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학습자료 분석과 활용 방안-대단원 ‘Ⅷ. 냉전체제와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을 중심으로- = Method to Analyze and Utilize the Learning Materials of the『Korean History』 Textbook of High School: Focusing on Unit 'Ⅷ. The Cold War System and Establishment of Korean Government’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suggested a method to analyze and utilize the learning materials of the『Korean history』textbook of high school used in the school field since Mar. 2011. When the『Korean history』textbook is carefully analyzed, it will be helpful and...

      This thesis suggested a method to analyze and utilize the learning materials of the『Korean history』textbook of high school used in the school field since Mar. 2011. When the『Korean history』textbook is carefully analyzed, it will be helpful and referred to created a textbook according to a new curriculum in the future and the effects of efficient textbook utilization are expected.
      In Chapter I, the importance of a teaching material in history class,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a textbook was examined. In Chapter II,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Korean history』textbook were analyzed. The『Korean history』textbook revised in 2009 reduced and adjusted the recent and modern parts from the『Korean history』textbook revised in 2007 and the two units corresponding to the premodern were added. In addition, the revolution from classifier to general history is the biggest characteristics.
      The『Korean history』textbook has a positive aspect to collect various data which can improve historical inquiry power, imagination and judgment. Various data which raise practical utilization as well as consider student’s interest have been reinforced. Chronological tables and maps are located in in-depth learning and introduction parts for higher utilization and the sizes and composition of suggested data became diverse and it is analyzed that it developed in creativity of design compared to the existing textbooks.
      In Chapter III, the learning materials suggested in the textbook large size unit III of the『Korean history』textbook were divided to literal materials and non-text materials for analysis and examination. The ratio occupied by non-text materials among the whole learning materials suggested in textbook Unit VIII of the『Korean history』textbook was 69% and in particular, the ratio occupied by pictures and drawings was high. When it come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history, because pictures still exist a lot, it is analyzed that pictures and drawings are suggested abundantly. Samhwa and Cheonjae include much more pictures compared to other textbooks. However, when pictures and drawings are compared, drawings were smaller relatively but original materials such as ‘Massacre in Korea’ suggested by Mirae and Cheonjae could be found. In general, maps are a few and mostly related to the Korea War. Chronological tables of Samhwa and Cheonjae placed horizontal chronological tables in each middle size unit or repeatedly suggested chronological tables of overlapped times to raise utilization and Samhwa and Jihak suggested relatively many tables and graphs.
      Reading materials are the biggest parts among literal materials regardless of publishers and Mirae and Samhwa arranged relatively less wing writings. But, the inquiry data in which student’s activities and postscripts are suggested are provided with various types in all of 6 type textbooks so that it is expected to help improve historical thinking power.
      Chapter IV suggested character inquiry learning and discussion learning and historical newspaper production learning as a utilization method of textbook learning materials which can enable positive activities of students.
      Even though a textbooks is not perfect, through recomposition of contents and materials, teachers can find various methods for improvement of student’s historical inquiry power and fill up the insufficient parts of the textbook.
      Agony and efforts of teachers can fill up the insufficient parts of a textbook and bring quality improvement of history class. For this, teachers should put their endless efforts for much better history class such as recomposi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materials and cont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재호, "한국사와 연계한 세계사, 세계사와 연계한 한국사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역사』 내용구성방안-" 역사교육학회 (40) : 119-160, 2008

      2 도면회, "한국사" (주)비상교육 2011

      3 주진오, "한국사" (주)천재교육 2011

      4 정재정, "한국사" (주)지학사 2011

      5 한철호, "한국사" (주)미래엔 컬처그룹 2011

      6 최준채, "한국사" 법문사 2011

      7 이인석, "한국사" (주)삼화출판사 2011

      8 이명희, "한국근·현대사 교과서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8 (48): 93-109, 2009

      9 박태균,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의 내용에 대한 분석" 92 : 2004

      10 한은진, "추체험을 통한 역사적 사고력 신장 연구 : 역사신문제작학습에 대하여" 서강대학교 2008

      1 최재호, "한국사와 연계한 세계사, 세계사와 연계한 한국사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역사』 내용구성방안-" 역사교육학회 (40) : 119-160, 2008

      2 도면회, "한국사" (주)비상교육 2011

      3 주진오, "한국사" (주)천재교육 2011

      4 정재정, "한국사" (주)지학사 2011

      5 한철호, "한국사" (주)미래엔 컬처그룹 2011

      6 최준채, "한국사" 법문사 2011

      7 이인석, "한국사" (주)삼화출판사 2011

      8 이명희, "한국근·현대사 교과서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8 (48): 93-109, 2009

