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직업기초능력 인식수준 및 교육요구 분석 : G공업고등학교 국가직무능력표준기반 시범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The investigation on the cognitive level of basic job skills and training needs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0634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기반한 교육과정을 운영 중인 특성화고등학교의 재학생, 졸업생, 교사, 나아가 채용기관인 기업체 근로자 들을 중심으로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현재수...

      이 연구의 목적은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기반한 교육과정을 운영 중인 특성화고등학교의 재학생, 졸업생, 교사, 나아가 채용기관인 기업체 근로자 들을 중심으로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현재수준과 기대수준을 파악하고, 기업분야 중 기계계열, 전기․전자․반도체계열, 건축․토목․건설계열 영역의 직업기초능력 교육우선순위를 결정, G공업고등학교 직업기초능력 교육 과정 편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목적을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내용으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국가직무능력표준에 대한 일반적 개념, 국가직무능력표준 교육과정의 개념과 연구기관으로 선정된 G공업고등학교의 교육과정 개편현황에 대해 기술하였다. 또한 직업기초능력 선행연구를 분석하였으며, 기존 연구 자별 직업기초능력의 분류형식을 10개 영역별로 구분하여 개념을 정리하 였다. 이를 토대로 특성화고등학교 교육과정으로의 적용을 위한 직업기초 능력 교육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10개 영역(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능력, 자원관리능력, 대인관계능력, 정보능력, 기술능 력, 조직이해능력, 직업윤리)의 34개 하위영역(문서이해능력, 문서작성능 력, 경청능력, 언어구사력 ,기초외국어능력, 기초연산능력, 기초통계능력, 도표분석능력, 도표작성능력, 사고력, 문제처리능력, 자아인식능력, 자기개 발능력, 경력개발능력, 시간관리능력, 예산관리능력, 물적자원관리능력, 인적자원관리능력, 팀웍능력, 리더십능력, 갈등관리능력, 협상능력, 고객서비 스능력, 컴퓨터활용능력, 정보처리능력, 기술이해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 적용능력, 국제감각, 조직체제이해능력, 경영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 근로윤리, 공동체윤리)별로 설문문항을 개발하였으며, 현재수준과 중요도를 근거로 집단별 인식수준을, 기업근로자의 기대수준을 중심으로 교육요구도의 우선순위와 교육과정을 기업규모․분야별로 제시하였다.
      연구는 직업기초능력과 중등직업교육과정, G공업고등학교 국가직무능력 표준 교육과정 개편과 동향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집단(재학생, 졸업생, 기업담당자)간 직업기초능력의 인식수준을 비교하였다. 또한 기업근 로자를 중심으로 특성화고 출신 졸업생이 갖추고 있는 직업기초능력의 현재수준과 향후 졸업생들에게 요구되는 기대수준의 차이를 분석하여 G공 업고등학교 기계계열, 전기․전자․반도체계열, 건축․토목․건설계열학과의 직업기초능력 교육요구 우선순위를 분석하는 순서대로 진행되었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거쳐 수행한 주요 연구결과는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집단의 인식수준, 교육요구분석으로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기초능력의 집단별 현재수준에 대한 인식수준 검증, 직업기초 능력의 집단 간 현재수준에 대한 인식수준 검증, 현 직장에서 향후 필요 하다고 인식하는 졸업생의 수준과, 취업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교사의 인식수준, 입사를 희망하는 졸업생에게 요구하는 대․중견기업근로자의 인식수준을 비교하였다.
