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의 고급 한국어 통합교재 텍스트 분석 = A Study on the text selection for the Advanced Integrated Korean Textbook used in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837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the analysis of the theme and genre of the text in theintegrated Korean textbooks for advanced Learners used in China and sheds light on the future textbook compiling. From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tegrated Korean teaching materials showed two different trends before and 2014.as a turning point. Before 2014,the integrated Korean textbooks mainly consist of literary texts, and after that, non-literary texts became the main textbook contents. Among the literary text, the focus also gradually changed from novels to essays with the absence of novels. Moreover, Non-literary texts added various genres such as columns, news, notes, lectures, and congratulatory speeches besides the major expository texts and argument essays. Furthermore, the most common topics were about specialized fields, especially those thought-provoking essays about social and cultural events. Considering the cultivation goals of Korean-major students in Chinese universities and the textbook learning goals, the purpose of integrated Korean textbooks for advanced learners is not to pass language tests and get high-level certifications but to acquire difficult language expression, in-depth cultural knowledge, and to establish universal values through the knowledge of Korean studies for students. Therefore, When selecting a text genre or topic, it is not appropriate to select those expressions that are even easier than poetry and essays without deep though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 thae the proportion of literary text should be increased and the non-literary texts should be decreased in the compiling of advanced integrated Korean textbooks. In literary texts, novels should be mainly composed, followed by essays, and in non-literary genres should be composed mainly of expository texts and argument essays.
      번역하기

      This study is about the analysis of the theme and genre of the text in theintegrated Korean textbooks for advanced Learners used in China and sheds light on the future textbook compiling. From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tegrated Korean teaching...

      This study is about the analysis of the theme and genre of the text in theintegrated Korean textbooks for advanced Learners used in China and sheds light on the future textbook compiling. From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tegrated Korean teaching materials showed two different trends before and 2014.as a turning point. Before 2014,the integrated Korean textbooks mainly consist of literary texts, and after that, non-literary texts became the main textbook contents. Among the literary text, the focus also gradually changed from novels to essays with the absence of novels. Moreover, Non-literary texts added various genres such as columns, news, notes, lectures, and congratulatory speeches besides the major expository texts and argument essays. Furthermore, the most common topics were about specialized fields, especially those thought-provoking essays about social and cultural events. Considering the cultivation goals of Korean-major students in Chinese universities and the textbook learning goals, the purpose of integrated Korean textbooks for advanced learners is not to pass language tests and get high-level certifications but to acquire difficult language expression, in-depth cultural knowledge, and to establish universal values through the knowledge of Korean studies for students. Therefore, When selecting a text genre or topic, it is not appropriate to select those expressions that are even easier than poetry and essays without deep though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 thae the proportion of literary text should be increased and the non-literary texts should be decreased in the compiling of advanced integrated Korean textbooks. In literary texts, novels should be mainly composed, followed by essays, and in non-literary genres should be composed mainly of expository texts and argument essay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중국에서 출판된 고급통합교재의 텍스트 장르와 주제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교재 개발에 기초적 작업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고급 통합교재는 2014년을 계기로 두 가지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2014년 이전의 교재는 문학 텍스트가 주류를 이루었다면 그 후의 교재는 비문학 장르가 주류였고, 문학 텍스트 중에서도 소설이 중심이었다가 점차 수필 중심으로 변해가면서 소설이 결여되는 방향으로, 비문학 장르는 설명문, 논설문 위주로부터 칼럼, 뉴스, 답사기, 강연, 축사 등 여러 장르가 추가되는 방향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 주제는 전문 분야 즉 심도 있는 사회, 문화 분야가 가장 많았다.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 인재양성 목표와 고급통합교재 학습 목표를 결부하여 볼 때 고급 통합교재는 단순한 한국어 능력시험 고급 수준에 달하는 목표가 아니고 한국학 관련 지식 전수를 통해 난이도 있는 언어 표현력과 심도 있는 문화지식 습득, 인류 보편적인 가치관 정립을 목적으로 하기에 텍스트 장르, 주제 선정 시 보다 난이도가 낮은 어휘 표현과 단순 지식 전달은 적합하지 않다. 즉 문학텍스트의 비중을 높이고 비문학 텍스트는 소량이어야 하며 문학 중에서도 소설을 위주로, 수필을 다음으로, 비문학 장르에서는 심층 구조의 설명문과 논설문을 중심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중국에서 출판된 고급통합교재의 텍스트 장르와 주제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교재 개발에 기초적 작업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고급 통합교재는 2014년을 계기로 두 가지 ...

