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示兒詩의 원류와 전개 양상 = A Study on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Si-a poet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295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hree main writers of Si-a poetry are Han Yu-yi(韓愈), Du Fu(杜甫) and Yu ui(陸游).
      The poems they deliver to their descendan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life history. The deprived Han Yu-yi left practical lessons for the improvement of real life, Du Fu recommended studying literature and Confucian literature, and Yu yi reminded his descendants of patriotism and sense of revenge.
      There are no bold contents in Korean Si-a poetry that emphasize patriotism or revenge. They urged their descendants to pursue a peaceful and stable life by passing the exam as a way to live a war or a mixed age. And they emphasized humility and care in speaking as a way of life for their descendants. After experiencing political chaos in the Chosun Dynasty era, they urged their descendants to protect themselves by studying literature and Confucian literature. What is unique is that the teaching of the curing method and protecting the body shows a similar trajectory to Confucian's a mental philosophical tendencies.
      번역하기

      The three main writers of Si-a poetry are Han Yu-yi(韓愈), Du Fu(杜甫) and Yu ui(陸游). The poems they deliver to their descendan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life history. The deprived Han Yu-yi left practical lessons for the improvemen...

      The three main writers of Si-a poetry are Han Yu-yi(韓愈), Du Fu(杜甫) and Yu ui(陸游).
      The poems they deliver to their descendan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life history. The deprived Han Yu-yi left practical lessons for the improvement of real life, Du Fu recommended studying literature and Confucian literature, and Yu yi reminded his descendants of patriotism and sense of revenge.
      There are no bold contents in Korean Si-a poetry that emphasize patriotism or revenge. They urged their descendants to pursue a peaceful and stable life by passing the exam as a way to live a war or a mixed age. And they emphasized humility and care in speaking as a way of life for their descendants. After experiencing political chaos in the Chosun Dynasty era, they urged their descendants to protect themselves by studying literature and Confucian literature. What is unique is that the teaching of the curing method and protecting the body shows a similar trajectory to Confucian's a mental philosophical tendenc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 示兒詩의 원류로 대표적인 세 작가는 韓愈·杜甫·陸游이다. 그들이 자손에게 전하는 示兒詩는 각자의 인생 이력에 따른 차별성을 보였다. 불우했던 한유는 현실생활의 개선을 위한 실리적인 가르침을 남겼고, 두보는 문장 공부와 경술 공부에 대한 권계를 전했으며 육유는 투철한 애국심과 복수의식을 일깨웠다.
      우리나라의 시아시에는 육유처럼 투철한 애국심이나 복수의식을 강조하는 과감한 내용이 나타나지 않는다. 대신 자식들에게 전란기나 혼란기를 살아가는 방법으로 과거를 통한 영화롭고 안정된 삶의 추구를 권하거나 수신의 방편으로서 謙遜과 愼言을 강조하는 실제적인 가르침이 주목되었다. 또 조선의 정치적 혼란기를 경험한 후에는 문장공부나 경술 공부를 통한 養生과 保身의 방법을 일깨웠다. 특별히 주목되는 점은 정치적으로 혼란한 시기에 자식들에게 전했던 ‘養生’과 ‘保身’의 일깨움이 유학의 心學化 경향과 비슷한 궤적을 보인다는 사실이다.
      번역하기

      중국 示兒詩의 원류로 대표적인 세 작가는 韓愈·杜甫·陸游이다. 그들이 자손에게 전하는 示兒詩는 각자의 인생 이력에 따른 차별성을 보였다. 불우했던 한유는 현실생활의 개선을 위한 실...

      중국 示兒詩의 원류로 대표적인 세 작가는 韓愈·杜甫·陸游이다. 그들이 자손에게 전하는 示兒詩는 각자의 인생 이력에 따른 차별성을 보였다. 불우했던 한유는 현실생활의 개선을 위한 실리적인 가르침을 남겼고, 두보는 문장 공부와 경술 공부에 대한 권계를 전했으며 육유는 투철한 애국심과 복수의식을 일깨웠다.
      우리나라의 시아시에는 육유처럼 투철한 애국심이나 복수의식을 강조하는 과감한 내용이 나타나지 않는다. 대신 자식들에게 전란기나 혼란기를 살아가는 방법으로 과거를 통한 영화롭고 안정된 삶의 추구를 권하거나 수신의 방편으로서 謙遜과 愼言을 강조하는 실제적인 가르침이 주목되었다. 또 조선의 정치적 혼란기를 경험한 후에는 문장공부나 경술 공부를 통한 養生과 保身의 방법을 일깨웠다. 특별히 주목되는 점은 정치적으로 혼란한 시기에 자식들에게 전했던 ‘養生’과 ‘保身’의 일깨움이 유학의 心學化 경향과 비슷한 궤적을 보인다는 사실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용헌, "활재 이구의 율곡 비판" 율곡학회 6 : 2003

