 거론하기보다 상황과 학습자에 따라 언제든지 달라질 수 있다는 의견을 보인다. 정해진 틀에 의한 수업 진행이 아니라 학습자를 최대한 고려하는 대안 교육의 '능동적 학습 동기'를 활용한 교육방법은 제도교육에서 학생수의 많음을 탓하기보다 적극적으로 수용하여야 할 부분이다.
      제도교육은 그 사회 질서의 한 축을 이루고 있는 까닭에 근본적으로 쉽게 변화하기 어려운 보수성을 띠고 있음을 인정한다. 하지만 기존 교육 패러다임의 한계를 인식하고 이를 뛰어넘으려는 새로운 시도인 대안교육의 노력들에 시선을 돌려 제도교육의 변화를 촉진하는 촉매제로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i
      • 국문초록 = v
      • Ⅰ. 서론 = 1
      •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 2. 연구 문제 = 4
      • 목차 = i
      • 국문초록 = v
      • Ⅰ. 서론 = 1
      •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 2. 연구 문제 = 4
      • 3. 연구 방법 = 5
      • 4. 연구 범위 = 5
      • Ⅱ. 제도교육의 실과교육 = 6
      • 1. 실과교육의 본질 = 6
      • 2. 실과교육의 변천 = 7
      • 3. 제 7차 교육과정 실과 교육의 방향 = 11
      • 4. 실과교육의 추세 = 17
      • Ⅲ. 대안교육의 실과교육 = 22
      • 1. 대안교육의 특징 = 22
      • 2. 대안교육의 유형 = 25
      • 3. 대안학교에서 실과의 위치 = 26
      • Ⅳ. 제도교육과 대안교육의 실과교육 비교 = 28
      • 1. 실과 목표의 비교 = 28
      • 2. 실과 내용의 비교 = 33
      • 3. 실과 교수-학습방법의 비교 = 46
      • Ⅴ. 대안교육이 제도교육의 실과교육에 주는 시사점 = 56
      • Ⅵ. 요약 및 결론 = 62
      • 1. 요약 = 62
      • 2. 결론 = 66
      • 참고문헌 = 69
      • ABSTRACT = 7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