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감초 성분의 항균활성, 정량 및 방부력에 관한 연구 = Antimicrobial Activity, Quantification and Bactericidal Activities of Licorice Active Ingredi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841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감초성분인 glycyrrhizin, liquiritin, liquiritigenin, isoliquiritigenin의 항균활성을 측정하고, 원산지별 감초 추출물에서 항균활성 성분인 isoliquiritigenin과 liquiritigenin을 정량하여 비교평...

      본 연구에서는 감초성분인 glycyrrhizin, liquiritin, liquiritigenin, isoliquiritigenin의 항균활성을 측정하고, 원산지별 감초 추출물에서 항균활성 성분인 isoliquiritigenin과 liquiritigenin을 정량하여 비교평가하였다. 또한 challenge test를 통하여 가장 뛰어난 항균활성을 나타낸 isoliquiritigenin과 합성 방부제인 메틸 파라벤과의 방부력을 비교하였다. 감초 성분의 항균활성을 disc diffusion assay를 통해 측정한 결과, Liquiritigenin과 isoliquiritigenin이 B. subtilis, P. acnes, E. coli, P. aeruginosa에 대해 저해활성을 보였다. 특히 감초성분 중 큰 항균활성을 나타낸 isoliquiritigenin과 합성 방부제로 사용되는 메틸 파라벤과 프로필 파라벤의 최소저해농도를 비교한 결과 isoliquiritigenin이 강력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HPLC를 통해 원산지별 감초 추출물 isoliquiritigenin과 liquiritigenin을 정량한 결과, 이들의 함량은 한국산 감초가 중국산 감초와 우즈베키스탄산 감초보다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산 감초가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는데 isoliquiritigenin, liquiritigenin 함량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Isoliquiritigenin의 B. subtilis, P. acnes, E. coli, P. aeruginosa에 대한 challenge test를 통해 메틸 파라벤 보다 isoliquiritigenin이 뛰어난 방부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본 연구 결과로부터 감초 성분의 항균활성을 확인하였고, 원산지별 감초(한국, 중국, 우즈베키스탄) 중 한국 감초가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는데 isoliquiritigenin과 liquiritigenin 함량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감초 성분 중 가장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isoliquiritigenin은 파라벤류를 대체 할 수 있는 천연 보존제로써 이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licorice’s active ingredients. Four samples of licorice ingredients (glycyrrhizin, liquiritin, liquiritigenin, and isoliquiritigenin) were evaluated for their antimicrobial...

      The present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licorice’s active ingredients. Four samples of licorice ingredients (glycyrrhizin, liquiritin, liquiritigenin, and isoliquiritigenin) were evaluated for their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six skin microorganisms. The bioassay applied for determining the antimicrobial effects employed a disc diffusion assay,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and the challenge test. The ingredients showed antibacterial activities. Especially, isoliquiritigenin has significant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two Gram-positive (Bacillus subtilis, Propionobacterium acnes) and two Gramnegative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bacteria. These samples had much higher antimicrobial activities than synthetic preservatives. Our results reveal that liquiritigenin and isoliquiritigenin could be useful compounds for the development of antibacterial agents for the preservation of cosmetics and foods. The two flavonoids, liquiritigenin and isoliquiritigenin, sourced from Korea, China, Uzbekistan, were quantified using HPLC.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Korean licorice has two flavonoids (liquiritigenin, isoliquiritigenin) in much higher quantities than was observed in the licorice obtained from the two other countries. Thus, isoliquiritigenin and Korean licorice extract represent new candidates for antimicrobial ag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혜진, "원산지별 감초 추출물의 항균 활성 비교 및 천연방부제로써의 효능 연구"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41 (41): 358-366, 2013

      2 Routledge, "Some alkyl hydroxy benzoate preservatives (Parabens) are estrogenic" 153 : 12-19, 1998

      3 Graham GM, "Proinflammatory cyrokine production by human keratinocytes stimulated with Propionibacterium acnes and P. acnes GroEL" 150 : 421-428, 2004

      4 Gerald PB, "Infections Caused by Pseudomonas aeruginosa" 5 : 279-313, 1983

      5 Vowels BR, "In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by a soluble factor of Propionibacterium acnes: implications for chronic inflammatory acne" 63 : 3158-3165, 1995

      6 Andersen, "Final report on the safety assessment of isobutylparaben and isopropylparaben" 14 : 364-372, 1995

      7 Nishihara T, "Estrogenic activities of 517 chemicals by yeast two-hybrid assay" 46 : 282-298, 2000

      8 Okubo T, "ER-dependent estrogenic activity of parabens assessed by proliferation of human breast cancer MCF-7 cells and expression of ERα and ERβ and PR" 39 : 1225-1232, 2001

      9 Rastogi SC, "Contents of methyl-, ethyl-, propyl-, butyl- and benzylparaben in cosmetic products" 32 : 28-30, 1995

      10 Darbre PD, "Concentrations of parabens in human breast tumours" 24 : 5-13, 2004

      1 김혜진, "원산지별 감초 추출물의 항균 활성 비교 및 천연방부제로써의 효능 연구"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41 (41): 358-366, 2013

      2 Routledge, "Some alkyl hydroxy benzoate preservatives (Parabens) are estrogenic" 153 : 12-19, 1998

      3 Graham GM, "Proinflammatory cyrokine production by human keratinocytes stimulated with Propionibacterium acnes and P. acnes GroEL" 150 : 421-428, 2004

      4 Gerald PB, "Infections Caused by Pseudomonas aeruginosa" 5 : 279-313, 1983

      5 Vowels BR, "In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by a soluble factor of Propionibacterium acnes: implications for chronic inflammatory acne" 63 : 3158-3165, 1995

      6 Andersen, "Final report on the safety assessment of isobutylparaben and isopropylparaben" 14 : 364-372, 1995

      7 Nishihara T, "Estrogenic activities of 517 chemicals by yeast two-hybrid assay" 46 : 282-298, 2000

      8 Okubo T, "ER-dependent estrogenic activity of parabens assessed by proliferation of human breast cancer MCF-7 cells and expression of ERα and ERβ and PR" 39 : 1225-1232, 2001

      9 Rastogi SC, "Contents of methyl-, ethyl-, propyl-, butyl- and benzylparaben in cosmetic products" 32 : 28-30, 1995

      10 Darbre PD, "Concentrations of parabens in human breast tumours" 24 : 5-13, 2004

      11 Giacometti A, "Comparative activities of polycationic peptides and clinically used antimicrobial agents against multidrug-resistant nosocomial isolates of Acinetobater baumannii" 46 : 807-810, 2000

      12 Farrinton JK, "Ability of laboratory methods to predict in-use efficacy of antimicrobial preservatives in an experimental cosmetic" 60 : 4553-4558,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5-09-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5 0.977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