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통제 증진 미술치료가 청소년의 통제성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C시 소재 S중학교 3학년 중 자기통제성 척도 55점 이상 공격성 척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856626
경산 : 대구대학교, 2015
학위논문(석사) --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 재활심리학과 미술치료전공 , 2015
2015
한국어
512.5156 판사항(6)
615.85156 판사항(23)
경상북도
vi, 70 p. : 삽화, 도표 ; 26 cm
지도교수: 최은영
권말부록: 자기통제성 척도 등
참고문헌: p. 44-4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통제 증진 미술치료가 청소년의 통제성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C시 소재 S중학교 3학년 중 자기통제성 척도 55점 이상 공격성 척도 ...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통제 증진 미술치료가 청소년의 통제성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C시 소재 S중학교 3학년 중 자기통제성 척도 55점 이상 공격성 척도 80점 이상인 청소년 20명을 선정하여 10명을 실험집단으로, 10명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자기통제 증진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2015년 4월 15일부터 5월 8일까지 4주 동안 주 3회기로 진행하고, 회기마다 90분, 총 11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자기통제성 척도와 공격성 척도 및 HTP그림검사이다. Grasmick, Tittle, Bursik, 와 Arneklev(1993)의 자기통제성 척도를 정혜승(1996)이 번안하고 조유정(2003)이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공격성 척도는 Marsee, Kimonis와 Frick(2004: 하문선, 김지현, 2013 재인용)의 PCS(Peer Conflict Scale)를 한영경(2008)이 번안하고 하문선, 김지현(2013)이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HTP는 Buck과 Hammer(1969: 김동연, 공마리아, 최외선, 2002재인용)에 의해 개발된 검사로, HTP에 나타난 공격성 변화를 살피고자 Hutton(1994: 공마리아, 최은영, 2015 재인용)이 개발한 지표 공격성 적대감(Aggressive and Hostility: AH)중 공격성 지표 분석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Window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각 집단 사전‧사후‧추후 검사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및 단순 주 효과 분석, HTP에 나타난 공격성에 대한 사전·사후 대응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기통제 증진 미술치료가 청소년의 통제성 향상 및 공격성 완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s of Art Therapy to improve self control for adolescents on aggression of them.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20 students (10 for experimental group and 10 for controlled group) chosen among third-year 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s of Art Therapy to improve self control for adolescents on aggression of them.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20 students (10 for experimental group and 10 for controlled group) chosen among third-year students of S middle school in C city. The score of self control scale of 20 students chosen for program was over 55 and the score of aggression scale of them was over 80. Art Therapy program to improve self control was proceeded three times a week for 4 weeks from April 15, 2015 to May 8, 2015. Each session took 90 minutes and 11 sessions in total were implemented.
Self control scale, aggression scale and HTP drawing test were implemented. Concerning self control scale implemented on this study, it had been translated from Self control scale of Grasmick, Tittle, Bursik, 와 Arneklev(1993) by Jung, Hyeseung(1996) and used by Cho, Yoojung(2003). And concerning aggression scale implemented on this study, it had been translated from PCS(Peer Conflict Scale) of Marsee, Kimonis and Frick(2004: Ha, MoonSun and Kim, JiHyun cited at second in 2013) by Han, Younggyoung(2008), and used by Ha, MoonSun and Kim, JiHyun(2013). HTP was developed by Buck and Hammer(1969: Kim, DongYeon, Kong, Maria, and Choi, WoiSun cited at second in 2002), to check the change of aggression on HTP, aggression indicator analysis was used between indicators as Aggressive and Hostility developed Hutton(1994: Kong, Maria, Choi, EunYoung cited at second in 2015).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SPSS Window 18.0 program was used, and through this program,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preliminary, post and further inspection score among both groups, Repeated measure ANOVA, verification of simple main effect and also preliminary and post response t verification to aggression on HTP were performed. As results from this study, Art Therapy to improve self control was verified to be effective on mitigating control and aggression of adolescents.
목차 (Table of Contents)