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화제와 관객과의 소통을 중심으로 한 부산국제영화제 어플리케이션 'BIFF花' 제안 =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pplication 'BIFF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660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부산국제영화제의 정체성은 아시아를 대표하는 영화제를 목표로 아시아의 재능 있는 신인감독 발굴에 있다. 2007년 12회 때 신설된 ACF(Asian Cinema Fund)는 새로운 영화를 제작하려는 아시아 독립영화계에 힘을 실어주며 부산국제영화제 대표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ACF는 영화제 측과 마켓을 중심으로 폐쇄적인 방식으로 운영되었고, 부산국제영화제를 찾는 일반 관객들과 만나는 접점은 없어 왔다.

      영화제는 새로운 영화를 발견하고 응원하고 영화를 사랑하는 사람들이 모이는 코뮌의 장이다. 현재까지 부산국제영화제는 영화제 자체적으로 새로운 영화를 발견하고 응원하고 있지만 일반관객들이 새로운 영화를 발견하고 응원할 수 있는 자리는 없어 왔다. 또한 관객과 영화제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2012년 부산국제영화제 어플리케이션 BIFF APP을 런칭했지만 웹페이지와 차별성 없는 기능과 디자인으로 사람들의 관심을 많이 받지 못하고 2014년 사라졌다.

      본 논문에서는 일차적으로 부산국제영화제와 관객과의 소통을 위해 크라우드펀딩을 활용하고 이차적으로 부산국제영화제를 찾는 관객과 관객과의 소통을 위해 SNS와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활용한 부산국제영화제 어플리케이션 'BIFF花'를 제안한다. 'BIFF花' 제안에 앞서, 현재 부산국제영화제가 관객과 소통하는데 있어 드러나는 문제점을 짚어내고, 크라우드펀딩과 영화제가 효과적으로 어우러져 관객과 영화제의 소통을 이뤄낸 선댄스영화제 현황과 선댄스영화제에 출품되고 수상한 크라우드펀딩 성공 영화사례들을 살펴볼 것이다. 또한 'BIFF花'에서 SNS와 동영상 서비스를 도입하는 당위성을 설명하기 위해 현재 크라우드펀딩 사이트로 대표되는 킥스타터와 인디고고 어플리케이션 구조와 운영구조를 살펴볼 것이다.

      어플리케이션은 직접 개발되고 상용화되었을 때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부산국제영화제 크라우드펀딩 어플리케이션 'BIFF花'를 기획하고 제안한 본 논문의 후속연구는 UI디자인과 프로토타입 개발, 사용자 테스트가 될 것이다.
      번역하기

      부산국제영화제의 정체성은 아시아를 대표하는 영화제를 목표로 아시아의 재능 있는 신인감독 발굴에 있다. 2007년 12회 때 신설된 ACF(Asian Cinema Fund)는 새로운 영화를 제작하려는 아시아 독립...

      부산국제영화제의 정체성은 아시아를 대표하는 영화제를 목표로 아시아의 재능 있는 신인감독 발굴에 있다. 2007년 12회 때 신설된 ACF(Asian Cinema Fund)는 새로운 영화를 제작하려는 아시아 독립영화계에 힘을 실어주며 부산국제영화제 대표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ACF는 영화제 측과 마켓을 중심으로 폐쇄적인 방식으로 운영되었고, 부산국제영화제를 찾는 일반 관객들과 만나는 접점은 없어 왔다.

      영화제는 새로운 영화를 발견하고 응원하고 영화를 사랑하는 사람들이 모이는 코뮌의 장이다. 현재까지 부산국제영화제는 영화제 자체적으로 새로운 영화를 발견하고 응원하고 있지만 일반관객들이 새로운 영화를 발견하고 응원할 수 있는 자리는 없어 왔다. 또한 관객과 영화제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2012년 부산국제영화제 어플리케이션 BIFF APP을 런칭했지만 웹페이지와 차별성 없는 기능과 디자인으로 사람들의 관심을 많이 받지 못하고 2014년 사라졌다.

      본 논문에서는 일차적으로 부산국제영화제와 관객과의 소통을 위해 크라우드펀딩을 활용하고 이차적으로 부산국제영화제를 찾는 관객과 관객과의 소통을 위해 SNS와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활용한 부산국제영화제 어플리케이션 'BIFF花'를 제안한다. 'BIFF花' 제안에 앞서, 현재 부산국제영화제가 관객과 소통하는데 있어 드러나는 문제점을 짚어내고, 크라우드펀딩과 영화제가 효과적으로 어우러져 관객과 영화제의 소통을 이뤄낸 선댄스영화제 현황과 선댄스영화제에 출품되고 수상한 크라우드펀딩 성공 영화사례들을 살펴볼 것이다. 또한 'BIFF花'에서 SNS와 동영상 서비스를 도입하는 당위성을 설명하기 위해 현재 크라우드펀딩 사이트로 대표되는 킥스타터와 인디고고 어플리케이션 구조와 운영구조를 살펴볼 것이다.

      어플리케이션은 직접 개발되고 상용화되었을 때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부산국제영화제 크라우드펀딩 어플리케이션 'BIFF花'를 기획하고 제안한 본 논문의 후속연구는 UI디자인과 프로토타입 개발, 사용자 테스트가 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진승현, "크라우드 펀딩과 영화영상미디어 콘텐츠 제작과의 관계분석을 통한 성공적인 펀딩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3 (13): 81-91, 2013

      2 박조원, "우리나라 국제영화제 방문객의 특성 비교 연구" 한국문화경제학회 15 (15): 115-141, 2012

      3 김수현, "아시아필름마켓의 현황과 전망" 영화진흥위원회 2011

      4 김혜리, "김혜리가 만난 사람-영화평론가‧영화감독 정성일" (722) : 2009

      5 박강미, "국제영화제의 탄생" 스토리하우스 2013

      6 "www.thewrap.com"

      7 "www.mobileworldlive.com"

      8 "go.indiegogo.com/blog"

      1 진승현, "크라우드 펀딩과 영화영상미디어 콘텐츠 제작과의 관계분석을 통한 성공적인 펀딩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3 (13): 81-91, 2013

      2 박조원, "우리나라 국제영화제 방문객의 특성 비교 연구" 한국문화경제학회 15 (15): 115-141, 2012

      3 김수현, "아시아필름마켓의 현황과 전망" 영화진흥위원회 2011

      4 김혜리, "김혜리가 만난 사람-영화평론가‧영화감독 정성일" (722) : 2009

      5 박강미, "국제영화제의 탄생" 스토리하우스 2013

      6 "www.thewrap.com"

      7 "www.mobileworldlive.com"

      8 "go.indiegogo.com/blog"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8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12-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Digital Design Societ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8 0.81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