      본고에서는 중국에서 출판된 고급통합교재의 텍스트 장르와 주제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교재 개발에 기초적 작업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고급 통합교재는 2014년을 계기로 두 가지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2014년 이전의 교재는 문학 텍스트가 주류를 이루었다면 그 후의 교재는 비문학 장르가 주류였고, 문학 텍스트 중에서도 소설이 중심이었다가 점차 수필 중심으로 변해가면서 소설이 결여되는 방향으로, 비문학 장르는 설명문, 논설문 위주로부터 칼럼, 뉴스, 답사기, 강연, 축사 등 여러 장르가 추가되는 방향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 주제는 전문 분야 즉 심도 있는 사회, 문화 분야가 가장 많았다.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 인재양성 목표와 고급통합교재 학습 목표를 결부하여 볼 때 고급 통합교재는 단순한 한국어 능력시험 고급 수준에 달하는 목표가 아니고 한국학 관련 지식 전수를 통해 난이도 있는 언어 표현력과 심도 있는 문화지식 습득, 인류 보편적인 가치관 정립을 목적으로 하기에 텍스트 장르, 주제 선정 시 보다 난이도가 낮은 어휘 표현과 단순 지식 전달은 적합하지 않다. 즉 문학텍스트의 비중을 높이고 비문학 텍스트는 소량이어야 하며 문학 중에서도 소설을 위주로, 수필을 다음으로, 비문학 장르에서는 심층 구조의 설명문과 논설문을 중심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재휘, "한국어교육과 문학텍스트" 국어교육학회 51 (51): 93-127, 2016

      2 이중진, "한국어 읽기교재의 텍스트 구성방안" 이중언어학회 (40) : 127-151, 2009

      3 송수희, "한국어 교재의 읽기 텍스트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4 오선경 ; 김지혜, "한국어 교재에서의 텍스트 유형에 따른읽기 활동 연구 : 설명적 텍스트와 논증적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37 : 129-162, 2017

      5 신영선 ; 정흥모, "초급 한국어 교재의 읽기 텍스트 분석 - 주제, 유형, 활동 중심으로 -" 한민족문화학회 63 (63): 211-246, 2018

      6 이은숙, "중급 한국어 교재의 읽기 텍스트 분석 : 텍스트 의미 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7 남연, "중국의 한국어학과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통합 교재 개발 -기존 교재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5 (25): 59-110, 2014

      8 유쌍옥, "중국의 한국어 교재 사용 현황과 개발 방향 연구" 한중인문학회 (51) : 189-213, 2016

      9 김정우, "중국의 한국어 고급 교재 분석" 한중인문학회 (35) : 251-281, 2012

      10 胡夢妤, "중국 내 한국어 교재 분석 연구 : 고급 교재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1 심재휘, "한국어교육과 문학텍스트" 국어교육학회 51 (51): 93-127, 2016

      2 이중진, "한국어 읽기교재의 텍스트 구성방안" 이중언어학회 (40) : 127-151, 2009

      3 송수희, "한국어 교재의 읽기 텍스트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4 오선경 ; 김지혜, "한국어 교재에서의 텍스트 유형에 따른읽기 활동 연구 : 설명적 텍스트와 논증적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37 : 129-162, 2017

      5 신영선 ; 정흥모, "초급 한국어 교재의 읽기 텍스트 분석 - 주제, 유형, 활동 중심으로 -" 한민족문화학회 63 (63): 211-246, 2018

      6 이은숙, "중급 한국어 교재의 읽기 텍스트 분석 : 텍스트 의미 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7 남연, "중국의 한국어학과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통합 교재 개발 -기존 교재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5 (25): 59-110, 2014

      8 유쌍옥, "중국의 한국어 교재 사용 현황과 개발 방향 연구" 한중인문학회 (51) : 189-213, 2016

      9 김정우, "중국의 한국어 고급 교재 분석" 한중인문학회 (35) : 251-281, 2012

      10 胡夢妤, "중국 내 한국어 교재 분석 연구 : 고급 교재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11 김장선, "신편고급한국어(상하)" 북경대학출판사 2014

      12 박은숙, "신세기한국어정독교정(고급상하)" 외어교학연구출판사 2018

      13 우림걸, "대학한국어(5-6)" 북경대학출판사 2009

      14 김성란, "고급한국어(상하)" 민족출판사 2017

      15 전용화, "고급한국어(상하)" 연변대학출판사 2009

      16 최희수, "고급한국어(상하)" 요녕민족출판사 2002

      17 왕단, "고급한국어(상하)" 북경대학출판사 2017

      18 마금선, "고급한국어(1-2)" 하얼빈,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2011

      19 정은화 ; 이화진, "고급 한국어교재 읽기 텍스트의 주제 연구" 한국독서학회 (36) : 69-94,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1 0.808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