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조대 『續大典』의 편찬논리와 그 성격 = Theory of the Compilation of the 「Soktaejŏn」 during the reign of King Yŏngjo and its Characterist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772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theory of the Compilation of the 「Soktaejŏn」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18th Century. The 「Soktaejŏn」, which was compiled in 1746 (in the 22nd year of King Yŏngjo), on the surface appears to have been designed to cover all the legal changes which had taken place since the 「Kyŏngguk Taechŏn」 was compiled. However, from the standpoint of political thought and of the history of politics, the 「Soktaejŏn」 can also be regarded as having been based on the comprehensive efforts made by Chosŏn society since the 17th century to stabilize the national order, and an effort to embed the new political mechanisms which were undertaken during this period as part of the so-called Tangp'yŏng politics within a code of laws.
      In compiling 「Soktaejŏn」, King Yŏngjo was designed to secure the monarch more his legitimacy in order to allow him to intervene and to impose compromises between the many factions which were then jostling for position. .
      The 「Soktaejŏn」was the result of these efforts to search for a new political management system, to strengthen the authority of the king and further the acceptance of constitutionalism. As such, the 「Soktaejŏn」, as a complement to the 「Kyŏngguk Taechŏn」, was meant to promote the usage of the Constitution as a more practical basis through which to rule the country. Once the authority of the 「Kyŏngguk Taechŏn」 was laid out in the Constitution, the authority of the king, as the upholder of the Constitution, would be naturally strengthened.
      번역하기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theory of the Compilation of the 「Soktaejŏn」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18th Century. The 「Soktaejŏn」, which was compiled in 1746 (in the 22nd year of King Yŏngjo), on the surface appears to have been desig...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theory of the Compilation of the 「Soktaejŏn」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18th Century. The 「Soktaejŏn」, which was compiled in 1746 (in the 22nd year of King Yŏngjo), on the surface appears to have been designed to cover all the legal changes which had taken place since the 「Kyŏngguk Taechŏn」 was compiled. However, from the standpoint of political thought and of the history of politics, the 「Soktaejŏn」 can also be regarded as having been based on the comprehensive efforts made by Chosŏn society since the 17th century to stabilize the national order, and an effort to embed the new political mechanisms which were undertaken during this period as part of the so-called Tangp'yŏng politics within a code of laws.
      In compiling 「Soktaejŏn」, King Yŏngjo was designed to secure the monarch more his legitimacy in order to allow him to intervene and to impose compromises between the many factions which were then jostling for position. .
      The 「Soktaejŏn」was the result of these efforts to search for a new political management system, to strengthen the authority of the king and further the acceptance of constitutionalism. As such, the 「Soktaejŏn」, as a complement to the 「Kyŏngguk Taechŏn」, was meant to promote the usage of the Constitution as a more practical basis through which to rule the country. Once the authority of the 「Kyŏngguk Taechŏn」 was laid out in the Constitution, the authority of the king, as the upholder of the Constitution, would be naturally strengthen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朝鮮總督府中樞院, "李朝法典考" 朝鮮總督府 1936