      둘째, 기업규모와 분야를 중심으로 G공업고등학교의 기계계열학과, 전기․전자․반도체계열학과, 건축․토목․건설계열학과에 적용 가능한 교육요구 우선순위를 분석하고 직업기초능력 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기초자 료를 제시하였다. 기계계열학과의 경우 언어구사력, 문제처리능력, 자기개 발능력, 경력개발능력, 시간관리능력, 협상능력, 기술이해능력이 최우선적 으로 반영되어야 하며, 전기․전자․반도체계열학과는 시간관리능력, 건축․토목․건설계열학과는 문제처리능력, 자기개발능력, 경력개발능력, 시간관리능력, 갈등관리능력의 교육과정이 기업규모와 상관없이 최우선적으로 요구되는 내용으로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직업기초능력 하위영역에 대한 관련 변인들을 검증된 통계기법과 Borich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한 교육요구분석 기법을 활용하였다. 또한 현재수준, 중요도, 기대수준을 반영한 인식조사, 기업근로자들의 현재수준과 기대수준을 분석하여 실제 기업 현장이 요구하는 교육내용과 특성화고등학교에서 현실성 있는 교육을 진행할 수 있도록 종합적인 이해를 돕는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가치가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연구가 좀 더 정확하고 한층 심화되어 진행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가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G 공업고등학교에서 직업기초능력 교육과정을 편성할 경우 앞서 논의된 학과별 우선순위 결과를 1차적으로 고려하고, 학교와 연계된 장기현장실습 파견기관의 분야와 규모를 고려하여 기업에서 요구하는 직업기초능력을 갖출 수 있는 인재양성이 되도록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편성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에 대한 후속연구와 연계되어, 특성화고등학교 출신 졸업생이 기업이 요구하는 인재상에 부합될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the cognitive level of basic job ability for students, graduates, and teachers in a specialized high school, as well as for workers in a company, and to suggest an optimal educational curriculum by deciding the priority ...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the cognitive level of basic job ability for students, graduates, and teachers in a specialized high school, as well as for workers in a company, and to suggest an optimal educational curriculum by deciding the priority of the basic job ability in education in the field of mechanic, electric․electronic․ semiconductor, and architecture․civil engineering․construction.
      To achieve those goals, the general approach of NCS, the concept of NCS curriculum, and the curriculum revision in G Engineering High School, which was selected as an object of this research were described. Also, the preceding studies on NCS were analyzed, and the categories of basic job skills were reclassified into 10 groups.
      According to this, survey questionnaires were derived from the 34
      subcategories (Understanding documents, Writing documents, Active listening, Expressing oneself, Basic foreign language skills, Basic calculation, Basic statistics, Analyzing diagrams, Writing diagrams, Thinking, Problem solving, Self-awareness, Self-management, Career development, Managing time, Managing budget, Managing material resources, Managing human resources, Teamwork, Leadership, Conflict management, Negotiation, Customer service, Utilizing computers, Processing information, Understanding technology, Selecting technology, Applying technology, Global perspective, Understanding management, Understanding tasks, Work ethics, and Community ethics) within the 10 categories (Communication skills, Mathematical skills, Problem-solving skills, Self-development skills, Resource management skills, Interpersonal skills, Information skills, Technological skills, Skills for understanding groups, and Professional ethics). The cognitive level of intergroup was analyzed based on the current level and importance, and then the priority and new curriculum were suggested according to the company sizes and categories.
      The research investigated the previous researches on the basic job ability, job curriculum at high school, and NCS curriculum of G high school. And it compared the cognitive level of basic job ability among current students, graduate students, and person in charge at companies. Then the as-is and to-be levels of basic job ability are analyzed, and according to it, the priority of the education in mechanic, electric․electronic․semiconductor, architecture․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is evaluated.
      Finally, two main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Firstly, the cognitive level of basic job skills was analyzed. The current cognitive level of intragroup and intergroup were verified, and the level required for the graduates, the level which teachers expected to be required in the job market, and the level which company workers asked to of the high school graduates were compared. Secondly, the educational priority which shall be applied to the mechanic, electric․electronic․ semiconductor, and architecture․civil engineering․construction at G Engineering High school was analyzed, and according to this, a new curriculum was suggested. For mechanic, it put its educational priority on Expressing oneself, Problem solving, Self-development, Career development, Managing time, Negotiation, and Understanding technology. For electric․electronic․semiconductor, its focus was on Managing time, and for architecture․civil engineering․construction, they emphasized Problem solving, Self-development, Career development, Managing time, and Conflict management.
      This research was undertaken with the use of various statistic skills, the Borich method,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lso, this research shall be valued in synthetic understandings for curriculum revising.
      The following researches are expected to be investigated in a deep and elaborate level, and to be connected to the researches in curriculum development and effe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