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산강유역 출토 마구의 성격과 의미 =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Horse Tacks Unearthed from the Yeongsan River Basi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239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orse tacks unearthed from the Yeongsan River Basin began to receive attention after a set of horse ornaments was discovered from Josan Ancient Tomb of Wolsong-ri, Haenam, in 1982. The horse ornament set included an f-shaped bit plate and an oval and ...

      Horse tacks unearthed from the Yeongsan River Basin began to receive attention after a set of horse ornaments was discovered from Josan Ancient Tomb of Wolsong-ri, Haenam, in 1982. The horse ornament set included an f-shaped bit plate and an oval and knife-edge-shaped strap pendant, which was rare at that time. Since then, several tacks were found attracting the attention of Korean and foreign researchers: hemispheric horse harness fittings for crossbelt decorated with lotus flower pattern, and horse bit from Sindeok Ancient Tomb of Yedeok-ri, Hampyeong, in 1991; Silla-style cross-patterned heart-shaped horse bit plate, and three-leaf patterned heart-shaped strap pendant from the Stone Chamber No. 96 of the Ancient Tomb No. 3 of Bogam-ri, Naju; and tacks including f-shaped bit plate, wooden stirrup, and iron stirrup, as well as the double ring-type bit plate uncommon in the Yeongsan River Basin, from the Stone Chamber No. 1 of Jeongchon Ancient Tomb in Naju.
      Current study collected all the tacks unearthed from the Yeongsan River Basin, and compared them with the materials of the same time unearthed from various parts of East Asia including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Islands, and examined their typology, chronology, and genealogy,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ried persons, as well as the international relations and negotiations.
      Results confirm that the tacks from Yeongsan River Basin were for horseback riding with functions of control, stabilization, and decoration. This shows that the horseback riding culture was popular in the late 5th century to the 6th century in the Yeongsang River Basin. In terms of their structure and material, they are viewed as tacks having practical, militaristic, and display purpose like those from the tombs of the Silla Kingdom and the Gaya Kingdom of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 buried person is presumed to have been a local leader or an influencer with strong martial or political power. In addition, this study noted foreign elements in the style of the majority of the tacks from the Yeongsan River Basin, and tracked the origin and genealogy. It is concluded that the local power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had multidimensional interactions and negotiations with powers of Baekje, Silla, Gaya, and W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영산강유역에서 출토된 마구는 1982년 해남 월송리 조산고분에서 당시에는 보기 드문 ‘f’자형판비와 검릉형행엽을 세트로 하는 장식마구가 출토되면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이후 1991년 ...

      영산강유역에서 출토된 마구는 1982년 해남 월송리 조산고분에서 당시에는 보기 드문 ‘f’자형판비와 검릉형행엽을 세트로 하는 장식마구가 출토되면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이후 1991년 함평 예덕리 신덕고분에서 표비와 함께 연화문을 장식한 반구형운주가, 1996년 나주 복암리 3호분 96석실에서 신라계 십자문심엽형판비와 삼엽문심엽형행엽이, 최근에는 나주 정촌고분 1호 석실에서 영산강유역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복환판비를 비롯하여 ‘f’자형판비와 목심등자, 철제등자 등으로 구성된 마구가 한꺼번에 출토되어 국내외 연구자들의 이목을 끌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현재까지 영산강유역에서 출토된 마구를 집성하고, 동 시기 한반도와 일본열도 등 동아시아 세계의 여러 지역에서 출토된 자료와 비교·검토하여 그 형식학적인 위치와 연대, 계보, 그리고 피장자의 성격과 대외 교류와 교섭의 문제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그리하여 영산강유역 출토 마구는 기본적으로 제어용·안정용·장식용 마구 등으로 구성된 기승용 마구임을 확인하고, 이를 근거로 영산강유역에서는 5세기 말~6세기에 기마문화가 성행했음을 밝혔다.
      그리고 그 구성과 재질 등에서 동 시기 신라와 가야의 고분에서 출토된 마구와 마찬가지로 실용적·무장적·위세품적인 성격을 가진 마구로 이해하여 그 피장자를 무장적·정치적인 성격이 강한 재지수장 또는 유력자로 추정하였다.
      아울러 영산강유역에서 출토된 마구의 대다수가 외래계 마구인 점에 주목하고 그 유례와 계보를 추적함으로써 영산강유역의 재지세력들은 백제를 비롯하여 신라, 가야, 왜 등 여러 세력과 다원적으로 교류 또는 교섭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尙律, "嶺南地方 三國時代 杏葉의 硏究"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3

