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독일의 아동복지 정책과 관련 법제 연구-정부의 양육지원 제도를 중심으로- = A Study of Children welfare policy and legislation in Germany: Centering around Parenting support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543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low fertility rate and the aging population are the problems that not only Korea but the whole world should solve. Germany is no exception, and it is continuously implementing legal and institutional efforts to restore the fertility rate. In order to increase the fertility rate, the government recognizes that it needs national support from various aspects of childcare and family welfare, and does not spare support through legislation.
      The recent rise in the birth rate in Germany is thought to be the result of generous government policies and support for the child-raising of the Germans. The German promotion policy focuses on improving the labor law and social security system in a family-friendly manner, expanding childcare facilities, and supporting work and child care. The preconditions for raising the fertility rate and eliminating the imbalance in population composition are family-friendly legislation, equal treatment of men and women in the labor market, the elimination of traditional men and women's marriages and marriages, abolition of various preferences for marriage, And the expansion of childcare facilities. It is important that national policies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for child rearing are important.
      In Korea, there is a debate about child allowance in recent years, but it is not taking an active attitude because of the national resources. The problem of population cliffs and low fertility is an issue that can never be solved on an individual level. Therefore, the government's aggressive parenting support policy and legal sole laying can be a way to increase the fertility rate and solve the situation where the future Korea is at the last cliff of the cliff.
      번역하기

      The low fertility rate and the aging population are the problems that not only Korea but the whole world should solve. Germany is no exception, and it is continuously implementing legal and institutional efforts to restore the fertility rate. In order...

      The low fertility rate and the aging population are the problems that not only Korea but the whole world should solve. Germany is no exception, and it is continuously implementing legal and institutional efforts to restore the fertility rate. In order to increase the fertility rate, the government recognizes that it needs national support from various aspects of childcare and family welfare, and does not spare support through legislation.
      The recent rise in the birth rate in Germany is thought to be the result of generous government policies and support for the child-raising of the Germans. The German promotion policy focuses on improving the labor law and social security system in a family-friendly manner, expanding childcare facilities, and supporting work and child care. The preconditions for raising the fertility rate and eliminating the imbalance in population composition are family-friendly legislation, equal treatment of men and women in the labor market, the elimination of traditional men and women's marriages and marriages, abolition of various preferences for marriage, And the expansion of childcare facilities. It is important that national policies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for child rearing are important.
      In Korea, there is a debate about child allowance in recent years, but it is not taking an active attitude because of the national resources. The problem of population cliffs and low fertility is an issue that can never be solved on an individual level. Therefore, the government's aggressive parenting support policy and legal sole laying can be a way to increase the fertility rate and solve the situation where the future Korea is at the last cliff of the cliff.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저출산과 고령화 현상은 현재 우리나라 뿐 만 아니라 전 세계가 해결해야 할 과제다. 독일도 예외는 아니어서 출산율 회복을 위한 법적·제도적 노력을 꾸준히 시행하고 있다. 또한 출산율 증가를 위해서는 다양한 양육정책과 가족 복지적 측면에서 국가적 차원의 지지가 필요함을 인지하고 입법을 통한 지원도 아끼지 않고 있다.
      최근 독일의 출산율의 상승은 아동양육을 위한 아낌없는 정부 정책과 지원의 결과다. 독일의 출산장려정책은 노동법 및 사회보장제도를 가족 친화적으로 개선하고, 보육시설을 확충하여 직장과 자녀양육을 병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결국 출산율을 높이고 인구 구성비의 불균형을 해소하는 전제조건은 가족 친화적 법제, 노동시장에서의 남녀에 대한 평등한 대우, 전통적인 남녀관 내지 결혼관의 타파, 결혼제도에 대한 각종 특혜의 폐지, 영·유아에 대한 공공 보육 시설의 확충 등이라고 할 것이다.
      우리나라도 아동양육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정책과 제도적 마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인구절벽, 저출산의 문제는 개인적 차원에서는 절대 해결할 수 없는 과제이다. 이에 정부의 적극적인 양육지원 정책과 법적 토양 마련만이 출산율을 높이고, 미래의 대한민국이 인구절벽의 마지막 낭떠러지에 처하는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저출산과 고령화 현상은 현재 우리나라 뿐 만 아니라 전 세계가 해결해야 할 과제다. 독일도 예외는 아니어서 출산율 회복을 위한 법적·제도적 노력을 꾸준히 시행하고 있다. 또한 출산율 ...