      2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

      3 成汝學, "鶴泉集"

      4 "顯宗實錄"

      5 朱晓蓉, "韩愈示儿诗考辨" (04) : 2008

      6 李林斐, "韩愈的“长安印象”及其形成—从‘出门’ 与‘示儿’谈起" (08) : 2014

      7 梁慶遇, "霽湖集"

      8 宋安华, "陆游示儿诗 : 父子更兼师友分" (03) : 1998

      9 林鹄, "陆游示儿 : 学终身 忧国民" (24) : 2016

      10 "近思錄"

      1 김용헌, "활재 이구의 율곡 비판" 율곡학회 6 : 2003

      2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

      3 成汝學, "鶴泉集"

      4 "顯宗實錄"

      5 朱晓蓉, "韩愈示儿诗考辨" (04) : 2008

      6 李林斐, "韩愈的“长安印象”及其形成—从‘出门’ 与‘示儿’谈起" (08) : 2014

      7 梁慶遇, "霽湖集"

      8 宋安华, "陆游示儿诗 : 父子更兼师友分" (03) : 1998

      9 林鹄, "陆游示儿 : 学终身 忧国民" (24) : 2016

      10 "近思錄"

      11 郁土, "读韩愈‘示儿’诗" (07) : 2015

      12 钟一鸣, "论陆游示儿教子诗的生成因素" (03) : 2010

      13 佘德余, "论陆游的‘示儿’诗" (04) : 1986

      14 "詩經"

      15 蔡正孫, "詩林廣記"

      16 李玄逸, "葛庵集"

      17 李惟泰, "草廬集"

      18 劉永奉, "草廬 李惟泰의 詩世界" 한국한문학회 (31) : 167-201, 2003

      19 李睟光, "芝峯集"

      20 "肅宗實錄"

      21 李穀, "稼亭集"

      22 "禮記"

      23 谭照, "矢志爱国 悲壮动人—陆游‘示儿’诗浅析" (06) : 1983

      24 李應禧, "玉潭詩集"

      25 李穡, "牧隱集"

      26 齐治平, "爱国的绝唱—谈陆游的‘示儿’诗" (08) : 1982

      27 黄子云, "满腔热血凝成 爱国千古绝唱—关于杰出的爱国诗人陆游的‘示儿’诗及其影响" (03) : 1996

      28 李裕元, "林下筆記"

      29 钱仲联, "析陆游‘示儿’" (01) : 1989

      30 韓愈, "東雅堂韓昌黎集註"

      31 杜甫, "杜詩詳註"

      32 이종묵, "李應禧가 시로 쓴 백과사전 <萬物篇>에 대하여" 국문학회 16 (16): 133-164, 2007

      33 洪汝河, "木齋集"

      34 尹根壽, "月汀集"

      35 "書經"

      36 朱熹, "晦菴集"

      37 "晉書"

      38 尹拯, "明齋遺稿"

      39 柳夢寅, "於于集"

      40 유병하, "拙齋 柳元之의 理氣心性論" 춘추회 1 : 2001

      41 "性理大全"

      42 "後漢書"

      43 李惟泰, "庭訓"

      44 卢伟, "家祭毋忘告乃翁—谈陆游示儿诗的思想内容" (05) : 1994

      45 宋時烈, "宋子大全"

      46 徐居正, "四佳詩集"

      47 孟佶, "吾翁"及其他" (08) : 2000

      48 "全州李氏 安陽君派 世譜"

      49 树丫, "从两首"示儿诗"中读懂陆游" (11) : 2005

      50 "『木齋集』 해제"

      51 薛兴臻, "‘示儿’中的"元"字说" (04) :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6 0.74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