      2 정옥자, "조선후기 조선중화사상 연구" 일지사 1998

      3 조윤선, "조선후기 소송연구" 국학자료원 2002

      4 정연식, "조선후기 ‘役摠’의 운영과 良役 變通" 서울대학교 1993

      5 정호훈, "조선전기 法典의 정비와 '經國大典'의 성립. in: 조선 건국과 경국대전 체제의 형성" 혜안 2004

      6 정호훈, "전통시대 한국 정치사 속의 소통과 화해 -영조대 蕩平政治의 지향과 방법-" 중앙사학연구소 (31) : 1-41, 2010

      7 정만조, "영조대 초반의 탕평책과 탕평파의 활동" 56 : 1983

      8 정만조, "영조대 중반의 정국과 탕평책의 재정립" 111 : 1986

      9 정석종, "영조 무신란의 진행과 그 성격. in: 조선후기의 정치와 사상" 한길사 1994

      10 김인호, "여말선초 육전체제의 성립과 전개" 국학연구원 (118) : 1-39, 2002

      1 朝鮮總督府中樞院, "李朝法典考" 朝鮮總督府 1936

      2 정옥자, "조선후기 조선중화사상 연구" 일지사 1998

      3 조윤선, "조선후기 소송연구" 국학자료원 2002

      4 정연식, "조선후기 ‘役摠’의 운영과 良役 變通" 서울대학교 1993

      5 정호훈, "조선전기 法典의 정비와 '經國大典'의 성립. in: 조선 건국과 경국대전 체제의 형성" 혜안 2004

      6 정호훈, "전통시대 한국 정치사 속의 소통과 화해 -영조대 蕩平政治의 지향과 방법-" 중앙사학연구소 (31) : 1-41, 2010

      7 정만조, "영조대 초반의 탕평책과 탕평파의 활동" 56 : 1983

      8 정만조, "영조대 중반의 정국과 탕평책의 재정립" 111 : 1986

      9 정석종, "영조 무신란의 진행과 그 성격. in: 조선후기의 정치와 사상" 한길사 1994

      10 김인호, "여말선초 육전체제의 성립과 전개" 국학연구원 (118) : 1-39, 2002

      11 "霞谷集"

      12 鄭在薰, "霞谷 鄭齊斗의 陽明學受容과 經世思想" 29 : 1993

      13 朴京安, "霞谷 鄭齊斗의 經世論 : '霞谷集' 中 '箚錄'에 대한 一考察" 10 : 1998

      14 "雙溪遺稿"

      15 都賢喆, "鄭道傳 '經濟文鑑'의 朱子 글 援用과 그 意圖" 10·11합 : 1999

      16 禹仁秀, "鄭汝立 謀逆事件의 眞相과 己丑獄의 性格" 12 : 1988

      17 "英祖實錄"

      18 조윤선, "英祖代 남형ㆍ혹형 폐지 과정의 실태와 欽恤策에 대한 평가" 조선시대사학회 (48) : 211-253, 2009

      19 鄭萬祚, "肅宗朝 良役變通論의 展開와 良役對策" 17 : 1990

      20 "續大典"

      21 윤훈표, "經濟六典의 編纂과 主導層의 變化" 국학연구원 (121) : 1-50, 2003

      22 內藤吉之助, "經國大典의 難産. in: 朝鮮社會法制史硏究" 岩派書店 1932

      23 "約軒集"

      24 李熙煥, "朝鮮後期 黨爭硏究" 國學資料院 1995

      25 박광용, "朝鮮後期 蕩平 硏究" 서울대학교 1994

      26 김백철, "朝鮮後期 英祖의 蕩平政治 硏究 : '續大典' 편찬과 백성의 재인식" 서울대학교 2009

      27 李迎春, "朝鮮後期 王位繼承 硏究" 集文堂 1998

      28 洪順敏, "朝鮮後期 法典 편찬의 推移와 政治運營의 變動" 21 : 1998

      29 金駿錫, "朝鮮後期 政治思想史硏究" 지식산업사 2003

      30 정호훈, "朝鮮後期 政治思想 硏究" 혜안 2004

      31 朴秉濠, "朝鮮初期의 法源. in: 韓國法制史攷" 法文社 1974

      32 林容漢, "朝鮮初期 法典 편찬과 편찬 원리" 6 : 1999

      33 "景宗實錄"

      34 "承政院日記"

      35 "常訓"

      36 구덕회, "各司受敎·受敎輯錄·新補受敎輯錄 해제. in: 各司受敎 受敎輯錄 新補受敎輯錄" 서울대학교 규장각 1997

      37 "典錄通考"

      38 "仁祖實錄"

      39 정호훈, "18세기 전반 蕩平政治의 추진과 <<續大典>>의 편찬" 한국사연구회 (127) : 65-104, 2004

      40 沈載祐, "18세기 獄訟의 성격과 刑政運營의 변화" 34 : 1995

      41 정호훈, "18세기 政治變亂과 蕩平政治. in: 韓國 古代 中世의 支配體制와 農民" 지식산업사 1997

      42 정두영, "18세기 ‘君民一體’思想의 構造와 性格 : 霞谷 鄭齊斗의 經學과 政治運營論을 중심으로" 5 : 1998

      43 김준석, "17세기 正統朱子學派의 政治社會思想 : 宋時烈의 世道政治論과 賦稅制度 釐正策" 67 : 1990

      44 李鍾範, "1728년 戊申亂의 성격. in: 朝鮮時代 政治史의 再照明" 범조사 1985

      45 金東洙, "16-17세기 湖南士林의 存在形態에 대한 一考察 : 특히 鄭介淸의 門人集團과 紫山書院의 置廢事件을 중심으로 하여" 7 : 1977

      46 都賢喆, "'經濟文鑑'의 引用典據로 본 鄭道傳의 政治思想" 165 :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5-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연구소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영문명 :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3 0.83 0.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5 2.07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