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노동법과 근대시민법과의 관계 = Relation between Labour Acts and Modern Civic Law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0381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abour acts belong to special law which prescribes labouring relation in the capitalistic society. Modern civic law depends on freedom and principle of epuality. And it also prearranges abstract personality in the subject of law and so even oppression...

      Labour acts belong to special law which prescribes labouring relation in the capitalistic society. Modern civic law depends on freedom and principle of epuality. And it also prearranges abstract personality in the subject of law and so even oppression by the strong to the weak becomes raesonable.
      Though laoburing relation is combination of possession and labour, labour acts are apart from civic law, while they are united each other. Though labour acts were derived from modern civic law, they treat the labour problems which modern civic law can't manage. Some assert that labour acts are a revision of civic law, but labour acts have their own structure of law and principle of law. Relation between labour acts and modern civic law, therefore, is not opposite.
      Labour acts do not exclude personal freedom and equality, but seek to expand a
      reasonable and practical freedon and equality to a aclass of worker.
      In this sense, labour acts are based on modern civic law and they are closely related to modern civic law. And they spread liquid and rational direc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근대시민법의 성격
      • 1. 근대시민법의 분류
      • 2. 근대시민법의 기본원리
      • 3. 근대시민법의 모순
      • Ⅰ. 머리말
      • Ⅱ. 근대시민법의 성격
      • 1. 근대시민법의 분류
      • 2. 근대시민법의 기본원리
      • 3. 근대시민법의 모순
      • 4. 근대시민법의 변모
      • Ⅲ. 노동법의 생성과 성격
      • 1. 노동법의 생성
      • 2. 노동법의 성격
      • 3. 노동법의 영역
      • Ⅳ. 노동법과 시민법과의 관계
      • 1. 노동법과 시민법과의 분리
      • 2. 노동법과 시민법과의 결합
      • Ⅴ. 맺는말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