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 행복감의 매개효과 = The influence of the creative persona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ir grit: the mediating effect of happin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282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psychological variables that affect grit by examining the influence of creative personality and happin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participants comprised 35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tudy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college in P city. A tool modified by Cho Eun-myung (2010) after being revised by Park Byung-ki and Yoo Kyung-soon (2000) was used to measure creative personality; it was extracted from the creative personality test developed by Kim Hye-sook (1999). A tool modified and revised by Choi Young-ok (2011) after Kwon Seok-man (2008) translated the Oxford happiness scale developed by Argyle (2001) was used to measure happiness. For the measurement of grit, a tool was used that Lee Su-ran (2014) translated and adapted to Korean from the Original Grit Scale (Grit-O) developed by Duckworth and colleagues (2007).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 level of awareness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high in the order of happiness, creative personality, and grit. Second, in the relationship among creative personality, happiness, and gri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ose with high creative personality showed high levels of happiness and grit, and those with high levels of happiness showed increasing grit.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ive persona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grit, happiness was shown to be partly media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provided an opportunity to utilize creative personality and happiness in various approaches to promote grit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psychological variables that affect grit by examining the influence of creative personality and happin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participants comprised 35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tu...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psychological variables that affect grit by examining the influence of creative personality and happin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participants comprised 35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tudy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college in P city. A tool modified by Cho Eun-myung (2010) after being revised by Park Byung-ki and Yoo Kyung-soon (2000) was used to measure creative personality; it was extracted from the creative personality test developed by Kim Hye-sook (1999). A tool modified and revised by Choi Young-ok (2011) after Kwon Seok-man (2008) translated the Oxford happiness scale developed by Argyle (2001) was used to measure happiness. For the measurement of grit, a tool was used that Lee Su-ran (2014) translated and adapted to Korean from the Original Grit Scale (Grit-O) developed by Duckworth and colleagues (2007).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 level of awareness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high in the order of happiness, creative personality, and grit. Second, in the relationship among creative personality, happiness, and gri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ose with high creative personality showed high levels of happiness and grit, and those with high levels of happiness showed increasing grit.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ive persona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grit, happiness was shown to be partly media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provided an opportunity to utilize creative personality and happiness in various approaches to promote grit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 행복감을 매개로 그릿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그릿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인 변인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P시에 소재한 전문대학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317명이다. 창의적 인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혜숙(1999)이 개발한 창의적 인성 검사를 박병기와 유경순(2000)이 발췌하여 조은명(2010)이 수정·보완한 측정 도구를, 행복감은 Argyle(2001)이 개발한 옥스퍼드 행복 척도를 권석만(2008)이 번안한 것을 다시 수정·보완한 최영옥(2011)의 측정 도구를, 그릿은 Duckworth 등 (2007)이 개발한 Original Grit Scale(Grit-O)을 이수란(2014)이 한국 실정에 맞게 번안한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 창의적 인성, 그릿 순으로 인식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 행복감, 그릿간의 상관관계에서 창의적 인성이 높은 예비유아교사는 행복감과 그릿이 높았고, 행복감이 높은 교사는 그릿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그릿의 관계에서는 행복감이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해서 다양한 접근 방법으로 창의적 인성과 행복감을 활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 행복감을 매개로 그릿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그릿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인 변인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P시에 소재한 전...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 행복감을 매개로 그릿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그릿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인 변인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P시에 소재한 전문대학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317명이다. 창의적 인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혜숙(1999)이 개발한 창의적 인성 검사를 박병기와 유경순(2000)이 발췌하여 조은명(2010)이 수정·보완한 측정 도구를, 행복감은 Argyle(2001)이 개발한 옥스퍼드 행복 척도를 권석만(2008)이 번안한 것을 다시 수정·보완한 최영옥(2011)의 측정 도구를, 그릿은 Duckworth 등 (2007)이 개발한 Original Grit Scale(Grit-O)을 이수란(2014)이 한국 실정에 맞게 번안한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 창의적 인성, 그릿 순으로 인식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 행복감, 그릿간의 상관관계에서 창의적 인성이 높은 예비유아교사는 행복감과 그릿이 높았고, 행복감이 높은 교사는 그릿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그릿의 관계에서는 행복감이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해서 다양한 접근 방법으로 창의적 인성과 행복감을 활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미연, "환경변인, 창의적 인성, 창의적 사고 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2 성은현, "확산적 사고력과 창의적 인성에서의 성차" 한국여성심리학회 8 (8): 71-86, 2003