      2 이현정, "嶺南地方 三國時代 三繫裝飾具 硏究" 慶北大學校 大學院 2008

      3 朴天秀, "한반도의 전방후원분" 학연문화사 2011

      4 홍보식, "영상강유역 고분의 성격과 추이" 호남고고학회 21 : 107-137, 2005

      5 金洛中, "영산강유역 고분 연구" 학연문화사 2009

      6 최성락, "영광 학정리·함평 용산리유적" 목포대학교박물관 2000

      7 이현정, "신라고고학개론 下" 진인진 2014

      8 순천대학교박물관, "순천 운평리유적 Ⅲ" 2014

      9 朴天秀, "새로 쓰는 고대 한일교섭사" ㈜사회평론 2007

      10 柳昌煥, "부장품으로 본 가야마구의 성격과 의의"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논집 3 : 2010

      1 李尙律, "嶺南地方 三國時代 杏葉의 硏究"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3

      2 이현정, "嶺南地方 三國時代 三繫裝飾具 硏究" 慶北大學校 大學院 2008

      3 朴天秀, "한반도의 전방후원분" 학연문화사 2011

      4 홍보식, "영상강유역 고분의 성격과 추이" 호남고고학회 21 : 107-137, 2005

      5 金洛中, "영산강유역 고분 연구" 학연문화사 2009

      6 최성락, "영광 학정리·함평 용산리유적" 목포대학교박물관 2000

      7 이현정, "신라고고학개론 下" 진인진 2014

      8 순천대학교박물관, "순천 운평리유적 Ⅲ" 2014

      9 朴天秀, "새로 쓰는 고대 한일교섭사" ㈜사회평론 2007

      10 柳昌煥, "부장품으로 본 가야마구의 성격과 의의"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논집 3 : 2010

      11 柳昌煥, "마구로 본 6세기대 소가야와 주변제국, In 6세기대 가야와 주변제국" 2008

      12 최몽룡, "담양 제월리 백제고분과 그 출토유물" 국립문화재연구소 10 : 1976

      13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나주 복암리 정촌고분" 2015

      14 류창환, "가야마구의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7

      15 坂本美夫, "馬具" 34 : 1985

      16 朴淳發, "韓國의 前方後圓墳"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2000

      17 柳昌煥, "韓國古代史와 考古學, 鶴山 金廷鶴博士 頌壽紀念論叢" 2000

      18 金斗喆, "韓國 古代 馬具의 硏究" 東義大學校 大學院 2000

      19 桃崎祐輔, "近年の韓國出土古墳時代馬具と日本列島の馬具の比較檢討, In 韓日交涉の考古學-古墳時代-" 第1回 共同硏究會 2013

      20 瀧澤誠, "複環式鏡板付轡の檢討, 史蹟 森將軍塚古墳-保存整備事業發掘調査報告書-" 更埴市敎育委員會 1992

      21 서현주, "考古學 資料로 본 百濟와 榮山江 流域-熊津泗?期를 中心으로-" 백제연구소 (44) : 141-170, 2006

      22 국립문화재연구소, "羅州 伏岩里 3號墳" 2001

      23 복천박물관, "神의 거울 銅鏡"

      24 류창환, "百濟馬具에 대한 基礎的 硏究" 백제연구소 (40) : 171-201, 2004

      25 成正鏞, "漢城期 百濟馬具의 編年과 그 起源" 國史編纂委員會 101 : 2003

      26 徐聲勳, "海南月松里造山古墳" 國立光州博物館 1984

      27 김낙중, "榮山江流域 古墳 出土 馬具 硏究" 한국상고사학회 69 (69): 103-125, 2010

      28 岡村秀典, "東アジア情勢と古墳文化" 靑木書店 7 : 2011

      29 李尙律, "新羅, 伽倻 文化圈에서 본 百濟의 馬具" 公州大學敎 百濟文化硏究所 27 : 1998

      30 諫早直人, "慶州 月城路 다-6號墳 出土 複環式 環板轡의 再檢討" (4) : 2007

      31 金斗喆, "大加耶古墳의 編年 檢討" 韓國考古學會 45 : 2001

      32 大塚初重, "圖說 西日本古墳總覽" 新人物往來社 1991

      33 成洛俊, "咸平 禮德里 新德古墳 緊急收拾調査 略報" 1992

      34 田中由理, "古墳時代の馬具生産" 大阪大學 大學院 2009

      35 諫早直人, "古代東北アジアにおける騎馬文化の考古學的硏究" 京都大學 大學院 2009

      36 柳昌煥, "伽耶古墳 出土 鐙子에 대한 硏究" 東義大學校 大學院 1994

      37 諫早直人, "九州出土の馬具と朝鮮半島, In 沖の島祭祀と九州諸勢力の對外交涉" 2012

      38 金斗喆, "三國時代 轡의 硏究"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3 2.65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