      9 박태균,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의 내용에 대한 분석" 92 : 2004

      10 한은진, "추체험을 통한 역사적 사고력 신장 연구 : 역사신문제작학습에 대하여" 서강대학교 2008

      11 김덕진, "중학교 국사 교과서 삽화의 분석" 12 : 1998

      12 김두연, "제7차 중․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의 사진분석-선사와 고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3 김중락,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 비문자 자료의 제시 실태와 개선 방안" 중등교육연구소 (52-2) : 149-182, 2004

      14 지수걸, "제7차 교육과정 ‘한국 근현대사’ 준거안의 문제점-근대(‘개항’~‘해방’까지)사 관 련 부분을 중심으로" 79 : 2001

      15 방정실, "제7차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읽기자료」의 분석과 활용방안"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6 우인수, "제 7차 교육과정 高等學校 國史敎科書의 내용 분석" 역사교육연구회 (84) : 2002

      17 송춘영, "인물교재의 교육적 기능과 그 지도방안" 20 : 1982

      18 근현대사 네트워크, "우리 현대사 노트" 2007

      19 정선영, "역사교육의 이해" 삼지원 2001

      20 양호환, "역사교육의 이론과 방법" 삼지원 2002

      21 최상훈, "역사교육의 방법과 이해" 책과 함께 2007

      22 황영선, "역사교육내 구성주의 교수-학습접근: 토론학습 예시"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2008

      23 방지원, "역사교과의 탐구학습이론 수용-연구의 성과와 향후 과제" 73 : 2000

      24 이병련, "역사교과서의 의미와 서술기준 그리고 분석의 기준에 관하여" 52 : 2000

      25 마석한, "역사교과서와 교과서분석" 9 : 1997

      26 정춘아, "역사 인물학습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대안적 지도방안 연구" 24 : 2006

      27 지모선, "역사 교과서 제2차 세계대전 삽화 자료 비교 분석 - 한ㆍ중ㆍ일ㆍ미ㆍ독 교과서를 중심으로 -" 한국역사교육학회 (9) : 201-253, 2009

      28 김육훈, "살아있는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 (주)휴머니스트 출판그룹 2007

      29 이원순, "사회과 교육" 서울대학교출판부 1975

      30 김문희, "사료를 이용한 인물학습-하향응을 중심으로" 2006

      31 김소라, "비교 인물사 교수학습을 위한 모색 :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세계사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2009

      32 김경자, "미래형(2009) 교육과정에 대한 일 고찰"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67-86, 2010

      33 김한종, "다원적 관점의 역사이해와 역사교육" 한국역사교육학회 (8) : 229-261, 2008

      34 강양구, "근현대사 신문 : 현대편 1945~2003" 사계절 2010

      35 최상훈, "고등학생의 사료이해 양상" 한국역사교육학회 (3) : 145-208, 2006

      36 김진아, "고등학교 역사부도의 내용분석 및 활용방안 : 제7차 교육과정 국사교과서 ‘3. 근 세의 사회’ 단원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2009

      37 교육과정기획과,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사회(역사)"

      38 윤재운, "고등학교 검정 ‘한국사’교과서와 역사부도의 전근대 서술과 문제점" 한국사연구회 (152) : 307-345, 2011

      39 남한호,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내용 구성과 그 특징 - 일제강점기 분야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16) : 63-126, 2010

      40 교육과정기획과, "【별책7】사회과 교육과정 개정" 2010

      41 한철호, "『고등학교 한국근˙현대사』 교과서의 구국ㆍ독립운동사 관련 내용 분석" 한국학연구소 32 : 53-76, 2009

      42 지수걸, "‘한국 근현대사 논쟁’과 10학년『역사』교과서 편찬" 역사교육연구회 (109) : 275-302, 2009

      43 오진아, "7차 중․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 사진자료 분석 : 아시아 전근대사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4 교육과정기획과, "2009개정교육과정 문답자료"

      45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교육과정위원회,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 2010

      46 박태균, "2009 개정 교육과정 한국사 교과서 현대사 부분 분석" 역사교육연구회 (116) : 315-345, 2010

      47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교육과정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48 방지원, "2007년 개정 역사 교육과정의 교재관과 교과서 개발" 역사교육학회 (42) : 187-216, 2009

      49 양정현, "2007, 2009 교육과정과〈한국사〉교과서 검정" 2010

      50 박태균,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미국" 14 : 2008

      51 최완기, "(批評論文) 歷史敎育에 있어서 敎科書 活用의 問題" 역사교육연구회 (84) :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1 1.054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