      3 김수향, "협력적 멘토링에 기초한 교육실습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신념, 교사 효능감 및 실습불안·갈등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21 (21): 181-202, 2012

      4 탁진국, "행복증진을 위한 긍정심리기반 코칭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한국심리학회 33 (33): 139-166, 2014

      5 Argyle, M., "행복심리학" 학지사 2005

      6 이현응, "행복수업 프로그램에 대한 소개 및 효과에 대한 예비분석"

      7 신민희, "행복과 창의력의 관계: 행복한 사람이 더 창의적이다"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4 (24): 37-51, 2010

      8 Noddings, N., "행복과 교육" 학이당 2008

      9 이수란, "투지와 신중하게 계획된 연습, 자존감의 수반성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10 이정림, "통제소재, 마인드셋, 그릿,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3 (23): 245-264, 2016

      1 박미연, "환경변인, 창의적 인성, 창의적 사고 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2 성은현, "확산적 사고력과 창의적 인성에서의 성차" 한국여성심리학회 8 (8): 71-86, 2003

      3 김수향, "협력적 멘토링에 기초한 교육실습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신념, 교사 효능감 및 실습불안·갈등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21 (21): 181-202, 2012

      4 탁진국, "행복증진을 위한 긍정심리기반 코칭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한국심리학회 33 (33): 139-166, 2014

      5 Argyle, M., "행복심리학" 학지사 2005

      6 이현응, "행복수업 프로그램에 대한 소개 및 효과에 대한 예비분석"

      7 신민희, "행복과 창의력의 관계: 행복한 사람이 더 창의적이다"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4 (24): 37-51, 2010

      8 Noddings, N., "행복과 교육" 학이당 2008

      9 이수란, "투지와 신중하게 계획된 연습, 자존감의 수반성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10 이정림, "통제소재, 마인드셋, 그릿,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3 (23): 245-264, 2016

      11 백인혜, "초심상담자의 그릿과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카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8

      12 남미정, "초등학생의 정서지능, 그릿, 협력적 조절 및 학교행복감 간의 관계"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13 한양숙, "초등영재학생의 그릿, 그릿 개별요인, 성격 5요인의 관계"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14 김병만, "창의성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213-222, 2016

      15 박병기, "창의성과 지능의 관계구조" 14 (14): 235-261, 2000

      16 김혜숙, "창의성 진단 측정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14 (14): 269-303, 1999

      17 조수진, "중학생이 인식한 부모의 사회적 지지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그릿의 조절효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교 2017

      18 송준호, "조직구성원의 성격 특성이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행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기업경영학회 20 (20): 45-65, 2013

      19 박지선, "장기현장실습 실행과정에서의 교사양성기관과 유치원현장, 예비유아교사의 어려움"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515-541, 2013

      20 황해익, "유치원 교사의 낙관주의와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3 (13): 167-192, 2012

      21 박창현, "유아교육기관장의 운영능력, 유아교사의 역량, 교육과정 실행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245-270, 2012

      22 조경자,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전공 선택 동기와 유아교사직에 대한 인식" 미래유아교육학회 12 (12): 289-312, 2005

      23 김경철, "유아교육과 대학생의 창의적 인성이 사고양식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427-435, 2018

      24 노명희, "유아교육개론" 동문사 2014

      25 이경민, "유아교사의 행복, 강점, 직무만족의 관련성 탐색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9 (29): 215-235, 2009