      저출산과 고령화 현상은 현재 우리나라 뿐 만 아니라 전 세계가 해결해야 할 과제다. 독일도 예외는 아니어서 출산율 회복을 위한 법적·제도적 노력을 꾸준히 시행하고 있다. 또한 출산율 증가를 위해서는 다양한 양육정책과 가족 복지적 측면에서 국가적 차원의 지지가 필요함을 인지하고 입법을 통한 지원도 아끼지 않고 있다.
      최근 독일의 출산율의 상승은 아동양육을 위한 아낌없는 정부 정책과 지원의 결과다. 독일의 출산장려정책은 노동법 및 사회보장제도를 가족 친화적으로 개선하고, 보육시설을 확충하여 직장과 자녀양육을 병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결국 출산율을 높이고 인구 구성비의 불균형을 해소하는 전제조건은 가족 친화적 법제, 노동시장에서의 남녀에 대한 평등한 대우, 전통적인 남녀관 내지 결혼관의 타파, 결혼제도에 대한 각종 특혜의 폐지, 영·유아에 대한 공공 보육 시설의 확충 등이라고 할 것이다.
      우리나라도 아동양육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정책과 제도적 마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인구절벽, 저출산의 문제는 개인적 차원에서는 절대 해결할 수 없는 과제이다. 이에 정부의 적극적인 양육지원 정책과 법적 토양 마련만이 출산율을 높이고, 미래의 대한민국이 인구절벽의 마지막 낭떠러지에 처하는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화, "현대사회와 여성복지" 양서원 2009

      2 허남순, "한국의 아동복지법" 소화 2002

      3 오정수, "한국아동복지의 현실과 쟁점" 충남대학교 출판문화원 2014

      4 문선화, "한국사회와 아동복지" 양서원 2012

      5 이상오, "통독 후 독일의 청소년 복지사업에 대한 일 고찰 -새로 제정된<아동 및 청소년 지원법>과 그의 실시현황을 중심으로-" 2 : 1997

      6 배화옥, "주요국의 아동복지정책 동향" 2005

      7 김태원, "저출산과 독일의 다문화가족정책에 대한 연구"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48) : 96-116, 2011

      8 심성경, "유아교육개론" 창지사 2003

      9 이재완, "외국의 아동수당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42) : 161-180, 2005

      10 박정선, "영국, 미국, 독일의 아동보육정책의 형성과 발달 현황" 5 : 1998

      1 김영화, "현대사회와 여성복지" 양서원 2009

      2 허남순, "한국의 아동복지법" 소화 2002

      3 오정수, "한국아동복지의 현실과 쟁점" 충남대학교 출판문화원 2014

      4 문선화, "한국사회와 아동복지" 양서원 2012

      5 이상오, "통독 후 독일의 청소년 복지사업에 대한 일 고찰 -새로 제정된<아동 및 청소년 지원법>과 그의 실시현황을 중심으로-" 2 : 1997

      6 배화옥, "주요국의 아동복지정책 동향" 2005

      7 김태원, "저출산과 독일의 다문화가족정책에 대한 연구"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48) : 96-116, 2011

      8 심성경, "유아교육개론" 창지사 2003

      9 이재완, "외국의 아동수당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42) : 161-180, 2005

      10 박정선, "영국, 미국, 독일의 아동보육정책의 형성과 발달 현황" 5 : 1998

      11 김미숙, "아동청소년복지 수요에 기반한 복지공급체계 재편방안 연구. 2: 지역유형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12 김미숙, "아동청소년 복지수요 추계 연구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13 주정일, "아동복지학" 교문사 2000

      14 김미숙, "아동복지정책 유형과 효과성 국제비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15 이숙종, "아동복지의 이해" 학문사 1997

      16 성영혜, "아동복지의 이론과 실제" 동문사 2002

      17 박정문, "아동복지와 보육사업의 이해" 보육사 2000

      18 오정수, "아동복지서비스: 미국, 영국, 일본을 중심으로(사회복지신서 24)" 나눔의집 2006

      19 한국아동안전관리교육협회, "아동복지관련법규 및 안전시설(아동안전교육지도서 4)" 학문사 2003

      20 김미숙, "아동복지 지출실태 및 적정 아동복지 지출규모 추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21 이순형, "아동복지 이론과 실천" 학지사 2013

      22 김수진, "아동복지 관련 법제의 개선방안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05

      23 이혜원, "아동권리와 아동복지" 집문당 2006

      24 삼성복지재단, "아동교육 프로그램 포괄적 보육 서비스" 보육사 2005

      25 박성희, "아동ㆍ청소년의 행복 보장을 위한 독일의 교육복지 개념 고찰" 한독사회과학회 21 (21): 143-166, 2011

      26 보건복지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아동 청소년의 생활패턴에 관한 국제비교연구" 휴먼컬처아리랑 2014