      26 김화숙, "유아교사의 특성에 따른 창의적 인성과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의 역할 수행"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7 조은명, "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 및 유아 창의성 증진을 위한 역할 수행과 놀이교수효능감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8 최윤정, "유아교사의 교직만족에 영향을 주는 생활만족과 몰입경험의 관계분석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195-214, 2010

      29 박영태,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 및 창의적 인성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16 (16): 275-298, 2009

      30 박은혜, "유아교사론" 창지사 2013

      31 김성숙, "유아가 인식하는 행복의 의미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377-400, 2013

      32 강현미, "예비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가 학과만족도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395-413, 2018

      33 황해익,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 낙관주의 및 학과만족도에 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405-434, 2012

      34 황해익,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 낙관성, 희망, 정서성 간의 구조관계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365-386, 2015

      35 김병만,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인성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1 (21): 403-424, 2016

      36 홍지명,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자아탄력성 간의 관계"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9 (9): 321-332, 2018

      37 이승은, "예비유아교사의 주관적 행복감 및 행복과 행복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9 (19): 333-356, 2015

      38 이미란,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그릿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491-512, 2017

      39 윤정진, "예비유아교사의 자기결정성 동기가 사회적지지 및 인성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5 (5): 387-397, 2015

      40 엄은나, "예비유아교사의 인성과 자아탄력성, 행복감, 교사효능감의 관계"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 (20): 53-78, 2016

      41 이혜원,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성향 군집에 따른 자아존중감, 교직선택동기의 차이" 유아교육연구소 20 (20): 157-175, 2018

      42 김형재, "예비유아교사의 두뇌우성 사고유형과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 대한사고개발학회 6 (6): 125-154, 2010

      43 탁정화,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자아존중감, 통제소재, 교직인성이 마인드셋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1387-1411, 2018

      44 이혜원,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군집유형에 따른 성격 5요인과 자기효능감의 차이" 한국유아교육학회 37 (37): 249-268, 2017

      45 송미선,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적성 및 교사전문성 인식과 행복감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24 (24): 171-189, 2017

      46 최은아,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열정에 따른 실습 불안과 소진의 변화양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727-757, 2015

      47 박은혜, "예비유아교사들의 진로 이야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6

      48 권혜진, "예비유아교사가 교사양성과정에서 경험하는 학업과 진로에 대한 어려움 탐색" 교육연구원 33 (33): 1-22, 2017

      49 김연희, "예비유아교사 임용직전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교사역량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3

      50 마지순, "예비 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의사결정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8 (18): 7-27, 2014

      51 주영주, "영재학생의 그릿(꾸준한 노력, 지속적 관심), 교사지원, 부모지원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영재교육만족도에 대한 예측력 검증" 특수교육연구소 15 (15): 29-49, 2016

      52 조부경, "영유아교사론" 양서원 2016

      53 이새별, "어린이집의 조직문화와 보육교사의 창의적 인성이 보육교사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23 (23): 137-156, 2016

      54 김대원, "스포츠 참여, 주관적 안녕감, 창의성의 관계: 사회적 마케팅 관점에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55 황해익, "쉽게 배우는 SPSS 자료분석" 공동체 2016

      56 조부경, "셀프리더십 교육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교직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93-115, 2011

      57 이수경, "성인초기의 성장 마인드셋, 고정 마인드셋과 그릿의 관계: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58 김미진, "생태유아교육현장에서 경험하는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1 (11): 29-55, 2012

      59 이은아, "보육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전문성 인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60 주윤하,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 창의적 인성과 전문성 인식간의 관계"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61 이수란, "무엇이 뛰어난 학업성취를 예측하는가? -신중하게 계획된 연습과 투지(Grit)"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0 (10): 349-366, 2013

      62 이경은, "대학생의 창의적 인성과 학습몰입의 관계"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0 (10): 45-59, 2010

      63 하혜숙, "대학생의 전공학과 만족과 학교만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64 이병임, "대학생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행복이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재교육학회 16 (16): 129-145, 2017

      65 권석만, "긍정심리학" 학지사 2008

      66 임효진, "그릿(Grit)과 창의적 성향, 창의적 사고의 구조적 관계" 대한사고개발학회 13 (13): 45-65, 2017

      67 정현, "그릿(Grit)과 직무개선(Job Crafting)의 관계에서 긍정정서의 매개효과"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1 (21): 31-51, 2018

      68 Duckworth, A. L., "그릿" 비즈니스북 2016

      69 이인아, "교사의 창의적 인성이 영아반에서의 음악경험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 15 (15): 1-17, 2015

      70 최영옥, "교사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에 따른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직무스트레스 및 행복 간의 관계분석"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1

      71 유영란, "고등학생의 그릿(Grit)과 객관적 추론, 자기조절학습효능감 간의 관계 규명" 한국청소년학회 22 (22): 367-385, 2015

      72 진종임, "간호대학생의 투지(Grit), 학업탄력성 및 심리적 안녕감" 한국간호교육학회 23 (23): 175-183, 2017

      73 Von Culin, K. R., "Unpacking grit: Motivational correlates of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9 (9): 306-312, 2014

      74 Robertson-Kraft, C., "True grit: Trait-level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predicts effectiveness and retention among novice teachers" 116 (116): 1-27, 2014

      75 Seligman, M., "The values in action classification of character strengths" 27 : 63-78, 2004

      76 Grohman, M. G., "The role of passion and persistence in creativity" 11 (11): 376-385, 2017

      77 Maddi, S, R., "The role of hardiness and grit in predicting performance and retention of USMA cadets" 24 (24): 19-, 2012

      78 Salles, A.,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resident well-being" 207 (207): 251-254, 2014

      79 Argyle, M., "The psychological of happiness" Routledge 2001

      80 Tardif, T. Z., "The nature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81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1182, 1986

      82 Eskreis-Winkler, L., "The grit effect : Predicting retention in the military, the workplace, school and marriage" 5 (5): 1-12, 2014

      83 Sternberg, R. J., "The assessment of creativity : An investment-based approach" 24 (24): 3-12, 2012

      84 Diener, E., "Subjective well-being" 95 (95): 542-575, 1984

      85 OECD, "Social and emotional skills constructs and measures for the longitudinal study of skill dynamics" OECD 2014

      86 Ryan, R. M.,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ing" 55 (55): 68-78, 2000

      87 Duckworth, A. L., "Self-control and grit : Related but separable determinants of success" 23 (23): 319-325, 2014

      88 Seligman, M. E. P., "Positive psychology" 55 (55): 5-14, 2000

      89 Singh, K.,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and grit as predictors of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34 (34): 40-45, 2008

      90 James, R. J., "On the latent structure of problem gambling: A taxometric analysis" 109 (109): 1707-1717, 2014

      91 Schmidt, F. T., "Measuring Grit" 2017

      92 Tough, P., "How children succeed: Grit, curiosity, and the hidden power of character" Houghton Mifflin Harcourt 2012

      93 Diener, E., "Happiness: unlocking the mysteries of psychological wealth" Blackwell 2008

      94 Barrow, R., "Happiness" Martin Robertson 1980

      95 Diener, E,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63-73, 2003

      96 Duckworth, A. L., "Grit: The power of passion and perseverance" Simon and Schuster 2016

      97 Duckworth, A. L.,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92 (92): 1087-1101, 2007

      98 Rojas, J, P., "Exploring the correlations among creativity, grit, and mathematics achievement in socioeconomically diverse schools" 2012

      99 Duckworth, Kirby, T. A., "Deliberate practice spells success why grittier competitors triumph at the National Spelling Bee" 2 (2): 174-181, 2011

      100 Compton, W. C., "An introduction to positive psychology" Thomson Learning 2005

      101 김미숙, "21세기 글로벌 교육개혁 동향분석 연구(Ⅰ): 행복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KCI등재
      2017-1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Journal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Journal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5-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2 2.02 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23 2.22 2.524 0.4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