      27 이태수, "아동 청소년복지 네트워크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8

      28 황진구, "아동 청소년 역량개발을 위한 능동적 복지정책 추진방안(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

      29 정재각, "스웨덴·프랑스·독일의 보육정책과 문화 -가정과 노동의 양립을 중심으로-" 1 (1): 2004

      30 김영모, "선진국 아동보육 제도와 보육프로그램" 한국복지정책연구소 1998

      31 원석조, "사회보장론" 양서원 2003

      32 윤선영, "베를린의 어린이보육시설 평가에 대한 사례 연구" 한독교육학회 18 (18): 19-45, 2013

      33 이진숙, "독일의 저출산문제와 최근 대응의 변화" 국제지역연구센터 18 (18): 3-26, 2014

      34 조성혜, "독일의 일하는 빈곤층" 108 : 2014

      35 이진숙, "독일의 일-가족 양립정책에 대한 연구 - 보육지원을 중심으로" 한독사회과학회 18 (18): 165-190, 2008

      36 조성혜, "독일의 양육 관련 법제와 출산장려정책" 한국비교공법학회 8 (8): 561-592, 2007

      37 김영미, "독일의 아동양육지원법제" (2) : 2016

      38 윤선영, "독일 유아교육개혁에 대한 고찰" 10 : 1997

      39 홍성대, "독일 복지국가 재구조화의 양상과 성격" 한독사회과학회 19 (19): 59-88, 2009

      40 이진숙, "독일 가족정책의 변천에 대한 연구 - 주요 정당의 정책이념과 정책수단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25 (25): 145-179, 2002

      41 김미숙, "다문화가족아동의 사회적응실태 및 아동복지서비스 지원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42 이규천, "농촌지역 아동복지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43 홍성대, "국가복지사업 운영 합리화 방안 연구 I 국가복지사업 총괄・조정 방안(1차)" 한국보건복지정보개발원 2012

      44 김진우, "韓 출산율 OECD와 세계 '꼴찌 수준'" 국회뉴스

      45 Peng, I., "The political and social economy of care: Republic of Korea" United Nations Research Institute for Social Development 2009

      46 "Statistisches Bundesamt"

      47 "Statistisches Bundesamt"

      48 Butterwegge C., "Sozialreform, "demographischer Wandel und Generationgerechtigkeit"" 44 (44): 2004

      49 "Sozialgesetzbuch"

      50 Rosemary C., "Restructuring Gender Relations and Employment: The Decline of the Male Breadwinner"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51 "Mutterschutzgesetz"

      52 Otto Wolf Institut für Wirtschaftsordnung, "Kleinkindbetreuung: Wahlfreiheit durch subventionierte Krippenplatze?" 2007

      53 Dicks B., "Kindergeld vs. Kinderkrippe" 2 (2): 2007

      54 "Kindergeld Ratgeber"

      55 "Kindergeld"

      56 "Kinder- und Jugendhilfegesetz"

      57 "KIndertagesgeldgesetz"

      58 Schmidt M., "Family Policy and the Law: Germany: Employment, the Family, and the Law: Current Problems in Germany" 27 : 2004

      59 "Einkommenssteuergesetz(EStG)"

      60 Mayer T., "Die demographische Krise. Eine integrative Theorie der Bevökerungsentwicklung" 1999

      61 "Bundesministerium für Familie, Senioren, Frauen und Jugend"

      62 "Bundeserziehungsgeldgesetz(BErzGG)"

      63 "Bundeselterngeld- und Elternzeitgesetz"

      64 "Birth rate in Germany at lowest level since 1945"

      65 안미영, "A Comparative Analysis of Childcare Expansion and Social Investment in Sweden, France, Germany, the UK, Japan and South Korea" 한국사회정책학회 20 (20): 169-193, 2013

      66 김통원, "21세기 아동복지와 시설경영" 서울시아동복지시설연합회 2003

      67 구은미, "21세기 아동 청소년 복지" 학지사 2009

      68 정해본, "20세기 독일 사회정책에 관한 연구 (1945-1990)(II)" 한국독일사학회 (13) : 2007

      69 정치팀, "'차별논란' 아동수당 관련법만 9개 입법 진통 불가피 할 듯" 국회뉴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5 0.28 0.811 0.5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